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서원33

한국의 서원 경상북도 경주 동강서원 경주시 안강읍에서 포항쪽으로 가는 7번 국도를 따라가다 보면 양동마을을 지나 유강터널을 지나기 전 우측으로 동강서원과 형산강역사문화관광공원 이정표가 보이는데 몇번을 지나치다가 7월 19일 옥산서원에 다녀오는 길에 방문했다.​동강서원(東江書院) 소재지의 행정구역을 포항시로 생각했으나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로 포항시와 경주시에 걸쳐 있는 형제산(兄弟山) 중 제산(弟山) 자락에 자리잡고 있었다. 주차장에 도착하면 서원으로 올라가는 길 좌측으로 신도비각과 그 앞에 하마비가 세워져 있다.이 서원은 조선 숙종 21년(1695)에 우재 손중돈(孫仲暾. 1 463〜1529)을 향사하고 학문적 덕을 기리기 위 하여 5도 유생이 세웠다. 당시에 숭덕사 • 순교당 • 탁청루• 유도문 등이 있었다. 고종 5년(1868)에 대부.. 2022. 7. 20.
보물로 지정되는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가 보물이 된다는 소식에 6월 4일 다시 한번 옥산서원을 들렸다. 보물로 지정 예고된 무변루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소개한다.문화재청은 1572년 옥산서원 창건 때 함께 세워진 '경주 옥산서원 무변루'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6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옥산서원 무변루의 보물 지정 여부를 정한다.28번 국도에서 경주 옥산서원으로 들어가는 도로는 많은 관광객들의 차량과 버스와 농기계 등이 다니는 도로이나 1차선으로 되어 있어 매우 불편했었는데 이제 확장공사가 시작됐다.회재 이언적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자 세워진 옥산서원은 그가 타계한 후 1572년에 경주부윤 이제민이 지방유림의 뜻에 따라 서원을 창건.. 2022. 6. 5.
한국의 서원 합천 옥전서원 합천군 초계면에 있는 합천박물관과 옥전고분군를 방문하기 위해 고령 IC를 나와 907번 도로를 따라 고개를 넘어가다 보면 합천박물관과 옥전고분군 안내판이 반겨 준다. 합천박물관에 다다를 무렵 도로 우측에는 옥전고분군과 옥전서원 안내판이 있는데 우측으로 작은 길을 따라 1km 정도가면 옥전고분과 옥전서원(玉田書院)이 있다.향교와 서원을 답사하여 포스팅하며 설명을 하고 있지만 향교와 서원을 쉽게 설명하자면 향교는 국립 학교, 서원은 사립학교로 생각하면 된다.​향교는 오늘날의 국립 중등 교육기관에 해당하는 곳으로 향학(鄕學) 으로도 불렸다. 향(鄕)은 수도를 제외한 행정구역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이고 교(校)는 학교를 의미하는 것으로 향교는 지방의 학교라고 정의할 수 있다.​서원은 향교와 더불어 유교이념에 .. 2022. 4. 27.
구미 동락서원 東洛書院 구미 인동향교에서 낙동강변쪽으로 100여 미터 내려가면 동락서원이 자리잡고 있고 그 앞이 바로 동락 신나루터이다.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임수동) 327-13 에 위치한 동락서원(東洛書院)은 1654년 여헌 장현광 선생의 강학지소로써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고 선현들의 학문과 유교정신을 받들기 위해 세워졌다.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1호로 지정되었다.동락서원 문루인 준도문 앞에는 장현광이 마을 숲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손수 심어 키웠다는 400년된 은행나무가 우뚝 서있다. 한국의 향교를 탐방하며 많은 은행나무를 보았지만 높이는 거의 최고 수준으로 하늘을 찌를 듯 솟아 올라 있다.이 서원은 여헌(旅奸)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조선 효종(孝宗.. 2022. 3. 24.
