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성전122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여수향교 麗水鄕校 추석연휴인 9월 19일 구례향교 - 순천향교를 경유하여 여수향교(麗水鄕校)와 돌산향교를 방문했다. 여수향교는 전남 여수시 군자길 46 (군자동) 여수 앞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한말의 향교로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4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여수향교의 풍화루는 평시에는 닫혀있으니 풍화루 우측 비석군 옆 골목으로 올라가서 협문을 이용하여 향교로 들어가면 된다. 풍화루 우측에 주차장이 있으나 협소하고 도로변에 주차가 가능하다. 여수향교(전교 정준호)는 1897년(광무 1년)에 세운 여수군의 향교이다. 처음에는 제사를 지내는 장소인 대성전과 동재,서재만 갖추어 지었다가 1934년에 교육용 강당인 명륜당과 풍화루를 새로 지었고 1949년에 앞면 3칸, 옆면 3칸이던 대성전을 앞면.. 2021. 9. 21.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순천향교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하기에 현재 출장중에 시간을 내어 진행하고 있는 향교 탐방중 전라남도 지역의 향교를 몇군데 경유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다녀온 70여곳의 향교 중 전라남도 지역은 옥과향교 딱 한군데 뿐이었다. 남원에서 구례 순천 여수로 가는 국도 19호선 인근의 향교를 검색하여 곡성향교 - 구례향교 - 순천향교 - 여수향교 - 돌산향교를 경유하여 오동도와 여수 밤바다를 구경하고 돌아오는 코스를 택했다. 그 두번째로 대성전이 2020년 12월 28일 보물 제2101호로 지정된 순천향교를 소개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인 순천향교(전교 서진원) 외삼.. 2021. 9. 20.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구례향교 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하기에 현재 출장중에 시간을 내어 진행하고 있는 향교 탐방중 전라남도 지역의 향교를 몇군데 경유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다녀온 70여곳의 향교 중 전라남도 지역은 옥과향교 딱 한군데 뿐이었다. ​ 남원에서 구례 순천 여수로 가는 국도 19호선 인근의 향교를 검색하여 곡성향교 - 구례향교 - 순천향교 - 여수향교 - 돌산향교를 경유하여 오동도와 여수 밤바다를 구경하고 돌아오는 코스를 택했다. 구례향교 하마비에는 과차개하마(過此皆下馬)라 쓰여 있고 흐면에는 건립일자가 새겨져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인.. 2021. 9. 20.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청도향교 향교의 배치는 문묘공간인 대성전과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 뒤 일직선상으로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나,청도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우로 놓여 있는 독특한 배치를 보이고 있다. 좌우로 배치된 경우에는 대부분 대성전이 명륜당 좌측 높은 곳에 위치한다. 필자가 현재까지 탐방한 전국의 향교 중에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우로 배치된 향교는 대구향교와 밀양향교인데 밀양향교의 대성전은 원래 전학후묘로 명륜당 뒤에 있었으나 인재가 나지 않는다 하여 명륜당 좌측 위쪽으로 옮긴 경우이다. 청도읍성쪽에서 사진의 협문을 통해 청도향교로 들어서면 바로 대성전으로 들어서는 내삼문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청도향교를 둘러보면 명륜당 앞 사락루 앞에 사주문과 외삼문이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곳은 정문이 아닌 편의를 위해 설치된 문으로.. 2021. 9. 8.
