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의 향교14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라 일직선상에 홍살문 - 외삼문 - 명륜당 - 내삼문 - 대성전 순으로 건립되어 있다. 서천향교는 서천군청에서 북동쪽으로 약 800미터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서천 향교의 연혁에 대해서는『서천향교지(舒川鄕校誌)』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성덕왕 15년(756)에 서림으로 개창당시 설립읍지가 현재 문산면 신농리 1구(와촌(瓦村) 에 있었고, 향교는 문산면 문장리 1구(옛 禾里)에 있었다 하고, 고려시대에는 고 을의 읍치가 서천읍 남산리에 있었을 때 향교는 마서면 계동리 1구에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 2021. 8. 1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 비인향교 庇仁鄕校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교촌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인 비인향교(庇仁鄕校)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29호(1997년 12월 23일 지정)이다. 서해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배롱나무 꽃 활짝 피어있는 비인향교를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에 들렸다. 비인향교는 중국과 조선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도록 나라에서 비인면에 세운 교육기관이다. 1407년(태종7)에 세워진후 여러차례 고쳐 지은 것으로 짐작되지만 구체적인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비인 향교의 건물은 정문인 외삼문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 내삼문, 제사 공간인 대성전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담장으로 둘러 쌓여 있다.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르고 있다. 비안향교의 문은 닫혀 있었다. 우측에 관리사 .. 2021. 8. 16.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 안의향교 安義鄕校 함양은 선비의 고을답게 관학이었던 함양향교와 안의향교, 그리고 사학인 남계서원, 청계서원 등 많은 서원이 남아 있는 곳이다. 남계서원, 청계서원, 함양향교에 이어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안의면 향교길 15)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인 안의향교(전교 신왕용)를 소개한다. 안의향교는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6호로 지정됐다. 안의향교는 안의면 동북쪽 교북리 마을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 외삼문인 재천루가 굳게 닫혀 있어 좌우로 살펴보았으나 관리사는 없는 듯하고 평지에 건립되어 있으나 담장이 높아 내부를 촬영하기에도 힘들었다. 안의향교는 함양 군민의 유학 교육을 담당하던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1473년(조선 성종 4)에 현감 최영이 세웠다. 1597년 정유재란 당시 불에 타 사.. 2021. 8. 13.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천 신녕향교 조선시대 현유의 위패를 모시고 지방민을 교육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녕향교는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기록이 불타 없어져 언제 지어졌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태종 18년 (1418)에 지어졌을 것으로 본다. 또한 조선 명종 6년(1551)에 지어졌다고도 한다. 원래는 화산 밑 명천 마을 위에 있었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7년《1655)에 지금의 향교 뒤편에 다시 지어졌다가 숙종 12년(1686)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02호로 지정된 대성전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168호로 지정된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다. 신녕향교는 평지에 위치하고 있으나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제례공간인 대성전을 뒤쪽에 배치하.. 2021. 8. 11.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 운봉향교 雲峰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 운봉향교 雲峰鄕校 운봉향교는 태종 10(1410)때 처음 세워 선조 8(1675) 때 가산리로 옮겼다. 그후 인조 18년(1640)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으며 영조때 건물을 크게 늘려 지었다. 1758년에 현감 이건(李建)이 중수하였으며,1967·1970·1973년에 보수하였다. 운봉향교 육백주년기념비는 2014년 11월 3일 이환주 남원시장과 장종한 시의장, 서정기 성균관장, 향교 유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을 실시했다. 운봉향교는 비교적 평지에 건립되어 있으나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위치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이다. ​ 특이한 점은 명륜당이 대성전을 마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라북도 향교의 경우 순창향교의 명륜당이 대.. 2021. 8. 11.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향교 咸陽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향교 咸陽鄕校 Hamyang Local Confucian School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에 위치한 함양향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이다. 1398년(태조 7)에 향교로 건립되었다고 하는데,원래는 고려 때 경학을 공부하였던 소소당(昭昭堂)이 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다시 세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함양향교의 건물배치는 강학공간을 앞쪽에,제향공간을 뒤쪽에 두는 향교 건물배치의 일반적 형태인 전학후묘(前學後廟)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지형 탓으로 정문인 태극루를 비롯해 명륜당과 대성전 영역이 일직선 상에 놓여있지 않고 급경사의 땅에 여러 층단을 .. 2021. 8. 7.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인 옥천향교로 들어서는 홍살문에 서면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바로 명륜당이 보인다. 조선시대에 지방의 교육 기관의 역할을 했던 옥천향교 건물의 배치는 향교의 일반적인 배치방식인 전학후묘로 앞에는 교육을 위한 강당인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고 중간에는 내삼문을 두고 그 뒤편에 문묘인 대성전과 동무• 서무가 있다. 옥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중에 소실되었다가 그뒤 중건되었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속 건물로 기숙사인 홍도당(弘道堂)과 관리.. 2021. 7. 31.
