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의 향교/충청남도28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 탑정로 427번길 14-1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남도 기념물 제120호로 로 1997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27일 방문했으나 외삼문과 협문 모두 닫혀 있었다. 조선후기 지방지도인 은진지도에 보면 남쪽에 향교가 표시되어 있는데 군현지도에 일반적으로 건물 하나에 향교라고 적는데 이 지도에서는 특이하게도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까지 다 그려져 있다. 향교 왼쪽이 관촉사다. 은진향교 역시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두고, 뒤쪽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2021. 11. 29.
[한국의 향교 대전광역시] 회덕향교 11월 2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육군 M&S 국제학술대회 취재를 마치고 대전광역시 향역에 있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다. 대전광역시 대전로 1397 번안길126에 위치한 회덕향교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로 조선시대 초기의 소설위 향교이나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었다. 회덕향교는 조선초기에 세웠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선조 33)경에 다시 세웠고,그 후 1812년(순조 12) 가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는 입구쪽에 홍살문, 그 뒤에 솟을삼문형으로 된 외삼문을 세웠다. 대문 바로 안쪽 건물에는 중앙으로 통행할 수 있는 문을 두었고,문의 동쪽 건물에 제향를 준비하는 전사청을,서쪽에 공부하던 서재를 배치하였.. 2021. 11. 3.
[한국의 향교 세종시] 전의향교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북촌1길 5-18(읍내리)에 위치한 전의향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전의 향교는 언제 처음 지 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조선 태종 7년(1407)에서 태종 13년(1413) 사이에 동교리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8년(1684)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으로,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이 향교에는 공자와 중국의 성현,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드리는 대성전과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명륜당이 .. 2021. 10. 2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산 해미향교 태안향교 방문을 마치고 나오는 길 윤경상 전교님께 포항으로 가는 길이면 고속도로를 이용해야하니 해미향교 바로 옆에 해미IC가 있으니 들려보라고 하신다. 태안향교에서 해미향교까지는 약 30km 정도로 40분정도 소요되었다. 해미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7호로 지정됐다. 해미향교 海美鄕校 Haemihyanggyo Confucian School 해미향교는 태종 7년(1407)에 창건된 후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지었다. 향교 입구 홍살문 주변의 느티나무 군락에 있는 수령 300년 이상의 나무는 향교의 연혁을 말해 준다.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이다. 덕행과 학문의 모범을 보인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며, 유교의 경전과 역사, 시나.. 2021. 10. 1.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태안향교 지난 주말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를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는데 하루 종일 비가 왔었는데 29일 태안에 취재차 들렸다가 오는 길에 태안향교와 해미향교를 들렸는데 이날도 가는 곳마다 비가 내린다. 그러나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한국의 향교 탐방은 계속 된다. 태안향교 泰安鄕校 태안향교(충청남도 기념물 제139호)는 문이 닫혀 있었으나 유림회관에 들려보니 명륜서실에서 서예교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태안향교의 명륜서실의 이성선 장의가 2019년 성균관서예대전에서 한글부분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고 한다. 윤경상 전교님께서 향교를 안내를 해주셨다. 태안향교는 태안 지방의 교육을 담당하던 조선시대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고려 때부터 지방에 세운 교육기관으.. 2021. 10. 1.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라 일직선상에 홍살문 - 외삼문 - 명륜당 - 내삼문 - 대성전 순으로 건립되어 있다. 서천향교는 서천군청에서 북동쪽으로 약 800미터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서천 향교의 연혁에 대해서는『서천향교지(舒川鄕校誌)』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성덕왕 15년(756)에 서림으로 개창당시 설립읍지가 현재 문산면 신농리 1구(와촌(瓦村) 에 있었고, 향교는 문산면 문장리 1구(옛 禾里)에 있었다 하고, 고려시대에는 고 을의 읍치가 서천읍 남산리에 있었을 때 향교는 마서면 계동리 1구에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 2021. 8. 1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 비인향교 庇仁鄕校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교촌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인 비인향교(庇仁鄕校)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29호(1997년 12월 23일 지정)이다. 서해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배롱나무 꽃 활짝 피어있는 비인향교를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에 들렸다. 비인향교는 중국과 조선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도록 나라에서 비인면에 세운 교육기관이다. 1407년(태종7)에 세워진후 여러차례 고쳐 지은 것으로 짐작되지만 구체적인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비인 향교의 건물은 정문인 외삼문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 내삼문, 제사 공간인 대성전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담장으로 둘러 쌓여 있다.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르고 있다. 비안향교의 문은 닫혀 있었다. 우측에 관리사 .. 2021. 8. 1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인 공주향교는 조선시대에 성현과 유학자(孔子와 四聖. 孔門10哲. 宋朝6賢. 우리나라18賢)의 위패를 모시고 석전대석전대제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중의 하나이다. 태조7년(1374) 웅진동 송산 기슭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해군14년(1622) 화재로 인하여 인조 1년(1623)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해진다. ​ 앞쪽에 교육공간을 뒤쪽에 제사공간을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건물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무 서무,유생들이 학업을 연마하던 명륜당,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사가 있다. ​ 조선시대에는 국.. 2021. 6. 15.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에 위치한 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전해 오며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1년 6월 12일 오후에 방문했다. 부여향교 바로 앞에는 유네스코세계유산인 정림사지가 있다. 홍살문을 지나니 외삼문이 닫혀 있다. 관광도시의 향교들은 대부분 개방을 하고 있는 곳이 많은데 주말인데고 의외로 굳게 닫혀 있었다. 유림회관에도 인적이 없는 듯하여 아쉽지만 다행이 낮은 담장너머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단히 촬영을 했다. 부여향교의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 2021. 6. 14.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으로 각 고을마다 세워져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향교, 천안향교는 1398년(조선 태조 7년)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서 1606년(선조 39년)에 댜시 지었다고 한다. 명륜당의 상량문에는 1656년(효종 7년)에 상량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저시 지은 년대를 알 수 있고 그후에도 여러번 고쳐 지었다. 천안향교에는 공자 및 중국의 성현들을 모시고 봄가을에 제향을 받들고 있는 대성전, 우리나라 산현 18인을 제향하는 동무와 서무,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 유생들이 기숙하던 동재와 서재 등이 있었으나 동재는 일제시대에 헐려서 서재만 남아 있다가 1983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천안향교는 1984년 5월 17일 대성전이 충청남도 문.. 2021. 6. 11.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노성향교 魯城鄕校 노성향교 魯城鄕校 Noseong Hyanggyo Confucian School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교촌리 308) 2020. 11. 3.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여산향교 礪山鄕校 여산향교 礪山鄕校 Yeosan Hyanggyo Confucian School 2020. 11. 3.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연산향교 연산향교 외삼문 사이로 명륜당이 보인다. 연산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 방식을 따라 건립되어 있다.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 있는 조산시대 향교인 연산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9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초기인 1398년(태조 7년)무렵에 현유(賢儒)의 위패(位牌)를 봉안하여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세워졌다. 2020. 10.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