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향교181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함열향교 전주에서 공주로 가는 길에 함열을 경유 함열향교와 함라마을옛담장, 익산교도소세트장을 방문했다. 함열향교와 함라마을옛담장은 바로 옆에 있고 교도소세트장은 약 2km 정도이니 함께 돌아보기 좋은 코스이다. 함열향교는 닫혀 있었다. 함라마을옛담장과 함라한옥체험관이 바로 옆에 있으니 개방을 하면 더욱 좋을텐데 아쉽다. 향교의 문을 활짝 열고 살아 숨쉬는 향교로 만들어 보았으면 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국가 지도 이념으로 채택된 유교와 성리학을 백성에게 보급시키기 위해 1읍 1교의 원칙에 따라 전국 모든 고을에 향교가 건립됐는데 현재 익산 지역에는 익산향교, 여산향교, 용안향교, 함열향교 4개 향교가 있고 전라북도에는 현재 26개의 향교가 있다. 고부향교 · 고산향교 · 고창향교 · 금구향교 · 김제향교 · 남원.. 2022. 3. 31.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김천 김산향교 김산향교는 김천시 외각 교동 산허리에 동향으로 마을을 내려다보며 전학후묘의 배치형태로 자리잡고 있다. 특징이라면 동재와 서재가 명륜당 뒤에 위치하는 전재후당형이다. 전재후당형은 호남지역의 향교에서 많이 볼 수 있으나 경북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유형이다. 김산향교는 중설(中設)로 50명의 유생을 수용해 훈도가 교육을 담당하던 곳이었다. ​ 김산의병 창의지 김산향교 김산향교 입구에는 향교 안내판과 함께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김산향교는 1896년 3월 여영소 · 여중룡 등이 김산의병을 일으킨 곳이다. 여영소와 여중룡을 비롯한 김천 유생들이 1896년 1월 김산향교에 모여 통문을 띄우고, 의병을 일으킬 것을 계획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상주와 선산의 이기찬 · 허위 등이 의병을 이끌고 김.. 2022. 3. 24.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합천향교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2022년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에 들렸다. 합천 향역에는 야로면에 합천향교, 삼가면에 삼가향교, 합천읍에 강양향교, 초계면에 초계향교 4개의 향교가 있는데 이 날은 대구광주고속도로 해인사IC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합천향교를 들렸다. ​ 합천향교는 일반 향교와는 달리 평지에 위치하고 있으나 대성전이 명륜당 좌측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평지에 있는 향교는 대부분 대성전을 앞에 두고 명륜당을 뒤에 두는 전묘후학으로 건립되어 있다. 함천향교처럼 좌묘우학의 배치는 대구향교, 밀양향교 등이 있다. 합천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정위에 모시고 사성(안자,증자,자사,맹자)를 배향하고 있으며 동종과 서종에는 신라조 이현, 중국 이현, 고려조 이현, 조선조 1.. 2022. 3. 13.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괴산향교 3월 3일 오늘은 새벽에 포항에서 충북 괴산으로 출발하여 육군학생군사학교에서 로 열린 2022년 학군장교(ROTC) 임관식을 취재하고 오후에는 괴산향교(槐山鄕校)와 주변을 천천히 돌아보며 다시 포항으로 복귀했다. 아무래도 지난 겨울에는 향교 탐방이 좀 뜸했던 것 같다. 꽃샘추위정도는 있겠지만 이제 완연한 봄날씨가 계속되고 있으니 일단 첫번째 목표인 100번째 탐방하는 향교는 3월 중에 방문 할 수 있을 거 같다. 충북지역 12개 시·군 가운데 괴산군 향역에는 가장 많은 3곳의 향교가 남아 있다. 괴산향교와 연풍향교, 청안향교가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2호(1981년 12월 26일 지정)로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향교길 23(서부리 104) 에 위치한 괴산향교(전교 류병한)는 조선 초기에 창건되고.. 2022. 3. 5.