[한국의 향교 대구] 대구향교 [한국의 향교 대구] 대구향교 2021년 7월 21일 대구광역시 향역에 있는 대구향교와 칠곡향교, 현풍향교를 둘려보기로 했는데 현풍향교는 시간관계상 다음에 방문하기로 했다. 대구향교의 특징이라면 향교의 건물들이 모두 평지에 건립되어 있는데 특히 제향영역인 대성전이 명륜당 바로 옆에 좌묘우학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향교들은 경사지에 위치한 경우 전학후묘의 배치형식이거나 평지일 경우에는 전묘후학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평지에 건립되어 있는 전주향교, 경주향교, 정읍향교 등이 전묘후학의 배치형식이다. 확인해본 결과 대구향교 역시 교동에 있을때는 전묘후학으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1932년 시가지를 확장하면서 현재와 같이 자리 잡았다고 한다. ​ 밀양향교의 경우가 명륜당 좌측 높은 곳에 제향영역인 .. 2021. 7. 22.
[한국의 향교 대구] 칠곡향교 [한국의 향교 대구] 칠곡향교 칠곡향교는 대구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번지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1981년 7월 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칠곡면이 대구시로 편입되었으나 칠곡향교의 향역(鄕域)은 대구광역시 북구(구 칠곡면)와 칠곡군 왜관읍,지천면, 동명면으로 이전과 같다. 칠곡향교의 전통문화체험관은 2013년 3월 개관하여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에 진력하고 있다. 양현당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는데 칠곡향교에서 지금은 볼 수 없는 양현각에서 그 명칭을 따 온것으로 보인다. 칠곡향교 문이 닫혀 있어 전통문화체험관인 양현당에 사무실이 있는 것 같아 가보려 했으나 그만 뒀다. 사무실에서 향교를 기웃거리며 촬영하는 방문객의 모습을 보고도 관심이 없으니~~~ 칠곡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 2021. 7. 2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고산향교 高山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고산향교 高山鄕校 고산향교는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고산로 147-23)에 있는 조선 전기에 건립한 향교이다. 고산향교 외삼문을 들어서면 먼저 정면으로 명륜당이 보인다.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을 따랐다. 명륜당을 중심으로 뒷편에 동재와 서재가 있고 내삼문과 대성전이 자리잡고 있다. 외삼문-명륜당-내삼문-대성전을 하나의 축선상에 배치하여 뚜렷한 수직적 위계를 보여주고 있다. 고산향교는 태조 때 처음 세웠으나 정종 때 원인 모를 불로 모든 건물이 타버렸다. 그 뒤 향교를 복구하였지만 임진왜란 때 또다시 불타버렸다. 선조 34년(1601)부터 대성전을 비롯한 건물들을 다시 짓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상징하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또)’ 이라고.. 2021. 7. 8.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산 하양향교 河陽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천 하양향교 河陽鄕校 Hayanghyanggyo Confucian School ​ 하양향교는 조선 선조 13년(1580)에 처음 지었고, 영조(재위 1724∼1776) 때 크게 고쳤다. 순조 3년(1803)에 대성전을 수리하였으며 철종 13년(1862)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수리하였다. ​ 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과 명륜당, 동재, 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의 위치는 명륜당 앞인데, 이 향교는 동재·서재가 명륜당 뒤에 있는 특이한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그의 제자와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출장중 장거리 운전시에는 잠시 고속도로를 나와 국도로 이동을 하는 날도 적지 않다. 