한국의 서원 경상남도 거창 구연서원 서원은 오랫만에 찾아 보는 것 같다. 우리나라의 향교를 탐방하며 당연히 서원도 함께 돌아보고 있다. 여기서 잠깐 향교와 서원에 대해 설명하자면 향교는 오늘날의 국립 중등 교육기관에 해당하는 곳으로 향학(鄕學) 으로도 불렸으며. 향(鄕)은 수도를 제외한 행정구역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이고 교(校)는 학교를 의미하는 것으로 향교는 지방의 학교라고 정의할 수 있다.​서원은 향교와 더불어 유교이념에 입각한 지방교육을 담당해 왔던 교육기관으로 향교가 국립 교육기관이었던 데에 비해 서원은 사학(私學)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 왔으며, 특히 조선 중기 이후 교육기관으로뿐 아니라 유교적 학술연구의 구심점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왔다.​거창 구연서원 관수루 居昌 龜淵書院 觀水樓구연서원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은하.. 2022. 3. 13.
[한국의 서원] 경주 운곡서원 경주 운곡서원 慶州 雲谷書院경주시 강동면 왕신리 310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운곡서원은 가을 은행나무 단풍명소 포토존으로 유명한 곳이다. 11월 24일 노랗게 물들었던 은행나무의 나뭇잎들은 다 떨어졌지만 그래도 늦가을의 운치는 한껏 느낄 수 있었다.경주 운곡서원은 조선 정조 8년(1784) 경주향내의 유림과 전국의 후손들이 이곳에 추원사를 세우고 안동권씨 시조이자 고려 개국공신인 권행 선생을 주향으로,단종의 이모부인 충민공 권산해와 명종때의 학자인 귀봉 권덕린공을 배향하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이 내린 금령으로 서원이 훼철되었다. 대한제국 광무칠년 이 자리에 다시 단을 쌓고 제향을 봉행하다 1976년에 중창하고 향의에 따라 운곡서원으로 개액을 했다.운곡서원엔 경덕사와 정의당 돈교재 잠심재 견심문, 그.. 2021. 11. 24.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 井邑 武城書院 무성서원은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돈암서원과 함께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가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를 위해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일람표에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됐다.무성서원은 신라말(886년) 태산태수로 부임하여 8년간 선정을 베푼 고운 최치원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생사당(감사나 수령의 선정을 찬양하는 표시로 그가 살아 있을 때부터 백성들이 제사 지내는 사당)을 세운데서 유래하였다.​1615년 건립하여 태산서원이라 했는데 1696년(숙종 22) 무성서원이라 사액되었다. 무성서원은 예(禮)와 악(樂)으로 백성을 교화한 선비문화의 중심.. 2021. 6. 23.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안동 병산서원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 안동 병산서원 屛山書院사적 제260호1978년 3월 31일 지정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2021년 5월 16일 춘천에서 포항으로 내려가는 중 비가 그치는 듯 하여 안동을 경유하기로 하고 병산서원으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설정했다. 안동에 진입하여 병산서원 약3km를 앞두고 비포장도로가 이어진다. 차량이 교차할때는 비켜줘야 할 정도로 넓지않은 비포장도로를 덜커덩 거리며 한국의 서원을 찾아가는 길이 불편하지도 않고 더욱 운치가 있게 느껴진다. 이 길을 따라 유생들이 병산서원을 오갔을 것이리라.​서원 동쪽의 주차장에 도착하면 안내소와 화장실이 있고 입구에 임시로 설치된 코로나 방역부스에서 체크를 하고 하회구곡을 따라 조금 걸으면 우측에 병산서원이 있다. 하회구곡의 제1곡 .. 2021. 5. 17.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반곡서원은 거제 유림 윤도원(尹道元), 옥삼헌(玉三獻), 김일채(金一彩), 윤명한(尹命翰), 허유일(許兪一), 신수오(辛受五) 등이 문정공(文正公) 우암(先處)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704년(숙종 30)에 창건하였다. 그 후 문정공 죽천 김진규,충헌공 몽와 김창집, 부제 학공 이중협, 문충공 민진원, 정문공 김수근이 추가로 배향되었다. 1868년고종5에 훙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되었으나, 1906년(광무 10) 거제 유림에서 서원의 옛터에 제단과  반곡서원유허비를 세우고 매년 가을에 단제를 치렀다. 1971년, 거제 향교의 책임자 윤병재가 서원의 복원을 발의하고 유림총회의 찬성으로 1974년 .. 2021. 5. 10.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문창서원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옥구향교 경내 우측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자천대와 마주 보는 곳에 담장으로 둘러싸인 정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자천대에서 소요했다는 최치원 선생을 모신 사당인데 시호인 문창후를 서원명으로 쓴 것이다. 현재 걸려있는 문창서원이라는 편액은 신해년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고 한다. 최치원선생은 신라시대 옥구현에서 태어나 후에 관리로 근무한 적이 있다는 구전이 전해지고 있다.자천대 紫泉臺 Jacheondae Pavilion​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6호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16자천대는 통일신라 말기의 문장가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노닐며 독서했던 누각이라 전한다. 자천대라는 이름.. 2021. 4. 12.
