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60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 동대구역 광장 1월 24일 오후 동대구를 경유하며 동대구역광장에 잠시 들려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둘러보았습니다.2024년 12월 23일 오후 많은 논란속에서 제막된 높이 3m의 박정희 동상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밀짚모자를 쓰고 추수한 볏단을 양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는 약 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갈등은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동상 앞에서는 동상 철거 1인 릴레이 시위가 이어지고 있었고 한쪽에는 최근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동상 훼손을 막기 위한 감시초소도 볼 수 있었습니다. 대구시가 행정국 공무원들에게 한밤 중 동상이 훼손되지 않도록 야간 방호 업무를 하도록 해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동상 양쪽에는 "현 시설물은 대구광역시 공공시설로서 현행법상(공공) 기.. 2025. 1. 24.
전주 완산벙커 더스페이스 2월 5일 전면 개방 과거 충무시설로 사용됐던 전주 완산벙커가 문화의 옷을 입고 52년 만에 시민 품으로 되돌아온다.​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는 문화관광시설인 ‘완산벙커 더 스페이스’(이하 완산벙커)로 재탄생한 완산벙커가 다음달 5일 일반시민과 관광객에게 전면 개방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정식 개관식은 2월 4일에 열린다.​완산벙커는 과거 전시 상황을 대비해 군·경찰·도 지휘소가 들어가서 지휘할 수 있도록 1973년에 조성된 땅굴형 방공호다. 복도에 여러 방이 연결된 개미굴 형태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구조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2816㎡ 규모로 터널 길이만 130m에 달한다. 하지만 2005년 전북도청이 효자동으로 이전하면서 청사 지하에 별도 대피 장소가 생기면서 2006년 용도 폐기된 채 방치됐다. 이후.. 2025. 1. 22.
전주향교, 음력 12월 망(望)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1월14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음력 12월 망분향례를 봉행했다.  2025년 첫번째 행사로 치뤄진 이번 분향례는 대성전 분향관에 최인열 전교, 당상집례 임규열, 당하집례 이존한, 찬인 홍의겸, 봉향 김승기, 봉로 서승열, 동무분향관은 소재오. 찬인 라성흠, 봉향 홍병기, 봉로 유정호, 서무분향관은 박병준, 찬인 김관식, 봉향 장봉근, 봉로는 채규칠 유림이 맡아 복무했다.  겨울날씨 치고는 비교적 포근한 날씨에 봉행된 이날 분향례는 전주향교를 찾은 많은 관광객들이 분향례 과정을 지켜보는 가운데 봉행됐다.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전주향교는 전주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이 반드시 들리는 전주여행의 핫플레이스로 알려져 있다. 전주향교는 매주 월요일 휴관(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2025. 1. 15.
제주도 중문 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제주여행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주상절리는 마치 예리한 조각칼로 섬세하게 깎아낸 듯한 4~6각형 형태의 기둥으로, 현무암질 용암류에 나타나는 수직절리를 말한다. 두꺼운 용암이 화구로부터 흘러나와 급격히 식으면서 발생하는 수축작용의 결과로 형성되었다.마치 계단을 쌓은 듯 겹겹이 서 있는 육모꼴의 돌기둥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어 자연의 신비로움을 만끽할 수 있다.​그 기둥에 부딪히는 파도 또한 마음을 뺏기는 볼거리인데, 심할 때는 높이 20m 이상 치솟는 ‘쇼’가 펼쳐지기도 해서 보는이의 넋을 빼앗는다.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는 높이가 30~40m, 폭이 약 1㎞ 정도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제주도 천연기념물 제443호로 지정돼 있다. 넓은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차요금은 유료로 경차 1,00.. 2025. 1. 12.
포항 장길리복합낚시공원 보릿돌교 장길리 복합 낚시공원은 포항의 낚시 명소, 일출 명소로도 손꼽히는 장소로 아름다운 바다의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보릿돌교와 다양한 조망 명소가 있어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는 곳이다. 총 170m의 길이를 가진 보릿돌교의 가장 끝쪽에는 ‘보릿돌’이 있는데, 보릿돌 주변으로 미역이 많이 나서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었다는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고있다. 장길리 복합 낚시공원 주변으로는 다양한 횟집과 펜션, 해상펜션 등이 있어 즐길 거리도 풍부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명소다. 2012년 해양수산부 '이달의 어촌' 으로 선정된 아름다운 어촌마을 장길리는 다양한 어종이 잡혀 전국의 낚시꾼에게 각광받는 바다 낚시터이며, 스킨스쿠버들에겐 최고의 다이빙 포인트로 알려져 있다. 유료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수상유료낚시터와.. 2025. 1. 8.