대구.. 2021. 7. 3.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천향교 영천향교 永川鄕校 보물 제616호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은 조선 세종(世宗) 17년(1435)에 건립되 었고,그 후 중종仲宗) 8년(1513)경 군수 김흠조(金歎祖)와 광해군光海君) 14년(1622)경 군수 황효의(黃孝儀)에 의해 여러차례 의 보수를 거 쳐 오늘에 이 르고 있다. 이 건물은 영천향교의 문묘로서 공자를 비 롯한 성 현 25분의 위패를모시고봄 • 가을로제향을올리고있다. 건물은 정 면 5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집 으로,전퇴(前退)를 두지 않고,정 면 평 주칸에 바로 문과 창을 내 었다. 기둥을 높게 하여 건물을 훤출하게 보이 게 했으며,상부의 가구(架構) 를 간경 하게 처 리 하여 내부를 경 쾌 하게 구성 한 것 이 특징이다. ​ ​ Yeongcheon Hyanggyo Daeseongjeon.. 2021. 7. 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홍살문을 지나 200여미터 올라가면 우측에 부안향교 주차장이 나온다. 위 사진들은 부안향교 주차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좌측에 보이는 단칸문인 출입문 우측 담장 앞으로 현감과 교수들의 공덕을 기리는 많은 비석들이 옮겨져 세워져 있다. 부안향교는 올라가는 입구부터 경사가 심한 편이라 석축과 돌계단이 많다. 향교로 들어서는 출입문 바로 뒤에도 만화루가 바짝 붙어 위치해 있는데 아마도 보수 과정에서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부안향교 경내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 서재, 양사재, 전사각, 진덕재, 만화루 등이 있다. 명륜당은 대성전과 함께 조선 태종 14년(1414)에 처음 지었으나,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에 다시 지었으며, .. 2021. 7. 3.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 영해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 영해향교 ​ 6월 29일 영덕향교를 거쳐 영해향교를 방문했다. 영해향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3호로 2006년 9월 14일 지정됐다. 향교는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 중등교육기관으로 전국 대부분의 향교들이 조선조에 들어와서 창건되었는데 비해 영해향교는 고려시대인 1346년에 창건하여 다른 곳보다 비교적 이른 시대에 건립되었다. 조선 중종 24년(1529)에 현 위치에 이건하였다. ​ 영해향교는 경사지에 건립하는 일반적인 예에 따라 대성전을 명륜당 뒤에 두는 전학후묘방식을 택하였으며,태화루를 제외한 대성전,명륜당,동 • 서재는 2009년에 중수 하였고,동 • 서무와 내삼문,전사청은 전에는 없었으나 과거의 기록에 따라 이 때에 새로 만들었다. 대성전에는 5성, 동 • 서무에 .. 2021. 6. 2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향교 盈德鄕校 ​ 영덕향교는 영덕읍내 화개서길 골목길에 자리하고 있었다. 포항에서 1시간 정도를 달려 영덕향교에 도착했으나 개방을 하고 있지 않있다. 혹시나 하여 유림회관에 있는 전화번호로 연락을 해봤으나 상황상 관람을 할 수 없었다. 아쉽지만 담장 넘어로 볼 수 밖에~~~ 다음 목적지는 영해향교다. 영덕향교의 외삼문 옆의 안내판을 읽다보니 '향교란 지방에 있는 문묘(대성전, 동재, 서재)와 이에 부속된....'이라고 적여 있는데 동재와 서재는 문묘가 아닌 명륜당에 부숙된 지금의 기숙사와 같은 곳인데 아마도 동무와 서무를 잘 못 표시한 것 같다. 영덕향교의 안내문에 따르면 영덕향교는 태종 10년(1410) 영덕읍 덕곡리에 창건하였으나 1914년 영덕 공립보통학교 신설에 의하여.. 2021.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