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대성전122

[한국의 향교 대구] 칠곡향교 [한국의 향교 대구] 칠곡향교 칠곡향교는 대구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번지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1981년 7월 1일 행정구역 변경으로 칠곡면이 대구시로 편입되었으나 칠곡향교의 향역(鄕域)은 대구광역시 북구(구 칠곡면)와 칠곡군 왜관읍,지천면, 동명면으로 이전과 같다. 칠곡향교의 전통문화체험관은 2013년 3월 개관하여 인성교육과 예절교육에 진력하고 있다. 양현당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는데 칠곡향교에서 지금은 볼 수 없는 양현각에서 그 명칭을 따 온것으로 보인다. 칠곡향교 문이 닫혀 있어 전통문화체험관인 양현당에 사무실이 있는 것 같아 가보려 했으나 그만 뒀다. 사무실에서 향교를 기웃거리며 촬영하는 방문객의 모습을 보고도 관심이 없으니~~~ 칠곡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 2021. 7. 22.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천향교 영천향교 永川鄕校 보물 제616호 대성전 영천향교 대성전은 조선 세종(世宗) 17년(1435)에 건립되 었고,그 후 중종仲宗) 8년(1513)경 군수 김흠조(金歎祖)와 광해군光海君) 14년(1622)경 군수 황효의(黃孝儀)에 의해 여러차례 의 보수를 거 쳐 오늘에 이 르고 있다. 이 건물은 영천향교의 문묘로서 공자를 비 롯한 성 현 25분의 위패를모시고봄 • 가을로제향을올리고있다. 건물은 정 면 5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집 으로,전퇴(前退)를 두지 않고,정 면 평 주칸에 바로 문과 창을 내 었다. 기둥을 높게 하여 건물을 훤출하게 보이 게 했으며,상부의 가구(架構) 를 간경 하게 처 리 하여 내부를 경 쾌 하게 구성 한 것 이 특징이다. ​ ​ Yeongcheon Hyanggyo Daeseongjeon.. 2021. 7. 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홍살문을 지나 200여미터 올라가면 우측에 부안향교 주차장이 나온다. 위 사진들은 부안향교 주차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좌측에 보이는 단칸문인 출입문 우측 담장 앞으로 현감과 교수들의 공덕을 기리는 많은 비석들이 옮겨져 세워져 있다. 부안향교는 올라가는 입구부터 경사가 심한 편이라 석축과 돌계단이 많다. 향교로 들어서는 출입문 바로 뒤에도 만화루가 바짝 붙어 위치해 있는데 아마도 보수 과정에서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부안향교 경내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 서재, 양사재, 전사각, 진덕재, 만화루 등이 있다. 명륜당은 대성전과 함께 조선 태종 14년(1414)에 처음 지었으나,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에 다시 지었으며, .. 2021. 7. 3.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 영해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 영해향교 ​ 6월 29일 영덕향교를 거쳐 영해향교를 방문했다. 영해향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13호로 2006년 9월 14일 지정됐다. 향교는 국가에서 설립한 지방 중등교육기관으로 전국 대부분의 향교들이 조선조에 들어와서 창건되었는데 비해 영해향교는 고려시대인 1346년에 창건하여 다른 곳보다 비교적 이른 시대에 건립되었다. 조선 중종 24년(1529)에 현 위치에 이건하였다. ​ 영해향교는 경사지에 건립하는 일반적인 예에 따라 대성전을 명륜당 뒤에 두는 전학후묘방식을 택하였으며,태화루를 제외한 대성전,명륜당,동 • 서재는 2009년에 중수 하였고,동 • 서무와 내삼문,전사청은 전에는 없었으나 과거의 기록에 따라 이 때에 새로 만들었다. 대성전에는 5성, 동 • 서무에 .. 2021. 6. 2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덕향교 盈德鄕校 ​ 영덕향교는 영덕읍내 화개서길 골목길에 자리하고 있었다. 포항에서 1시간 정도를 달려 영덕향교에 도착했으나 개방을 하고 있지 않있다. 혹시나 하여 유림회관에 있는 전화번호로 연락을 해봤으나 상황상 관람을 할 수 없었다. 아쉽지만 담장 넘어로 볼 수 밖에~~~ 다음 목적지는 영해향교다. 영덕향교의 외삼문 옆의 안내판을 읽다보니 '향교란 지방에 있는 문묘(대성전, 동재, 서재)와 이에 부속된....'이라고 적여 있는데 동재와 서재는 문묘가 아닌 명륜당에 부숙된 지금의 기숙사와 같은 곳인데 아마도 동무와 서무를 잘 못 표시한 것 같다. 영덕향교의 안내문에 따르면 영덕향교는 태종 10년(1410) 영덕읍 덕곡리에 창건하였으나 1914년 영덕 공립보통학교 신설에 의하여.. 2021. 6. 29.
