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의 향교/충청북도7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청주향교 청주시 향역에 있는 청주향교(淸州鄕校)와 문의향교(文義鄕校)를 9월 세째주 주말에 방문했다. 문의향교에 이어 삼남 제일의 향교였던 청주향교를 소개한다. 청주향교는 1977년 12월 충청북도 기념물 제38호로 지정되었다가 1988년 9월 재분류되어 유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다.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81에 위치한 청주향교 주차장에 도착해 청주향교를 본 순간 먼저 생각했던 것보다 웅장한 청주향교의 모습에 깜작 놀랐다. 청주향교는 주말에도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어 청주향교에 대하여 무료로 설명하여 주고 있었으며, 청주향교를 포함하는 청주시티투어도 운영되고 있었다. 청주향교 문의전화 043-253-3365 청주향교 자리인 대성동사지(大成洞寺址)는 고려시대의 사찰 터였다고 한다. 문헌기.. 2022. 9. 19.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청주 문의향교 청주시 향역에는 있는 청주향교와 문의향교(文義鄕校)를 9월 세째주 주말에 방문했다.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로 지정된 문의향교를 먼저 소개한다. 한국의 향교 지역별 현황 한국의 향교(鄕校) 지역별 현황 ​ 향교(鄕校)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고 유생들에게 유학을 교육하던 곳으로 15세기에는 한 고을 hyanggyo.tistory.com 문의향교홍살문 옆 하마비는 새로 세운것으로 보인다. 하마비에는 대소인원하마(大小人員下馬)라고 새겨져 있다. 이 곳을 지나가는 사람은 누구나 말에서 내려 예를 갖추어야 한다는 뜻이다.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 皆下馬)라고 쓰기도 한다. 문의향교는 교육영역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영역인 대성전을 .. 2022. 9. 19.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괴산향교 3월 3일 오늘은 새벽에 포항에서 충북 괴산으로 출발하여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로 열린 2022년 학군장교(ROTC) 임관식을 취재하고 오후에는 괴산향교(槐山鄕校)와 주변을 천천히 돌아보며 다시 포항으로 복귀했다. 아무래도 지난 겨울에는 향교 탐방이 좀 뜸했던 것 같다. 꽃샘추위정도는 있겠지만 이제 완연한 봄날씨가 계속되고 있으니 일단 첫번째 목표인 100번째 탐방하는 향교는 3월 중에 방문 할 수 있을 거 같다. 충북지역 12개 시·군 가운데 괴산군 향역에는 가장 많은 3곳의 향교가 남아 있다. 괴산향교와 연풍향교, 청안향교가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2호(1981년 12월 26일 지정)로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향교길 23(서부리 104) 에 위치한 괴산향교(전교 류병한)는 조선 초기에 창건되고.. 2022. 3. 5.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보니 김홍도씨름장이 보인다. 알고 보니 괴산 연풍은 단원 김홍도가 현감으로 있으며 씨름도를 그린 곳이었다. 연풍향교와 관련된 기록으로 1530년(중종25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향교. 동쪽1리 에 있다”고 되어 있고, 1632년(인조10년) 편찬된 호서승람에는 "향교. 북쪽3리에 있다. 교생은 10명이다” 는 기록이 있다.또한 1978년 대성전 중수시 발견된 상량문에는 1628년(인조6년) 현감 이수약이 창건하고, 1664년(현종5년) 현감 곽.. 2021. 11. 30.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인 옥천향교로 들어서는 홍살문에 서면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바로 명륜당이 보인다. 조선시대에 지방의 교육 기관의 역할을 했던 옥천향교 건물의 배치는 향교의 일반적인 배치방식인 전학후묘로 앞에는 교육을 위한 강당인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고 중간에는 내삼문을 두고 그 뒤편에 문묘인 대성전과 동무• 서무가 있다. 옥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중에 소실되었다가 그뒤 중건되었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속 건물로 기숙사인 홍도당(弘道堂)과 관리.. 2021. 7. 31.
조선시대 전기 교육기관 영동 황간향교 黃澗鄕校 조선시대 전기 교육기관 영동 황간향교 黃澗鄕校 2021년 5월 19일 황간향교 주차장에서 내리면 좌측으로 황간향교 전경이 시원하게 눈에 들어오고 우측으로는 공자상과 비석들과 기념비들이 세워진 공간이 있다. 향교를 출입할때는 항상 우측문으로 출입하고 우측 길을 이용해야 한다. 특히 가운데 길은 신도이므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황간향교 대성전으로 오르는 길에 신도와 올라가는길과 내려오는길이 잘 표시되어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해 여러 성현들을 모시는 제사공간으로 앞면 3칸 •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모양을 한 맞배지붕집이다. 또한주춧돌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것으로 사원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아 유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 2021. 5. 20.
조선시대 영동지역 관학기관 영동향교 永同鄕校 조선시대 영동지역 관학기관 영동향교 永同鄕校 2021년 5월 19일 영동향교는 조선 선조(1567〜1608) 때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하며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영동지방에 세운 관학기관이다. 임진왜란(1592)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현종 1년(1660) 옛 읍성 안에 복원하였다. 숙종 2년(1676)에 구교동으로 옮겼다가 영조 30년1?54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 ​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로부터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급 받아 운영하였으나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 2021. 5.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