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방곡곡갤러리115 왕오징어 이런 큰 오징어는 저는 처음 보는 것 같습니다. 포항 모포항 물통바위 인근에서 왕오징어를 잡아 오는 모습을 보고 촬영했습니다. 2024. 12. 14. 진안 인삼밭 진안 인삼밭 Gonseng Field in Jinan-gun 평균 고도가 400m가 넘는 진안은 인삼 재배에 최적의 기후조건을 갖추고 있고, 또한 진안의 토질은 사질양토가 많고 유기질과 무기질 함량이 높아 인삼을 재배하기에 좋은 최적지이다. 그래서 진안인삼은 사포닌 함량이 타지산보다 월등히 높고 일교차가 심한 해발 400m 이상 고랭지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조직이 단단하고 향도 강하다. 2024. 12. 11. 포항 호미곶 포항 호미곶해맞이광장 새천년기념관작년 11월 호미곶 국립등대박물관 방문시 새천년기념관을 함께 관람하려 했으나 10월 3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철골도장 공사로 휴관중이었다. 1월의 마지막 주말인 29일 다시 방문했다. 새천년기념hyanggyo.tistory.com 포항 호미곶 일출행정구역상으로 호미곶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에 속해 있다. 대한민국 전도를 펼쳤을 때 바로 동해안에서 불룩 튀어나온 곳, 호랑이 꼬리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이곳 호미곶hyanggyo.tistory.com 2024. 11. 28. 포항 호미곶 일출 포항 호미곶 일출행정구역상으로 호미곶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대보리에 속해 있다. 대한민국 전도를 펼쳤을 때 바로 동해안에서 불룩 튀어나온 곳, 호랑이 꼬리에 해당하는 곳이 바로 이곳 호미곶hyanggyo.tistory.com 2024. 11. 28. 수리부엉이 - 군산시 회현면 수리부엉이 Eagle owlBubo bubo (Linnaeus, 1758)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324-2호 2024. 10. 3. 포항 형산강 둔치 청명한 가을 풍경 올해도 어김없이 형산강으로 돌아온 물수리를 만나기 위해 들린 형산강 둔치에서 유안히도 길고 더웠던 여름이 지나고 뒤늦게 찾아 온 완연한 가을을 느껴봅니다. 눈이 부시도록 청명한 가을 하늘과 함께 형산강 둔치의 풍경을 아이폰에 몇장 담아 보았습니다. 2024. 9. 29. 물수리 포항 형산강 2024년 9월 29일 포항 형산강으로 돌아온 물수리 2024년 9월 29일물수리는 올해도 어김없이 포항 형산강으로 돌아왔습니다. 9월 29일 오후에 3번 정도 모습을 보여 줬는데 물고기를 사냥하는 모습은 볼 수 없었습니다. 물고기 사냥 높이보다는 더 높은 곳에서 형산강을 선회하는 것이 마치 순찰을 도는 듯한 모습입니다. 아니면 사냥감이 없어 포기하고 돌아가는 모습일 수도 있지만 형산강으로 돌아온 물수리는 확실하게 확인하고 왔습니다. 2024. 9. 29.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우리나라 꽃 무궁화 장마비가 잠시 멈춘 시간 잠시 휴식을 취하며 차창을 내리다 보니 빗물을 머금고 활짝 피어있는 예쁜 꽃들이 얼굴을 내밀며 반겨줍니다. 무궁화나무가 줄지어 있는 정원에 피어있는 무궁화와 개량종인 겹무궁화였습니다.우리나라 꽃 무궁화는 해마다 7월에서 9월 사이에 약 100일간 매일 새로운 꽃을 피우며, 8월15일을 전후하여 가장 절정을 이룹니다. 그래서 8월에는 전국 곳곳에서 무궁화축제가 열리곤 합니다. 이번 포토덤프챌린지에 첨부하는 사진 중에는 국립 서울현충원 겨레얼마당에서 열렸던 무궁화축제 당시 촬영한 사진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궁화 꽃은 보통 흰색과 보라색으로 피지만 1970년대부터 무궁화의 육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금은 꽃 색깔도 다양하게 나오고 있답니다.예로부터 우리나라에 무궁화가 .. 2024. 7. 17. 육추중인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육추중인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2024년 7월 3일 오후7월 3일 오후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 인근의 고목에 둥지를 튼 호반새가 열심히 먹이를 잡아 나르고 있다.세계자연보전연맹이 정한 멸종위기등급 관심대상 동물인 호반새는 여름 철새로 해마다 경주 옥산서원 인근의 고목에서 육추를 하고 있다. 진한 주황색의 굵고 긴 부리와 몸 전체가 형광이 나는 붉은색의 불타는 모습을 하고 있어 ‘불새’로 불리기도 한다.아직은 작은 개구리나 벌레들를 잡아 오는데 다음 주 정도면 뱀을 잡아 오는 모습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래 링크는 작년에 촬영한 뱀을 잡아 오는 호반새의 모습이 담겨 있다. 뱀 잡아온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호반새 육추뱀 잡아온 호반새....뱀을 잡아온 호반새는 살아 있는 뱀을 나무에 때려 기절시.. 2024. 7. 3. 진해 여좌천 지난 3월 23일부터 4월 1일까지 열린 제62회 진해군항제는 안전사고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며, 303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1685억원의 지역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한다. 2024. 5. 16. 야생화협회 전북지부 풀꽃나무연구회 제10회 전시회 풀꽃나무연구회 제10회 전시회 (사)한국야생화협회 전북지부 풀꽃나무연구회(회장 진성용) 제10회 전시회가 4월 19일부터 23일까지 KBS 전주방송총국 갤라리에서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우리꽃, 희귀자생식물 전시를 통한 저변확대와 볼거리 제공을 위해 자생화, 희귀식물, 무늬종, 특산식물, 석곡 등 300여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풀꽃나무연구회는 2015년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식물을 사랑하는 15여명이 모여 만든 단체로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10주년을 맞아 방문하시는 관람객에게 할미꽃, 청하국 등 야생화를 분양해 식물과 교감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친목도모와 야생화 키우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 2024. 4. 22. 마라도 톳짜장 제주도 서귀포시 모슬포항에서 여객선을 타고 우리나라의 최남단 섬 마라도에 도착하면 마라도 톳짜장을 판매하는 음식점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마라도에서만 맛 볼 수 있는 해물톳짜장, 돌미역짬뽕 등이 관광객들을 유혹한다. 마라도를 한바퀴 돌고나면 시장해지는데 이때 꼭 먹어줘야 할것이 바로 마라도 톳짜장! 톳은 일본 사람들이 즐겨 먹는 수산물로 바다의 인삼이라 불리면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최남단 섬속의 섬 마라도 올해 1월 초에 퇴직후 서귀포에서 제주도 한달살기를 하고 있는 동생을 만나러 제주도에 잠시 다녀왔는데 이제서야 사진을 꺼내 본다. 4일간 머물면서 꼭 가봐야겠다고 생각한 곳이 마라도였다. hyanggyo.tistory.com 2024. 3. 21. 물총새 2020년 4월 28일 전라남도 장성군 2024. 3. 7. 검은머리물떼새 짝짓기 2021년 2월 27일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2024. 3. 7. 제비 육추 제비 육추 2023년 8월 12일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리 2024. 3. 7. 이전 1 2 3 4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