전주향교 전통성년례 관례(冠禮) 전주향교 부모님과 함께하는 전통성년례 관례(冠禮) ​ 전주향교(전교 유옥균)는 6월 26일 오전 11시 전통성년례 '부모님과 함께하는 관례(冠禮)'행사를 실시했다. 문화재청과 전라북도 · 전주시가 지원하는 향교 · 서원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전주향교 주관으로 실시된 이번 전통성년례 '시방까지 어리광인가(부모님과 함께하는 관례)' 행사에는 관자로 서울과 전주지역에 유학중인 중국과 베트남 유학생들도 함께 참가했다. 이번 행사는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 정부방역지침을 준수하며 셩년이 되는 관자 9명과 행사 진행을 맡은 전주향교 유림 등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유옥균 전교는 인사말에서 "요즘 젊은이들은 독창적이고 다양한 소양을 지니고 있으나 지나치게 충동적이고 권리만 알고 책임을 모른다."며 ".. 2021. 6. 28.
전주향교, 음력5월 망분향례 봉행 전주향교는 24일(음력 5월15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유옥균 전교를 비롯해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인렬 사무국장의 집례로 망분향례를 봉행했다. ​ 이날 분향례는 전주시 사회적거리두기 1.5단계 시행에 따라 약식으로 실시됐으며 정부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다. 2021. 6. 28.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 옥과향교 玉果鄕校 2021년 6월 27일 옥과향교(전교 박대하)를 방문했다. 아쉽게도 외삼문이 굳게 닫혀 있어 외부에서 보이는 곳만 촬영했다. ​ 옥과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원래는 옛날의 읍터인 연화리 황산에 있었다가 1649년경에 율정으로 옮겼다. 현 위치로 옮긴 것은 영조 31년1걔5인데 풍수설에 따라 당시 현감인 송명홈이 설산 아래로 옮겼다. 이후 정조 20년(1796)과 고종 35년(1898)에 다시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렀다. ​ 옥과향교는 학문을 갈고 닦는 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두고, 중국의 공자와 우리나라 선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뒤쪽의 높은 곳에 두어 일반적인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을 따르고 있다. 이 외에도 대성전을 오르내리는 내삼문, 학생들.. 2021. 6. 27.
