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방방곡곡/전북특별자치도

진안가위박물관 세계 유일의 가위박물관

by Yeongsik_Im 2025. 4. 15.
반응형

2016년 12월 9일 개관한 진안가위박물관 사진 진안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 마이산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세계 유일의 가위박물관인 진안가위박물관은 가위라는 독창적인 콘텐츠를 소재로 한 박물관으로 국내는 물론 동양·서양을 망라한 고대부터 현댜까지의 세계 희귀 가위 1,500여점을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

 

진안 가위박물관에서는 용담댐 수몰 지역인 수천리 고분에서 출토된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철제가위를 비롯하여 가위의 역사, 과학, 인물, 문화예술 등을 주제로 한 다양한 형태의 가위를 만나볼 수 있다.  

 

2016년 12월 9일 개관한 진안가위박물관은 2018년부터 진안군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다. 관람시간은  09 : 00 ~ 18 : 00 까지이며,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 ,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이다.

 

진안가위박물관은 상설전시, 기획전시의 단체관람을 온라인, 전화문의를 통해서 받고 있다.
20인 이상의 단체관람을 희망하시는 경우,박물관으로 사전에 문의해 주시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관람하실 수 있다. 관람희망일 일주일 전까지 유선전화를 통해 예약해야 한다.

진안가위박물관 전화번호 : 063-430-2324 또는 063-430-8744

세계에서 가장 큰 가위 8m 가위조형물

가위박물관은 1층 상설전시관과 2층 기획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관에는 로마 중세시대 등의 서양가위와 시대별 변천사로 보는 동양 가위, 진안에서 출토된 수천리가위 등의 실물과 영상, 역사적 내용 등을 통해 가위와 관련된 역사를 알 수 있는 자세한 설명과 함께 가위들이 가득히 전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가위와 과학, 인물과 가위, 가위와 예술 등을 비롯해 한나 가위, 올가 가위, 황새 가위, 난파선 가위, 포도 가위, 갤리크라피 가위, 바이킹 가위, 야전병원 가위, 산업박람회 가위, 아르누보 가위, 빅토리아앤틱 가위 등이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전시되어 있다. 기획전시실에는 의료용, 보석세공 등 특수 가위와 이·미용, 부엌, 공구, 재단, 문구가위 등 일상생활 가위를 비롯해 세계의 다양한 가위 관련 액세서리 등을 전시하고 있다. 

진안가위

진안군 용담면 수천리 고분군 석곽묘 45호에서 출토됐다. 이 가위는 가윗날 교차점에 끼운 나사는 꽃잎 모양이며, 뭉특한 가윗날의 중앙에는 능선을 둔 상당한 수준의 디자인이 가미된 가위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다. 무덤의 주인은 높은 신분으로 추정되며, 가위의 길이는 23cm정도로 손잡이 크기를 달리하여 왼쪽에는 엄지를 끼고 왼편에 나머지를끼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용담댐 수몰 지역인 수천리 고려고분에서 출토된 가위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가위

진안가위박물관에서는 현재 발견된 유물 중 가장 오래된 가위가 기원전 1,000년경 그리스에서 만든 양털 가위로 철제로 된 U자형 양털 가위라는 것을 알수 있다.

서양가위 역사
동양가위
신라 경주 안압지 바닥에 묻혀있던 쇠가위들
분황사 석탑 사리갖춤 중 가위
금동 초심지 가위
광산노씨 분묘출토 가위

한국가위

한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가위는 신라시대 643년 (선덕여왕 3년)창건된 분황사석탑에서 출토된 사리함에서 나온 협가위라고 한다.  또한 경주 월지에서 발견된 금동초심지가위는 일반적인 가위가 아니라 초를 끄기 위해 심지를 자르는 용도로 쓰였던 가위로 문양과 테두리의 장식이 매우 뛰어난 아름다운 X자형 가위이다. 이 가위와 모양이 매우 유사한 초심지가위가 일본 왕실의 보물 수장고인 도다이사 쇼소인에서 발견되어 당시 신라인의 뛰어난 가위 세공 기술과 함께 가위가 전파된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엿가위
엿장수 의 상징인 엿가위는 가윗날이 넙적하고 움직일 때마다 철컥철컥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엿을 자를 때는 가윗날을 사용하지 않고 엿 정을 가위로 두드려 자르기 때문에 망치와 가까운 독특한 기능을 가졌다.

가위의 과학

인물과 가위

인물과 가위 코너에서는 304년간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로마노프왕조의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올가가 소유했던 가위와 손잡이 형태가 왕관 모양인 영국 한나부인 가위, 하노버왕조 조지4세가 소장했던 가위 등을 만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