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한국의 향교146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 옥과향교 玉果鄕校 2021년 6월 27일 옥과향교(전교 박대하)를 방문했다. 아쉽게도 외삼문이 굳게 닫혀 있어 외부에서 보이는 곳만 촬영했다. ​ 옥과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원래는 옛날의 읍터인 연화리 황산에 있었다가 1649년경에 율정으로 옮겼다. 현 위치로 옮긴 것은 영조 31년1걔5인데 풍수설에 따라 당시 현감인 송명홈이 설산 아래로 옮겼다. 이후 정조 20년(1796)과 고종 35년(1898)에 다시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렀다. ​ 옥과향교는 학문을 갈고 닦는 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두고, 중국의 공자와 우리나라 선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뒤쪽의 높은 곳에 두어 일반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이 외에도 대성전을 오르내리는 내삼문, 학생들.. 2021. 6. 27.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古阜鄕校 ​ 전주에서 몇일 쉬는 틈에 한국의 향교중 전라북도에 있는 향교 중에 아직 촬영하지 못한 곳을 마무리 하기로 하고 정읍지역을 목표로 출발했다. 가는 길에 김제 금구향교를 거쳐 태인향교 - 고부향교 - 정읍향교 순으로 돌아 본 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정읍 칠보의 무성서원에도 들렸다. 고부향교는 1403년(태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7년(선조 30)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하였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4호로 19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대성전으로 향하는 높은 돌계단 위의 내삼문이 보인다. 돌계단을 .. 2021. 6.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泰仁鄕校 태인향교는 1421년(세종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태인면 서쪽 3리 지점에 창건되었다. 1510년(중종5)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복원하였다. ​ 태인향교는 최익현 의병장이 이끄는 태인의병이 며무르며 전력을 강화 하였던 곳으로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기도 하다. 최익현은 1900년 4월 충청남도 정산으로 내려와 있다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전라북도 태인으로 내려가 1906년 6월 4일 임병찬과 함께 무성서원에서 태인의병을 일으켰다. 태인의병이 곧바로 태인읍으로 진격하자 태인군수는 의병의 기세에 눌려 달아났다. 태인의병은 태인향교에 머무르면.. 2021. 6. 2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金溝鄕校 금구향교는 평지에 건설되었으나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배치가 좀 특이하다. 만화루의 문은 개방을 하고 있지 않고 있고 좌측 주차장쪽에 외삼문이 있는데 외삼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대성전이 우측에 명륜당이 마주보고 자리잡고 있다. 6월 22일 방문한 김제 금구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 지붕 보수공사중 이었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3호인 금구향교 대성전은 이곳 대성전은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왕조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나라에서 각 지방에 향교라는 학교를 세우고 그 안에 대성전을 두어 유학을 장려하였다. 금구향교는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금구 동쪽 변두리에 처음 세웠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서혈산(西趙山) 아래에 다시 세웠으나, 지.. 2021. 6. 22.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인 공주향교는 조선시대에 성현과 유학자(孔子와 四聖. 孔門10哲. 宋朝6賢. 우리나라18賢)의 위패를 모시고 석전대석전대제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중의 하나이다. 태조7년(1374) 웅진동 송산 기슭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며, 광해군14년(1622) 화재로 인하여 인조 1년(1623)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해진다. ​ 앞쪽에 교육공간을 뒤쪽에 제사공간을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건물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무 서무,유생들이 학업을 연마하던 명륜당, 서책과 목판을 보관한 존경각, 제사용품을 보관한 제기고,관리인이 사용한 고직사가 있다. ​ 조선시대에는 국.. 2021. 6. 15.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에 위치한 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전해 오며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1년 6월 12일 오후에 방문했다. 부여향교 바로 앞에는 유네스코세계유산인 정림사지가 있다. 홍살문을 지나니 외삼문이 닫혀 있다. 관광도시의 향교들은 대부분 개방을 하고 있는 곳이 많은데 주말인데고 의외로 굳게 닫혀 있었다. 유림회관에도 인적이 없는 듯하여 아쉽지만 다행이 낮은 담장너머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단히 촬영을 했다. 부여향교의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 2021. 6. 14.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으로 각 고을마다 세워져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향교, 천안향교는 1398년(조선 태조 7년)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서 1606년(선조 39년)에 댜시 지었다고 한다. 명륜당의 상량문에는 1656년(효종 7년)에 상량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저시 지은 년대를 알 수 있고 그후에도 여러번 고쳐 지었다. 천안향교에는 공자 및 중국의 성현들을 모시고 봄가을에 제향을 받들고 있는 대성전, 우리나라 산현 18인을 제향하는 동무와 서무,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 유생들이 기숙하던 동재와 서재 등이 있었으나 동재는 일제시대에 헐려서 서재만 남아 있다가 1983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천안향교는 1984년 5월 17일 대성전이 충청남도 문.. 2021. 6. 11.