최인열 전주향교 제30대 전교 취임 전주향교는 지난 27일 문화관에서 제29대·30대 전주향교 전교 이취임식과 고유례를 봉행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준수하고 철저히 방역을 실시한 가운데 최소한의 인원만 참석한 가운데 실시됐다. 최인열 신임 전교는 취임사를 통해 유서 깊은 전주향교는 오랜 역사와 굴곡을 겪으면서도 끊임없이 이어온 선유들의 유학정신을 면면히 이어받아 인간 정신문화와 도덕성 회복에 힘쓰고 있다. 문화와 예술이 살아 숨 쉬는 예향 전주에 찬란한 우리 고유문화를 전승해온 자랑스런 향교에 많은 관심을 부탁했다. 이어 최인열 전교는 “전주향교에서는 유적관리와 석전대제 등 의례봉행, 인성교육과 한문교육, 서예와 같은 각종 교육과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사업의 범위가 매우 넓다”.. 2021. 12. 2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포항 청하향교 청하향교 淸河鄕校 Cheonghahyanggyo Confucian School 청하향교는 올해 4월 초 독석리 해병대 상륙훈련 현장에 들렸다가 돌아가는 길에 들렸었는데 문이 닫혀 있어 천화루만 바라보고 돌아왔었으나 이번에는 이영대 전교님과 연락이 되어 직접 안내를 해주셨다. 포항시로 통합되기 이전의 영일군은 연일,장기,흥해, 청하 등 옛 4개현과 읍면을 통합한 지명으로 현재 포항시 향역에는 연일,장기,흥해, 청하향교가 그대로 남아 있다. ​ 1997년 9월 29일 문화재 자료 제328호로 지정된 청하향교는 조선태조7년(1398) 서정리에서 처음 지었으며 숙종 39년(1713)에 옮겨 짓는 작업을 시작해 숙종42년(1716) 완공된 조산시대의 향교이다. 청하향교의 외삼문의 역활을 하고 있는 천화루는 전면 .. 2021. 12. 25.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향교 井邑鄕校 향교는 조선시대 1읍(邑)에 모두 설치되었으므로,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개편으로 통합된 시군의 경우 통합된 군현의 수만큼 향교가 현존하고 있다. 전라북도의 향교는 익산시가 4개소로 가장 많고, 정읍ㆍ고창ㆍ김제가 각각 3개소이며 군산ㆍ남원ㆍ진안이 각각 2개소이고 나머지는 1개소이다. 정읍에는 정읍향교와 고부향교, 태인향교가 있다. 정읍향교는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지금의 수성리 구미동 사정지(射亭址)에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8년(인조 16) 이 지역의 유림 유황(柳璜)·유광위(柳光渭)·손후유(孫後裕) 등의 발의로 현재의 위치에 신축, 이전하였다. 1740년.. 2021. 12. 15.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괴산 연풍향교 충북 괴산군 연풍면 향교로 40-2(행촌리)에 위치한 연풍향교는 1515년(중종 10) 괴산 연풍면에 건립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3호로 1981년 12월 26일 지정됐다. 2021년 11월 20일 방문했다. 연풍향교로 가는 길에 보니 김홍도씨름장이 보인다. 알고 보니 괴산 연풍은 단원 김홍도가 현감으로 있으며 씨름도를 그린 곳이었다. 연풍향교와 관련된 기록으로 1530년(중종25년)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향교. 동쪽1리 에 있다”고 되어 있고, 1632년(인조10년) 편찬된 호서승람에는 "향교. 북쪽3리에 있다. 교생은 10명이다” 는 기록이 있다.또한 1978년 대성전 중수시 발견된 상량문에는 1628년(인조6년) 현감 이수약이 창건하고, 1664년(현종5년) 현감 곽.. 2021. 11. 30.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문경향교 경상북도 문경읍 교촌리에 위치한 문경향교는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어 그 일체의 기록도 이때 모두 없어졌다. 그러나 추정할 수 있는 것은 고려 공양왕 경오(庚午:1390년)에 문경현에 감무(監務)가 설치되었고, 태종 16년(1416)에 호계현을 합속(合屬)하면서 현감이 부임하게 되었으니 아마도 이때에 문경향교가 설립된 것은 분명한 것 같다. 일반적으로 향교는 현감이 있는 관아근처에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설립이 되었고, 문경향교도 마찬가지로 관아(현 문경서중학교자리)에서 멀지 않은 교촌리(현 문경관광고등학교 뒤편)에 위치해 있다. 문경시 홈페이지 문경향교는 교육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두는 경사지에 세워진 향교의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경사가 심한 산자락에 남동향으로 자리잡고.. 2021. 11. 30.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노성향교 魯城鄕校 ② 노성향교는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 (교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됐다.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니산현은 1777년(정조 1) ‘니산’이 정조의 이름과 같다 하여 고을 이름을 이성(尼城)으로 고쳤으며 1800년(정조 24) 8월 20일 이성을 다시 노성으로 고쳐 노성현이 되었다고 한다. ​ 노성향교는 올해 3월 우중에 한번 들렸었으나 11월 27일 은진향교를 들리며 한번 더 돌아보았다. 