한국의 서원 영천 임고서원 임고서원  臨皐書院 Imgoseowon Confucian Academy  임고서원(臨皐書院)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역사인물인 포은(圃隱) 정몽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명종(明宗) 8년(1553)에 노수(盧遂), 김응생(金應生), 정윤량(鄭允良), 정거(鄭?) 등의 사람들을 창솔하여 부래산(浮來山)에 창건을 시작하여 이듬해인 1554년에 준공하였으며, 명종으로 부터 사서오경과 많은 위전(位田)을 하사받은 사액서원이다.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6년(1603) 현 위치에 이건(移建)하여 재사액(再賜額) 받았으며, 인조 21년(1643)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하고, 정조 11년(1787)에는 지봉(芝峰) 황보인(皇甫仁)을 추배하였으며 고종 8년(1871)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고종.. 2021. 3. 18.
달성 도동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달성 도동서원 達城 道東書院도동서원은 대구 달성군 구지면(求智面) 도동리(道東里)에 있는 서원으로 사적 제488호이다.2019년 11월 20일에 촬영  조선 초기의 명유(名儒)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을 배향하였다. 1568년 지방유림에서 비슬산 동쪽 기슭에 세워 쌍계서원(雙溪書院)이라고 하였고, 1573년에 같은 이름으로 사액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에 사림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여 보로동서원(甫勞洞書院)이라고 하였다. 1607년에 도동서원으로 사액되었다.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보물 350)이 있다. 2007년 10월 5일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었다.2019년 7월 전국 8개 서원과 함께 ‘한국의 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 2021. 1. 2.
함양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 청계서원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6호 지정 조선 연산군 때 학자인 문민공 김일손(1464∼1498)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김일손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그의 스승을 비롯한 영남학파 학자들과 함께 조의제문사건에 연루되어 무오사화로 희생되었다. 글에 뛰어났으며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비판하였다. 연산군 1년(1495)에는 ‘청계정사’를 세워 유생을 가르쳤고, 광무 10년(1905) 유림들이 그 터에 유허비를 세웠다.그 뒤 1915년에 건물을 원래 모습으로 고쳐 청계서원이라 하였다. 구경재와 동재,서재, 홍남문, 솟을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 있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문의 및 안내 055-960-4537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수동.. 2020. 11. 20.
함양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사적 제499호 Historic Site No.499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 이 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에 명종 임금에게서 하사받은 사액 서원이다. 출입문인 풍영루와 강당,동재,서재,경판고장판각,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한 경사지에 사당을 제일 높은 곳에 두고 출입문까지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였는데,이는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 2020. 11. 20.
영주 소수서원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영주 소수서원 紹修書院Sosuseowon Confucian Academy in Yeongju, South Korea.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위치한 소수서원은 1543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5호로 지정되었고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20. 1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