[한국의 향교 경기도] 수원향교 水原鄕校 [한국의 향교 경기도]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는 1291년(고려 충렬왕 17년) 당시 수원의 읍 중심이었던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화산 앞에 세워져 있었다. 그 후 1789년(정조13년) 가을 500년 가까운 세월을 화산앞 구읍지에 세워져 있던 것을 정조대왕이 부왕(父王)인 사도세자의 원침(園寢)을 양주 배봉산에서 현재의 화산으로 천장(遷葬)하기 위하여 수원읍지를 팔달산 동쪽 현재 4대문 안으로 옮길때 현재 위치인 교동43번지에 이전 건축하게 되었다. 처음 이전 당시에는 급히 서두른 탓으로 목재 대부분은 구건물의 것을 재활용하였으며 건물의 하부가 물에 잠기어 목재가 썩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1795년(정조19년) 개축하게 되었고 그 후에도 훼손되거나 화재로 인하여 수차에 걸쳐 보수하여 왔다. 향교는 성.. 2021. 6. 10.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한국의 향교 경기도] 여주향교 驪州鄕校 여주 향교는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데 정확힌 시기는 알 수 없다. 앞쪽 낮은 곳에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 높은 곳에 제향을 지내는 대성전이 있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그 규모는 크지 않다. 향교의 부속 재료 형태와 모양새가 지역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향교이다. 2021년 6월 9일 오후에 방문했다. 여주향교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으로 되어 있으며 공포가 익공( 첨차(植適) 위에 소로와 함께 얹는, 짧게 아로새긴 나무) 양식으로 되어 있어 단아하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人(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보호수로 지정된 여주향교 서무 앞의 나무는 보호수 지정 당시 수령이 150년된 향나무이다... 2021. 6. 10.
[한국의 향교 경기도] 과천향교 果川鄕校 과천향교 果川鄕校 Gwacheon Hyanggyo 2021년 6월 9일 서울 출장길에 공주향교 - 천안향교 - 안성향교 - 수원향교를 거쳐 마지막으로 과천향교를 방문했다. 과천향교는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개방을 하고 있었고 명륜당에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다. 30분정도 소요되는 문화관광헤설사와 함께하는 과천향교관람은 11시, 12시 30분, 14시 30분, 15시 30분 1일 4회 운영한다. 과천향교는 하절기(3월-10월)에는 10:00-17:00, 동절기(11월-2월)에는 10:00-16:00 개방하며 월요일은 개방하지 않는다. 단체관람은 예약을 해야 한다. (문의 02-502-2944) 과천향교는 아래 과천향교의 안내자료에서도 확인하겠지만 명륜당과 대성전 앞에 있어야 할 동• 서재와 동•서무가.. 2021. 6. 10.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향교 金堤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향교 金堤鄕校 김제향교는 1404년(태종 4)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5년(인조 13)에 중건하였으며, 그 뒤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만화루(萬化樓)·교직사(校直舍)·내삼문(內三門) 등이 있다. ​ 명륜당은 임진왜란 때에 소실된 것을 1842년에 보수하고 1879년에 중수하였으나 6·25사변 때 다시 소실된 것을 1958년에 복구하였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의 고주(高柱)집으로 되어 있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며, 만화루는 2층 누각인데 임진왜란 때에 .. 2021. 6. 4.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창녕향교 昌寧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창녕향교 昌寧鄕校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인 창녕향교는 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 지역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 목적으로 설립된 전통시대의 지방 교육기관이다. 창녕 향교의 건립 연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조선 효종 원년(1650)에 한 차례 중건되었으며, 그 이후에도 여러 차례 중수가 있었다고 한다. 1987년에 동•서재를 복원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이 완성되었다. ​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들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과 일상생활을 하는 동 재와 서재는 교육 기능을 담당하고, 공자와 저명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 및 동무와 서무는 제례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창녕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 공간을 앞쪽에, 제례 공간을.. 2021. 6. 4.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창녕 영산향교 靈山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창녕 영산향교 靈山鄕校 6월 3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밀양향교에서 영산향교로 향했다. 영산향교 방문후에는 20여분 거리에 위치한 창녕향교를 방문했다. 영산향교는 유학을 가르치기 위해 국가가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이다. 향교는 지금의 중.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올 담당했던 곳으로 시나 문장을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가르쳤고 중국과 조선의 성현에게 제사를 올렸다. 영산 향교가 처음 세워진 시기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중종(재위 1506∼1544) 때 다시 지은 것이 임진왜란 때 없어졌다가 다시 세워 졌고, 1959년에 대성전과 명륜당을 고쳐 지었다. 향교의 공간은 크게 두 곳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생활 장소인 동재와 서재는 앞쪽에 두고 제례공간인.. 2021. 6. 4.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영남지방의 대표적 향교 밀양향교 密陽鄕校 밀양향교 密陽鄕校 Milya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6월 3일 포항출장을 마치고 전주로 가는길 밀양을 경유하기로 했다. 출발 당시에는 비가 내리지 않았는데 고속도로를 들어서니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밀양향교의 대성전과 명륜당은 지난해 12월 29일 문화재청에 의해 보물로 지정됐다. 밀양 향교는 고려 숙종(1100)때 부북면 용지리에 지어졌다. 경주향교, 진주향교와 함께 영남 지방을 대표할 정도로 규모가 컸으며, 임진왜란 때 불 탄 후 1602년 현 위치에 다시 지어졌다. ​ 밀양향교의 풍화루를 들어서면 중앙에 명륜당이 좌우측으로 동재와 서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대성전이 보이지 않는다 . 향교는 일반적으로 교육 영역을 앞쪽에, 제례 영역을 뒤쪽에 두는 데 특이하게도.. 2021. 6. 4.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언양향교는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97년10월 9일 지정되었다.. 언양향교는 반월산 아래에 창건 되었다. 그 뒤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가, 화장산 아래로 또 옮겼고, 마지막으로 지금의 위치에 다시 옮겨 전하고 있다. ​ 彦陽鄕校가 언제 設立되었는지는 記錄이 남아 있지 않아 正確한 年代는 考證할 수 없다. 그러나 史料가 전하는 정황으로 보아 高麗末期에서 朝鮮初期에 彦陽邑城 北方1리 半月山 기슭에 최초 設立 되었 다가 邑城 南方3리 德泉으로 옮김. 다시 邑城 西方2리 花藏山으로 옮겼다가 지금의 위치(德泉)에 또다시.. 2021. 6.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