한번 더 돌아보는 향교는 좀 더 디테일하게 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지만 일부 향교를 제외하고는 아직 대부분의 향교는 문이 굳게 닫혀 있다. .. 2021. 11. 29.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 탑정로 427번길 14-1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남도 기념물 제120호로 로 1997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27일 방문했으나 외삼문과 협문 모두 닫혀 있었다. 조선후기 지방지도인 은진지도에 보면 남쪽에 향교가 표시되어 있는데 군현지도에 일반적으로 건물 하나에 향교라고 적는데 이 지도에서는 특이하게도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까지 다 그려져 있다. 향교 왼쪽이 관촉사다. 은진향교 역시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두고, 뒤쪽에는 제향 공간인 대성전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2021. 11. 29.
[한국의 향교 경기도] 이천향교 利川鄕校 경기도 이천시 향교로 1(창전동 336) 망현산 밑에 자리잡고 있는 이천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로 1983년 9월 129일 지정된 조선 초기의 향교이다. 2021년 11월 20일(일) 오전에 방문했으나 개방은 하지 않고 있었다. 이천 향교(利川鄕校)는 조선 초기 태종(太宗)2년 (1402년)에 감무(監務) 변인달이 부임하여 문묘 대성전을 세우고 첫 제향을 하였다고 한다. ​이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세종 26년(1444) 이후에 이천향교는 관헌(官憲)이 교수(敎授) 1인을 두었고 교생(敎生) 정원은 90명이었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지은 이천신치향교기에 의하면 신사년(1401) 봄 감무로 부임해 온 변인달이 지금의 안흥동에 있던 안흥정사(安興精舍)에서 학생들을 모아 가르치고 있는 것을 보고,.. 2021. 11. 22.
[한국의 향교 대전광역시] 회덕향교 11월 2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육군 M&S 국제학술대회 취재를 마치고 대전광역시 향역에 있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다. 대전광역시 대전로 1397 번안길126에 위치한 회덕향교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로 조선시대 초기의 소설위 향교이나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었다. 회덕향교는 조선초기에 세웠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선조 33)경에 다시 세웠고,그 후 1812년(순조 12) 가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는 입구쪽에 홍살문, 그 뒤에 솟을삼문형으로 된 외삼문을 세웠다. 대문 바로 안쪽 건물에는 중앙으로 통행할 수 있는 문을 두었고,문의 동쪽 건물에 제향를 준비하는 전사청을,서쪽에 공부하던 서재를 배치하였.. 2021. 11. 3.
[한국의 향교 세종시] 전의향교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북촌1길 5-18(읍내리)에 위치한 전의향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전의 향교는 언제 처음 지 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조선 태종 7년(1407)에서 태종 13년(1413) 사이에 동교리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8년(1684)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으로,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이 향교에는 공자와 중국의 성현,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드리는 대성전과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명륜당이 .. 2021. 10. 26.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상주향교 대성전과 동서무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96호로 지정되는 경사를 맞았던 상주향교를 다녀왔다.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 고려 고종 34년(1247년)에 '향교'라는 용어가 최자(1188∼1260)의 『보한집』(하)에 기록되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음이 확인되어 현존 향교 중에서 상주향교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대설위 상주향교는 고려 992년(성종 11)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문헌상에는 상주목사를 지낸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補閑集)에, 1247년(고종 34) 상주향교의 제생들이 가시(歌詩)를 지어 받쳤다는 기록이 있어, 현존 향교 중 가장 이른 시기이다. 1484년(성종 15)에는 목사 강구손(美龜孫)이 성전(聖殿)과 재(齋) • 루(權)를 중수하였으나.. 2021. 10.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