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원33

대구 구암서원 숭현사 구암서원 龜巖書院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180-197에 위치하고 있는 구암서원은 연암공원이라 불리는 연암산 산자락의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구 북구 8경 중 제7경으로 가장 높은곳에 있어 구암서원 초현당에 오르면 대구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는 곳 입니다. 구암서원 숭현사는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1975년 2월 5일 제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구암서원의 개장시간은 09:00~17:00까지입니다. 구암서원 안내 및 체험신청은 영남선비문화원 홈페이지 참조 http://www.sunbicamp.co.kr구암서원은 조선 초기의 문신인 구계 서침의 덕행을 기리기 위해 . 대구 부민들의 공론에 따라 조선 현종 6년(1665)에 세운 서원입니다, 처음에는 중구 남산동의 연구산에 세웠는데 숙종 43년(1717)에.. 2024. 12. 7.
창녕 구니서당 지난 주말에는 포항에서 밀양에 도착 영남제일루인 영남루, 밀양관아, 밀양읍성 등을 돌아보고 국도를 따라 천왕재를 넘어 창녕으로 가는 길 고암면 계상리 창밀로 도로변에 있는 창녕 구니서당(昌寧 求尼書堂)에 들렸다. 창녕 구니서당(昌寧 求尼書堂)은 조선 초 성리학자 한원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의 후손들이 조상의 우패를 모시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고종 3년(1868)에 김굉필의 둘째 아들인 언상공(彦庠公)을 비롯하여 4명의 위패를 모시고 서원으로 문을 열었으나 홍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 ​1916년 규모를 넓혀 지금의 정당(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가운데 가장 주된 집채)을 중수하였고, 사현사는 1943년에 창건한 건물을 1986년부터 9년에 걸쳐 동·서재 및 문루와 함께 중창하였다... 2024. 11. 22.
창녕 관산서당 서원철폐령 실체가 확인된 첫 관산서원 지난 주말에는 포항에서 밀양에 도착 영남제일루인 영남루, 밀양관아, 밀양읍성 등을 돌아보고 국도를 따라 천왕재를 넘어 창녕으로 가는 길 고암면에 있는 창녕관산서당(昌寧冠山書堂)과 구니서당(求尼書堂)에 들렸습니다.  관산서당과 구니서당은 서원이었으나 대원군의 서원펄폐쳥으로 훼철되었다가 이후에는 서당으로 명맥을 이어왔습니다. 서당( 書堂)은 마을 단위로 설립한 초등단계의 사설교육기관입니다.  서원과 다를바 없는 규모로 강학공간을 앞에두고 그 뒤에 사당을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방식을 따르고 있습니다. 창녕관산서당은 광해군 12년(1720)에 조선 중기 대학자인 정구(鄭逑, 1543~1620)를 기리기 위해 세원진 서원에서 비롯됩니다. 관산서원은 숙종 37년(1711) 청녕 지역에서 유일하게 사액을 받.. 2024. 11. 18.
치산서원 신라충신 박제상유적지 몇 년 전 울산 간절곶에서 공원에 설치되어 있는 신라중신 박제상의 부인과 두 딸의 상을 본적이 있다.신라중신 박제상의 부인과 두 딸이 치술령에 올라 애절하게 남편을 그리워하던 마음과 출어한 어부의 무사귀환을 비는 가족의 간절한 소망을 함께 담았고 더불어 간절곶을 찾는 분들에게 새천년의 소원들이 이루어지길 기원하는 울주군민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었다.그때 신라충신 박제상유적지에 한번 들려보려 했는데 2024년 8월 24일에 울주군 지역을 돌아보며 들리게 되었다.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호인 박제상유적지의 치산서원을 먼저 소개한다.치산서원으로 들어서는 다리를 건너면 좌측에 치산사복원비가 세워져 있다.치산서원은 신라 충신 박제상과 그의 부인 및 두 딸의 충혼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영조 21년(1745)에 건립되었.. 2024. 8. 25.
황강서원 - 한국의 향교와 서원 전라북도 전주 전주에 머무는 동안 전주 문학대공원 일대를 돌아 보기로 했다. 폭염경보가 내린 8월 13일 문학대로 향한다. 마전 고분군이 있는 문학대 제1공원 입구를 지나면 마랏(마전)마을 표지석이 보이고 그 뒤로 낮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황강서원이 나온다문학대공원은 2006년 전주 서부신시가지를 조성할 때 발견된 마전유적(馬田遺蹟)을 보존하기 위해 문학대 인근에 전체 면적 25,693㎡ 규모의 문학대공원이 조성되고 2008년 5월 개장한 전주시의 공원이다.​공원 내 문화유적으로 복원된 마전고분군 1, 2, 3, 4, 5호분의 고분이 있으며 공원 옆으로 만경강 지류인 삼천(三川)이 흐르며, 흥산로를 사이에 두고 문학대1공원, 문학대2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인근에 문학대를 비롯 황강서원, 추천대가 위치하고 있다. 공민.. 2024. 8. 14.