[한국의 향교 대구광역시] 달성 현풍향교 2021년 7월 21일 대구광역시 향역에 있는 대구향교와 칠곡향교, 현풍향교를 탐방할 예정이었으나 방문하지 못했던 현풍향교(玄風鄕校)를 8월 29일 방문했다. 현풍향교는 달성군 현풍면 북쪽 상단, 남을 향하고 있는 동쪽에 비슬산이 둘러있고 서쪽에는 낙동강이 유유히 흐르며 남쪽에는 대니산과 화왕산이 넓은 들판을 환옹하고 있다 현풍향교는 달성군 현풍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늦어도 조선 시대 전기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옛 교동에 다시 지었다가,영조 34년(1758)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었다. 이때 동무와 서무를 새로 건축하였고,그 후 1900년대에 여러 차례 수리 하였다 현풍향교의 배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 2021. 9. 8.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산향교 경산향교 慶山鄕校 [한국의 향교 탐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69호 경산향교를 소개한다. 경산에는 경산향교와 자인향교가 있다. 먼저 경산향교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앞쪽에 두고 교육 공간인 뒤쪽에 두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배치형태가 특이하다. 전묘후학의 배치방식을 따른 향교는 전국적으로 매우 드문 사례이다. 전묘후학의 배치방식을 따른 향교는 대부분 평지에 건립된 곳으로 전주향교, 정읍향교, 경주향교 등 이 있다. 경산향교는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옥곡동에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크게 훼손되어 1681년에 신교동으로 옮겼다. 1911년에는 경산공립보통학교경산초등학교를 설립하려고 향교 안에 여러 건물을 해체하였다. 또 1997년에 도로를 확장하는 공사로 말미암아 대성전과 내삼문, 사주문만 현재의 자리.. 2021. 8. 21.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산 자인향교 慈仁鄕校 8월 13일 오후 먼저 경산향교를 둘러 본 후 승용차로 20분내 거리인 자인향교를 들렸다. 자인향교는 1562년(명종17)년에 경주부윤 이정이 세웠는데 임진왜란 때 불탔다. 그 뒤 1637년에 경주부에서 독립하여 위상이 높아진 자인현은 1672년에 향교를 고쳐지었고 1675년에는 도천산 아래로 옮겼다가 1727년(영조4년)에 지금의 자리에 다시 세웠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6호로 지정됐다. 향교 앞에는 하마비를 세웠는데, 향교나 서원 앞에 세우는 비석으로 그 앞을 지날 때는 지위가 높거나 낮거나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표지이다. 하마비에는 아래와 같이 새겨져 있다.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 관직이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모두 말에서 내려라. ​ 무술이지일.. 2021. 8. 21.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고창 흥덕향교 흥덕 당간지주 전라북도 고창군 향역에는 고창향교와 무장향교, 흥덕향교가 있다. 먼저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교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인 흥덕향교(興德鄕校)를 소개한다. 흥덕향교 대성전은 1985년 8월 14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흥덕향교는 조선 태종 때인 1406년에 흥덕현(현 흥덕면) 남쪽으로 400m 정도 떨어진 목화정(木花亭) 부근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나, 왜구의 침입으로 불에 타 없어져 광해군 때인 1621년 현 위치로 이전 다시 지어졌다. 구전에 의하면 명륜당 자리는 원래 갈산사 자리였는데 갈산사가 폐치되자 향교를 세웠다고 전한다. 그 뒤로 숙종 때인 1675년 등 수차례 고쳐지어졌다. 1775년(영조 51) 현감 조신협(曺信協)이 유림과 협력하여 사마재(司馬齋)와 양사재(養士齋)를.. 2021. 8. 20.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군산 임피향교 臨陂鄕校 배롱나무꽃 반겨주는 전라북도 군산 임피향교 臨陂鄕校 지금은 군산시 임피면이지만 군산의 옛이름은 임피였다. 군산시 임피면은 백제시대부터 옥구, 회미, 함열 등을 관할한 조선시대 현으로 1895년 옥구현과 함께 군이 되었지만, 1914년 옥구군에 통합되면서 이후 여러 차례 행정개편을 거쳐 군산시 임피면이 되었다. 그래서 군산향교라는 명칭은 존재하지 않는다. ​ 임피향교는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임피향교길 46 (임피면)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임피향교는 배롱나무와 은행나무가 아름다운 곳으로도 유명하다. 8월에 배롱나무에 꽃이 필 때, 가을에 은행잎이 단풍에 물들어 갈 때가 가장 아름답다고 알려져 있다. 1403년(태종 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 2021. 8. 1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향교 舒川鄕校 서천향교는 충청남도기념물 제130호로 충청남도 서천군 서천읍 서천향교길 53-5 (군사리)에 위치하고 있다.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 오후에 방문했다. 서천향교는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라 일직선상에 홍살문 - 외삼문 - 명륜당 - 내삼문 - 대성전 순으로 건립되어 있다. 서천향교는 서천군청에서 북동쪽으로 약 800미터 정도에 위치하고 있다. 