모포항 물통바위 포항 장기면 모포리 포항시 남구 장기면 모포리 모포항 물통바위는 KBS 생생정보 미스터리의 사진 한 컷'에서 미션 장소로 소개되며 알려진 곳이다.  물통바위 속으로 밀려왔다 떨어지는 바닷물을 장노출로 촬영하거나 이 장면을 일출과 함께 촬영하는 등 사진작가들에게는 재미있고 매력있는 포인트로 알려져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곳이다. 지나는 길에 잠시 들렸을때  이 곳에 자주 오신다는 분을 현장에서 만났는데 파도가 많은 날 간조때를 택하라고 알려 주신다. 2025. 1. 8.
안강레전드골프클럽 경상북도 경주 9홀 골프장 오늘은 포항 대구간을 연결한 28번 국도변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옥산서원 입구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949에 위치하고 있는 안강레전드골프클럽을 소개해 드립니다.  포항,경주,영천시 등지에서 25분이내의 거리로 접근이 용이한 안강레전드골프클럽은 2009년에 개장한 9홀 대중제 골프장입니다.자연경관이 수려한 도덕산 아래 자옥산 줄기가 맞닿아 펼쳐진 레전드 골프클럽은 9홀의 골프코스에서 “전설의 왕” 코스와 ‘전설의 여왕” 코스가 고객을 맞이하는 국내 최초의 리버시블 시스템 골프장입니다.  2Way, 2Green의 양 방향 코스로 9홀의 골프장에서 18홀의 묘미를 즐실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연못과 시원한 폭포가 어우러진 아름답고 쾌적한 코스로 조성 되어 있습니다. 또한 블라인드 홀이.. 2025. 1. 7.
강진 다산베아채 골프앤리조트 전남 강진군 도암면 학장리에  45만평 대지에 27홀 (전장 1만60m)코스와 57실의 리조트로 조성된 다산베아채컨트리클럽은 2018년 11월22일 개장한 대중제골프장입니다. 생각하는 다산코스에서 사랑하는 베아채코스로 돈이 되는 장보고코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 14개는 노르웨이 피오르드를 연상하는 해변코스로 아늑하고 포근해서 한 폭의 수묵화 속에서 라운드를 즐길 수 있으며, 만덕산에서 반원처럼 펼쳐진 천관산, 가우도(대한민국에서 가고 싶은 섬 1위) 완도 상암산, 해남 두륜산, 주작산, 덕용산에서 월출산까지 부채꼴로 형성된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호남 정맥의 끝자락에 있는 명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월 29일과 30일 강진 다산베아체CC에서 실시했던 동계 패키지(단부제) 1박2일 36홀 패.. 2025. 1. 7.
감성 강진의 하룻길- 현구길 구간 · 탑골샘 강진 영랑생가로 가는 길에는 탑골샘이라는 약수터가 있는데 이곳은 '감성 강진의 하룻길- 현구길 구간' 이 시작되는 곳으로 한국 서정시의 대표작을 감상하며 감성여행을 시작할 수 있는 길이다. 인근에는 영랑생가와 시문학파기념관이 우치하고 있으며 김현구 시인의 생가가 만나볼 수 있다. 강진 출신의 김현구(1903~1950) 시인은 영랑 선생과 동갑이자 시적 동반자로 시문학파 시인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표작으로 '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렇습니다', '물위에 뜬 갈매기' 등이 있다.강진의 5대 약수터 중 하나였던 탑골샘은 강진군이 정기적으로 실시한 관내 약수터 5개소 수질검사 결과에서  대장균이 균이 검출된 것으로 파악되어 현재는 약수터로 사용은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5. 1. 6.
강진읍성 서문터 서문정 비석 12월 30일 아침 강진 다산베아체골프앤리조트에서  좀 일찍 일어나 강진웁내를 돌아보기 위해  읍내로 진입할때 커다란 고목 앞에 세워져 있는 비석 1기를 발견하고 차를 세웠다. 비석 전면에는 "西門亭 서문정"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1992년 서문대동회에서 세운 비석인데 이 비석이 세워진 위치에 예전에는 강진읍성의 서문이 있었다고 한다.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곳은 서동이라 부르다가 성이 조성되면서 서문마을이름을 부르게 됐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1920년대까지 정자나무 인근에 서문이 있었고 문지기도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어느 시대에 없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한다. 비석 측면에는 '西紀一九九二年壬甲流頭日西門大同會 謹竪 서기일구구이년임신유두일서문대동회 근수"라 새겨져 있다. 壬甲流頭日에서 流頭日.. 2025. 1. 6.