전주향교, 음력5월 망분향례 봉행 전주향교는 24일(음력 5월15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유옥균 전교를 비롯해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최인렬 사무국장의 집례로 망분향례를 봉행했다. ​ 이날 분향례는 전주시 사회적거리두기 1.5단계 시행에 따라 약식으로 실시됐으며 정부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진행했다. 2021. 6. 24.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古阜鄕校 ​ 전주에서 몇일 쉬는 틈에 한국의 향교중 전라북도에 있는 향교 중에 아직 촬영하지 못한 곳을 마무리 하기로 하고 정읍지역을 목표로 출발했다. 가는 길에 김제 금구향교를 거쳐 태인향교 - 고부향교 - 정읍향교 순으로 돌아 본 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정읍 칠보의 무성서원에도 들렸다. 고부향교는 1403년(태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7년(선조 30)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하였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4호로 19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대성전으로 향하는 높은 돌계단 위의 내삼문이 보인다. 돌계단을 .. 2021. 6.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泰仁鄕校 태인향교는 1421년(세종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태인면 서쪽 3리 지점에 창건되었다. 1510년(중종5)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복원하였다. ​ 태인향교는 최익현 의병장이 이끄는 태인의병이 며무르며 전력을 강화 하였던 곳으로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기도 하다. 최익현은 1900년 4월 충청남도 정산으로 내려와 있다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전라북도 태인으로 내려가 1906년 6월 4일 임병찬과 함께 무성서원에서 태인의병을 일으켰다. 태인의병이 곧바로 태인읍으로 진격하자 태인군수는 의병의 기세에 눌려 달아났다. 태인의병은 태인향교에 머무르면.. 2021. 6. 2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金溝鄕校 금구향교는 평지에 건설되었으나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배치가 좀 특이하다. 만화루의 문은 개방을 하고 있지 않고 있고 좌측 주차장쪽에 외삼문이 있는데 외삼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대성전이 우측에 명륜당이 마주보고 자리잡고 있다. 6월 22일 방문한 김제 금구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 지붕 보수공사중 이었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3호인 금구향교 대성전은 이곳 대성전은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왕조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나라에서 각 지방에 향교라는 학교를 세우고 그 안에 대성전을 두어 유학을 장려하였다. 금구향교는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금구 동쪽 변두리에 처음 세웠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서혈산(西趙山) 아래에 다시 세웠으나, 지.. 2021. 6. 22.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에 위치한 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전해 오며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1년 6월 12일 오후에 방문했다. 부여향교 바로 앞에는 유네스코세계유산인 정림사지가 있다. 홍살문을 지나니 외삼문이 닫혀 있다. 관광도시의 향교들은 대부분 개방을 하고 있는 곳이 많은데 주말인데고 의외로 굳게 닫혀 있었다. 유림회관에도 인적이 없는 듯하여 아쉽지만 다행이 낮은 담장너머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단히 촬영을 했다. 부여향교의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 2021. 6. 14.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조선시대 관립 교육기관으로 각 고을마다 세워져 교육과 교화를 담당했던 향교, 천안향교는 1398년(조선 태조 7년)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에 불에 타서 1606년(선조 39년)에 댜시 지었다고 한다. 명륜당의 상량문에는 1656년(효종 7년)에 상량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저시 지은 년대를 알 수 있고 그후에도 여러번 고쳐 지었다. 천안향교에는 공자 및 중국의 성현들을 모시고 봄가을에 제향을 받들고 있는 대성전, 우리나라 산현 18인을 제향하는 동무와 서무,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 유생들이 기숙하던 동재와 서재 등이 있었으나 동재는 일제시대에 헐려서 서재만 남아 있다가 1983년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천안향교는 1984년 5월 17일 대성전이 충청남도 문.. 2021. 6. 11.
[한국의 향교 경기도] 수원향교 水原鄕校 [한국의 향교 경기도] 수원향교 水原鄕校 수원향교는 1291년(고려 충렬왕 17년) 당시 수원의 읍 중심이었던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화산 앞에 세워져 있었다. 그 후 1789년(정조13년) 가을 500년 가까운 세월을 화산앞 구읍지에 세워져 있던 것을 정조대왕이 부왕(父王)인 사도세자의 원침(園寢)을 양주 배봉산에서 현재의 화산으로 천장(遷葬)하기 위하여 수원읍지를 팔달산 동쪽 현재 4대문 안으로 옮길때 현재 위치인 교동43번지에 이전 건축하게 되었다. 처음 이전 당시에는 급히 서두른 탓으로 목재 대부분은 구건물의 것을 재활용하였으며 건물의 하부가 물에 잠기어 목재가 썩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1795년(정조19년) 개축하게 되었고 그 후에도 훼손되거나 화재로 인하여 수차에 걸쳐 보수하여 왔다. 향교는 성.. 2021. 6.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