서천 향교의 연혁에 대해서는『서천향교지(舒川鄕校誌)』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성덕왕 15년(756)에 서림으로 개창당시 설립읍지가 현재 문산면 신농리 1구(와촌(瓦村) 에 있었고, 향교는 문산면 문장리 1구(옛 禾里)에 있었다 하고, 고려시대에는 고 을의 읍치가 서천읍 남산리에 있었을 때 향교는 마서면 계동리 1구에 있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는 .. 2021. 8. 1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 비인향교 庇仁鄕校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교촌마을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인 비인향교(庇仁鄕校)는 충청남도 기념물 제129호(1997년 12월 23일 지정)이다. 서해바다가 내려다보이는 배롱나무 꽃 활짝 피어있는 비인향교를 광복절 연휴 첫날인 8월 14일에 들렸다. 비인향교는 중국과 조선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도록 나라에서 비인면에 세운 교육기관이다. 1407년(태종7)에 세워진후 여러차례 고쳐 지은 것으로 짐작되지만 구체적인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비인 향교의 건물은 정문인 외삼문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 내삼문, 제사 공간인 대성전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담장으로 둘러 쌓여 있다.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전형적인 향교의 배치방식을 따르고 있다. 비안향교의 문은 닫혀 있었다. 우측에 관리사 .. 2021. 8. 16.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천 신녕향교 조선시대 현유의 위패를 모시고 지방민을 교육하기 위해 만들어진 신녕향교는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면서 기록이 불타 없어져 언제 지어졌는지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태종 18년 (1418)에 지어졌을 것으로 본다. 또한 조선 명종 6년(1551)에 지어졌다고도 한다. 원래는 화산 밑 명천 마을 위에 있었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7년《1655)에 지금의 향교 뒤편에 다시 지어졌다가 숙종 12년(1686)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졌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102호로 지정된 대성전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168호로 지정된 명륜당, 동재, 서재 등이 있다. 신녕향교는 평지에 위치하고 있으나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제례공간인 대성전을 뒤쪽에 배치하.. 2021. 8. 11.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 운봉향교 雲峰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 운봉향교 雲峰鄕校 운봉향교는 태종 10(1410)때 처음 세워 선조 8(1675) 때 가산리로 옮겼다. 그후 인조 18년(1640)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으며 영조때 건물을 크게 늘려 지었다. 1758년에 현감 이건(李建)이 중수하였으며,1967·1970·1973년에 보수하였다. 운봉향교 육백주년기념비는 2014년 11월 3일 이환주 남원시장과 장종한 시의장, 서정기 성균관장, 향교 유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막식을 실시했다. 운봉향교는 비교적 평지에 건립되어 있으나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위치하는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이다. ​ 특이한 점은 명륜당이 대성전을 마주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라북도 향교의 경우 순창향교의 명륜당이 대.. 2021. 8. 11.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옥천향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7호인 옥천향교로 들어서는 홍살문에 서면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바로 명륜당이 보인다. 조선시대에 지방의 교육 기관의 역할을 했던 옥천향교 건물의 배치는 향교의 일반적인 배치방식인 전학후묘로 앞에는 교육을 위한 강당인 명륜당이 자리하고 있고 중간에는 내삼문을 두고 그 뒤편에 문묘인 대성전과 동무• 서무가 있다. 옥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중에 소실되었다가 그뒤 중건되었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부속 건물로 기숙사인 홍도당(弘道堂)과 관리.. 2021. 7. 31.
[한국의 향교 대구] 대구향교 [한국의 향교 대구] 대구향교 2021년 7월 21일 대구광역시 향역에 있는 대구향교와 칠곡향교, 현풍향교를 둘려보기로 했는데 현풍향교는 시간관계상 다음에 방문하기로 했다. 대구향교의 특징이라면 향교의 건물들이 모두 평지에 건립되어 있는데 특히 제향영역인 대성전이 명륜당 바로 옆에 좌묘우학으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향교들은 경사지에 위치한 경우 전학후묘의 배치형식이거나 평지일 경우에는 전묘후학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평지에 건립되어 있는 전주향교, 경주향교, 정읍향교 등이 전묘후학의 배치형식이다. 확인해본 결과 대구향교 역시 교동에 있을때는 전묘후학으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1932년 시가지를 확장하면서 현재와 같이 자리 잡았다고 한다. ​ 밀양향교의 경우가 명륜당 좌측 높은 곳에 제향영역인 .. 2021. 7.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