한국의 향교와 서원/경상북도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포항 청하향교

Yeongsik_Im 2021. 12. 25. 20:18
반응형

청하향교 淸河鄕校 Cheonghahyanggyo Confucian School

청하향교는 올해 4월 초 독석리 해병대 상륙훈련 현장에 들렸다가 돌아가는 길에 들렸었는데 문이 닫혀 있어 천화루만 바라보고 돌아왔었으나 이번에는 이영대 전교님과 연락이 되어 직접 안내를 해주셨다. 포항시로 통합되기 이전의 영일군은 연일,장기,흥해, 청하 등 옛 4개현과 읍면을 통합한 지명으로 현재 포항시 향역에는 연일,장기,흥해, 청하향교가 그대로 남아 있다.

1997년 9월 29일 문화재 자료 제328호로 지정된 청하향교는 조선태조7년(1398) 서정리에서 처음 지었으며 숙종 39년(1713)에 옮겨 짓는 작업을 시작해 숙종42년(1716) 완공된 조산시대의 향교이다.

청하향교 천화루

청하향교의 외삼문의 역활을 하고 있는 천화루는 전면 3칸, 측 면 1칸 규모의 익공계 홑처마 우진각지붕 건물로 1970년에 건립되었다.

천화루 편액
천화루중수기
천화루는 2층 누각이었으나 1949년에 도괴되어 1964년에 단 칸 대문으로 건립되었던 것을 1970년에 현재와 같은 규모로 건립하였다.
천화루 좌측에 보이는 건물은 동재이다.
청하향교 명륜당 전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의 익공계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 좌우의 양측칸을 온돌방으로 꾸미고, 중앙 2칸은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전면에는 툇마루를 두고 계자각을 둘렀다.

청하향교는 강학영역인 명륜당을 앞쪽에 두고 제향영역인 대성전을 뒤쪽에 두는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이나 엄밀히 보면 대성전은 명륜당 뒤쪽 좌측에 약간 높게 위치하고 있다.

명륜당 좌측 뒤로 보이는 건물이 대성전이다.

청하향교 명륜당 앞에 전재후당으로 자리잡고 있는 동재와 서재 2002년에 복원됐다.

명륜당 뒤에는 협문이 하나 있는데 일각문 형식으로 긋기단청으로 마감하였고 두 짝 판문을 달아 후편으로 출입하게 되어 있는데 협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초가집과 정면과 우측에 각각 기와집이 자리잡고 있다.

신삼문 내삼문
내삼문의 상량을 보면 단기 4310년이니 1977년 12월 15일 복원했다
청하향교 대성전 전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의 익공계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청하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5성과 송조 4현, 그리고 해동 18현 등 모두 27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청하향교 이영대 전교가 현감 노세환 흥학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흥해향교는 숙종 39년(1713)에 현감 노세환에 의해 현재의 자리로 이건됐다. 우측은 현감 임택호의 열호재창건비이다.
현감 노세환 흥학비

현감 노세환의 흥학비로 전면에는 縣監盧候世煥興學碑 라 되어 있으나 좌우측의 연도 기록은 일부 멸실되어 알아 볼 수 없으며, 우측면에 丁未四月日改立 齋任 李 □ □ 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

청하향교 명륜당의 기문
청하향교 명륜당의 기문
청하향교 하마비는 천화루 전면 약 10여 미터 거리에 담에 붙어 淸河鄕校 표지석과 같이 세워져 있다.

청하향교는 조선 태조7년(1398) 서정리에 건립되었으며,숙종 39년(1713) 덕성리로 옮겨 짓는 작업을 시작하여 숙종 42년 (1716) 완공하였다. 그 뒤 헌종 9년(18的3)과 1923년에 두 차례 보수하였다.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 기숙사인 동재, 휴식공간인 천화루 등이다.대성전은 정면3칸,측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Cheongha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was built in Seojeong-ri in the 7th year of the reign of King laejo of the Joseon Dynasty (1398). The construction to shift it to Deokseong-ri was started in the 3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1713) and completed in the 42nd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1716). Two times of repair works were made in the 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jong (1843) and in 1923.The remaining buildings are Daeseongjeon Shrine for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Myeongnyundang Lecture Hall, Dongjae East Dormitory and Cheonhwaru Pavilion used as rest area.Daeseongjeon Shrine is composed of three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front and three kan side with the gable roof in the shape of a Chinese character (A) meaning a human being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Chinese and Korean sages including Confucius are kept inside the shrine.
청하량교 안내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