완주 호산서원 - 완주군 삼례읍 호산서원(湖山書院) 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 137에 위치하고 있다.건립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안내하고 있으나 디지털완주문화대전에는 1805년(순조 5)에 지역 유림의 공의(公議)를 통해 정몽주, 송시열, 김수항의 절의와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송시열이 거주하였던 비비정 곁에 호산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창건한 이후 1868년(고종 5년) 홍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모두 헐렸다. 일제강점기 때 재건하였으나, 6.25전쟁 당시 서원 경내에 있던 신앙재와 강당이 불에 타 없어졌다. 그 뒤 1958년 이 지방유지 한증수와 유림들의 노력에 의해 신앙재와 강당을 다시 세우게 되었다. 경내에는 삼문1동, 전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인 사당, 강당1동 등이 있.. 2024. 8. 12.
논산 돈암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1번국도를 달리다 만나는 논산한옥마을과 돈암서원 이정표를 따라 들어서면 먼저 논산한옥마을이다. 논산한옥마을 주차장에 주차 후 한옥마을을 먼저 둘러보고 돈암서원을 관람하면 된다. 논산 돈암서원은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은 돈암서원과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이다. 돈암서원 유튜브 돈암서원은 약한 구릉지를 이용하여 전면에 강학공간을 두고 후면에 자행공간이 사당을 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방식으로이다. 전면에서부터 산앙루, 외삼문, 양성당, 내삼문, 숭례사가 중심 축선상에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고, 그 좌우로 응도당, 동재와 서재, 장판각, 경회당, 전사청 등의 건물이 비대.. 2024. 4. 8.
한국의 서원 광주 지산재 芝山齋 지산재는 신라말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을 봉향하기 위하여 1737년(영조13)에 양과동에 영당을 건립하고, 1846년(현종12)에 세워 최치원의 신주를 모신 지산사의 강당이다.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려 없어졌던 것을 1922년에 다시 세웠다.처음에는 최치원을 중심으로 최운한(崔雲韓, 1444~1499) · 최형한(崔亨韓, 1446~1504) · 정오도(鄭吾道, 1641~1732) 네 분을 모셨으나, 고쳐 세우면서 최치원만을 모시게 되었다.경내에는 외삼문과 강당인 지산재, 동재와 서재, 내삼문과 영당이 있는데, 그 중 지산재가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산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중앙 2칸은 대청마루바닥.. 2023. 12. 7.
한국의 서원 경상북도 경산 하양부호리금호서원 오늘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에 있는 조선후기 허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된 서원인 금호서원 (琴湖書院)을 소개한다. 정식명칭은 하양부호리금호서원 河陽釜湖里琴湖書院 이다.​금호서원은 조선 시대 하양현의 유일한 사액서원으로, 조선 후기 하양 지역 향론의 중심지였기에 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다. 2003년 19월 27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49호로 지정되었다.하양 부호리 금호서원은 조선 세종조에 좌의정을 지낸 문경공 경암 허조(1369~1439)를 모시는 서원이다. 허조는 조선시대 초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황희와 함께 세종 30년간을 태평성대로 이끈 뛰어난 재상이었다. ​조선 왕조 통치의 기본 법전인 경제원과 속육전을 편집하여 펴냈으며, 유교 국가의 통치 이념 이 드러난 국조오례의와 사례의를 찬정하고.. 2023. 8. 8.
거창 무릉마을 영빈서원 · 낙영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거창에서 24번 도로를 이용하여 합천을 향해 가는 길 남하면 무릉마을에 들려 영빈서원(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 305호)과 낙영재(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25호)를 돌아 보았다. 영빈서원 우측 언덕에 낙영재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거창 영빈서원 居昌 瀯濱書院영빈서원은 영조 20년(1744)에 처음 세워 설학재 정구(雪壑齋 鄭矩)등 여섯 분의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이 지역 학문의 중심 역할을 담당한 영천사(瀯川祠)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서원의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며, 대문채인 광제문(光露門)은 솟을대문이다. 사당인 구인사(求人祠)는 정면 3칸,측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1864년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가 일제 강점기에 국난 극복을 도모하고자 사림과 후손들이 1919년 다시.. 2023. 6. 26.