강진 사의재 다산 정약용 첫 유배지 남도여행 1번지 강진을 경유하며 이른 아침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을 돌아 보았습니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입니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가 있는데 먼저 사의재를 소개합니다.위당 정인보는 한자가 발명된 이래 최고 시대의 사상가라 평가했습니다.다산 정약용은 강진에서 내리 18년을 살았는데 사의재(四宜齋)는 1801년 강진으로 유배 와서 1805년까지 만 4년간 거처하던 곳으로 스스로 교육과 학문에 정진키로 다짐하면서 붙인 이름입니다. 주막집(동문매반가) 주인 할머니의 배려로 골방 하나를 거처로 삼은 다산이 몸과 마음을 새롭게 다잡아 교육과 학문연구에 헌신키로 다짐하면서 붙인 .. 2025. 1. 6.
강진 몽마르뜨언덕 지난 12월 30일 이른 아침 강진읍내에 나와 예던길을 돌아보았습니다. '가던 길'의 옛말이라는 예던 길에는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김충식고택, 사의재와 몽마르뜨언덕 등이 있습니다. 강진 충혼탑과 바로 연결되어 있으니 같이 돌아보시면 됩니다.강진읍 보은산과 세계모란공원, 영랑생가와 연계하여 금서당과 사의재를 잇는‘강진 몽마르트 언덕’은 강진읍 보은산과 세계모란공원, 영랑생가와 연계해 금서당과 사의재를 잇는 1.5km 구간을 관광코스로 조성하여 보은산 공원화사업, 사의재 저잣거리, 강진 한옥미술관 모두와 두루 연계돼 체험거리와 스토리가 풍부한 강진읍의 새로운 관광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2025. 1. 6.
강진향교 한국의 향교 167 전라남도 강진군 지난 12월 30일 이른 아침 강진읍내에 나와 예던길을 돌아보았습니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이라고 합니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가 있는데 인근에 있는 강진향교에 먼저 들렸습니다. 이른 아침이라 문이 닫혀있을거라 예상했는데 역시 닫혀 있어 외부에서만 돌아봐야 했습니다. 강진향교는 1398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습니다. 1613년에는 이 지역출신 입방자(入榜者)들이 의금(義金)을 내고 군수 정인(鄭寅)의 도움을 받아 사마재(司馬齋)를 건립하였으며, 1858년에는 군수 심의찬(沈宜贊)이 향교를 중수하였습니다... 2025. 1. 6.
남도여행 일번지 강진 영랑생가 남도여행 1번지 강진을 경유하며 이른 아침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을 돌아 보았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이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 등이 있는데 사의재에 이어 영랑생가를 소개한다.영랑의 시혼이 살아 숨쉬는 영랑생가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1에 위챃고 있는 영랑생가는 국가지정문화재료(중요민속자료 제252호)로 우리나라의 대표 서정시인이자 항일 민족지사였던 영랑 김윤식 선생(1903~1950)의 생가이다. ​1985년 강진군에서 매입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관리해오고 있으며, 생가에는 시의 소재가 되었던 샘, 동백나무, 장독대 등이 그대로 남아있다. 영랑생가 바로 앞에는 20.. 2025. 1. 4.
남도여행 일번지 강진 시문학파기념관 남도여행1번지 강진 영랑 김윤식(永郎 金允植) 선생의 생가인 영랑생가를 둘러보고 나오면 바로 앞 좌측에는 시의 향기를 머금은 곳 시문학파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시문학파’는 1930년대 순수시 운동을 전개했던 문학 동인회의 명칭이다.당시 참여했던 동인은 영랑 김윤식, 용아 박용철, 정지용, 위당 정인보, 연포 이하윤, 수주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 보 등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들로 이들 9명의 동인을 시문학파기념관에서 다시 만나볼 수 있다.한국문학사상 최초의 문학유파문학관 한국 시문학파기념관은 2012년 3월 5일, 1930년 ‘시문학’ 창간일에 맞춰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영랑생가길 14 (남성리 222-2)에 문을 열었다.​한국문학사상 최초의 문학유파문학관으로 기록될 시문학파기념관은 1521㎡ .. 2025. 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