포항 장기면 금곡리 금산서원 琴山書院 금산서원 (琴山書院)은 숙종 33 년(1707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허진수(許進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고종 5 년(1868)에 훼철되었다가 1909년 유림이 사당을 중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양반의 근거지로 남설(濫設)된 서원의 오랜 적폐를 제거하기 위해 홍선대원군의 서원에 대해 일대 정리 명령이 내려진 고종8년 음력 3월 20일 서원 철폐령으로 47개의 서원을 제외한 수백여개의 서원이 훼철되었다. 이때 향사도 못지내게 했다고 한다.금산서원은 산형대문(山形大門)인 명덕문(明德門)을 들어서면 정면에 강당이 자리 잡고 있으며, 강당의 전면 우측에는 동재가 배치되어 강학 영역을 이루고 있다. .. 2023. 6. 1.
포항 구룡포 라곡서원 螺谷書院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포항 라곡서원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호미로 3포항에서 호미곶으로 가는 길 31번 국도를 빠져 나와 구룡포읍내로 진입하기 전 구룡포읍 병포리 정자산 아래 에는 향토기념물 제2020-1호 라곡서원(螺谷書院)이 위치하고 있다. 라곡서원은 문성공(文成公) 안향(安珦)선생 후예로서 안간(安侃)을 배향하고 있다. 간(侃)의 자는 유일(有一)이시며, 호는 봉재(逢齋)로 본관은 순흥(順興) 이다. 조선 중종때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안씨 일문 8현이 연루되었다. 간(侃)은 동생 준(俊)과 피신 와서 장기현 오야동(吾也洞)에 거주하다, 동생은 거주(居住)를 옮기고 형 간(侃)은 돌아가신 뒤,묘소를 오야동 야산에 안장하였으나 실묘 하여 후에 구룡포읍 정자산에 단소와 비(碑)를 설단하여, 1936년 제당을.. 2023. 3. 12.
전주 화산서원비 전주예수병원을 지나 근영여고쪽 옛길로 가다보면 전주화산공원 입구에 비각이 하나 세워져 있는데 전라북도 문화제자료 제4호인 화산서원비가 세워져 있는 비각이다. 화산서원은 전라북도에서는 가장 오래된 서원이자 최고의 서원으로 이 자리에는 전주향교가 139년 동안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전주향교는 원래 풍남동 경기전 북편에 있었으나 경기전 건립으로 화산동으로 옮겼고 약 139년 후 현재의 위치인 교동으로 재이건 한 것이다.서원은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유학을 가르치는 사설교육기관이었다. 향교와 서원을 쉽게 설명하자면 향교는 국립학교 서원은 사립학교로 생각하면 된다. 전주 화산서원은 선조11년(1578)에 전주부윤(조선시대 지방관청인 부의 우두머리)으로 백성들에게 도덕과 에절을 가르치는 데에 힘슨 이언적과, 전.. 2023. 1. 21.
[한국의 서원 경상남도] 산청 덕천서원 · 세심정 대전통영고속도로 단성IC를 나와 20번 국도를 타고 지리산쪽으로 가다 보면 산청군 시천면이다.민족의 영산인 지리산 천왕봉이 위치한 청정지역인 시천면은 낙동강의 발원지 강 상류로부터 흐르는 물이 화살과 같이 빠르다하여 矢川(화살시,내천)으로 불리고 있으며 물이 빠르고 계곡이 깊고 주변경관이 산자수명하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명품곶감으로도 유명한 시천면은 영남학파의 거목으로 선비의 고장인 산청을 대표하는 인물인 남명조식 선생이 먼저 떠오르는 곳이다. 오늘은 산청군 시천면의 남명조식유적지에서 남명조식선생의 경의사상과 선비정신을 일깨워 본다. 먼저 남명 조식의 제자들이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덕천서원에 들렸다.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원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청덕천서원(山淸德川書.. 2022. 9. 21.
[한국의 서원 경상남도] 의령 덕곡서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31호(1985년 11월 7일 지정)인 의령 덕곡서원 (宜寧 德谷書院)을 8월 8일 방문했다. 서원은 향교와 더불어 유교이념에 입각한 지방교육을 담당해 왔던 교육기관이다. 향교가 국립 교육기관이었던 데에 비해 서원은 사학(私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특히 조선 중기 이후 교육기관으로뿐 아니라 유교적 학술연구의 구심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의령 유일의 사액서원이었으나 사원철폐령으로 허물어졌지만....​의령 덕곡서원은 조선 효종 5년(1654)에 의령 현감 윤순거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퇴계 이황의 사상을 기리기 위해 덕곡촌 입구에 세운 서원이다. ​현종 1년내에 나라로부터 ‘덕곡’이라는 이름을 내려 받은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고종 8년내(1871)에 대.. 2022.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