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방방곡곡갤러리124

물수리 포항 형산강 2024년 9월 29일 포항 형산강으로 돌아온 물수리 2024년 9월 29일물수리는 올해도 어김없이 포항 형산강으로 돌아왔습니다.  9월 29일 오후에 3번 정도 모습을 보여 줬는데 물고기를 사냥하는 모습은 볼 수 없었습니다.  물고기 사냥 높이보다는 더 높은 곳에서 형산강을 선회하는 것이 마치 순찰을 도는 듯한 모습입니다. 아니면 사냥감이 없어 포기하고 돌아가는 모습일 수도 있지만 형산강으로 돌아온 물수리는 확실하게 확인하고 왔습니다. 2024. 9. 29.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우리나라 꽃 무궁화 장마비가 잠시 멈춘 시간 잠시 휴식을 취하며 차창을 내리다 보니 빗물을 머금고 활짝 피어있는 예쁜 꽃들이 얼굴을 내밀며 반겨줍니다. 무궁화나무가 줄지어 있는 정원에 피어있는 무궁화와 개량종인 겹무궁화였습니다.​우리나라 꽃 무궁화는 해마다 7월에서 9월 사이에 약 100일간 매일 새로운 꽃을 피우며, 8월15일을 전후하여 가장 절정을 이룹니다. 그래서 8월에는 전국 곳곳에서 무궁화축제가 열리곤 합니다. 이번 포토덤프챌린지에 첨부하는 사진 중에는 국립 서울현충원 겨레얼마당에서 열렸던 무궁화축제 당시 촬영한 사진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궁화 꽃은 보통 흰색과 보라색으로 피지만 1970년대부터 무궁화의 육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지금은 꽃 색깔도 다양하게 나오고 있답니다.예로부터 우리나라에 무궁화가 .. 2024. 7. 17.
육추중인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육추중인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2024년 7월 3일 오후7월 3일 오후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 인근의 고목에 둥지를 튼 호반새가 열심히 먹이를 잡아 나르고 있다.​세계자연보전연맹이 정한 멸종위기등급 관심대상 동물인 호반새는 여름 철새로 해마다 경주 옥산서원 인근의 고목에서 육추를 하고 있다. 진한 주황색의 굵고 긴 부리와 몸 전체가 형광이 나는 붉은색의 불타는 모습을 하고 있어 ‘불새’로 불리기도 한다.아직은 작은 개구리나 벌레들를 잡아 오는데 다음 주 정도면 뱀을 잡아 오는 모습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아래 링크는 작년에 촬영한 뱀을 잡아 오는 호반새의 모습이 담겨 있다.  뱀 잡아온 호반새 경주 옥산서원 호반새 육추뱀 잡아온 호반새....뱀을 잡아온 호반새는 살아 있는 뱀을 나무에 때려 기절시.. 2024. 7. 3.
진해 여좌천 지난 3월 23일부터 4월 1일까지 열린 제62회 진해군항제는 안전사고 없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며, 303만명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1685억원의 지역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한다. 2024. 5. 16.
야생화협회 전북지부 풀꽃나무연구회 제10회 전시회 풀꽃나무연구회 제10회 전시회 (사)한국야생화협회 전북지부 풀꽃나무연구회(회장 진성용) 제10회 전시회가 4월 19일부터 23일까지 KBS 전주방송총국 갤라리에서 열리고 있다. ​ 이번 전시회에는 우리꽃, 희귀자생식물 전시를 통한 저변확대와 볼거리 제공을 위해 자생화, 희귀식물, 무늬종, 특산식물, 석곡 등 300여점의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 풀꽃나무연구회는 2015년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식물을 사랑하는 15여명이 모여 만든 단체로 매년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10주년을 맞아 방문하시는 관람객에게 할미꽃, 청하국 등 야생화를 분양해 식물과 교감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친목도모와 야생화 키우는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 2024. 4. 22.
마라도 톳짜장 제주도 서귀포시 모슬포항에서 여객선을 타고 우리나라의 최남단 섬 마라도에 도착하면 마라도 톳짜장을 판매하는 음식점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마라도에서만 맛 볼 수 있는 해물톳짜장, 돌미역짬뽕 등이 관광객들을 유혹한다. ​ 마라도를 한바퀴 돌고나면 시장해지는데 이때 꼭 먹어줘야 할것이 바로 마라도 톳짜장! 톳은 일본 사람들이 즐겨 먹는 수산물로 바다의 인삼이라 불리면서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최남단 섬속의 섬 마라도 올해 1월 초에 퇴직후 서귀포에서 제주도 한달살기를 하고 있는 동생을 만나러 제주도에 잠시 다녀왔는데 이제서야 사진을 꺼내 본다. 4일간 머물면서 꼭 가봐야겠다고 생각한 곳이 마라도였다. hyanggyo.tistory.com 2024. 3. 21.
물총새 2020년 4월 28일 전라남도 장성군 2024. 3. 7.
검은머리물떼새 짝짓기 2021년 2월 27일 전라북도 군산시 회현면 2024. 3. 7.
제비 육추 제비 육추 2023년 8월 12일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리 2024. 3. 7.
경산휴게소 신상리 고분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경부고속도로 경산휴게소(대구방향)에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는 신상리 고분군은 1986년 지표 조사 과정에서 처음 알려진 삼국시대에 축조된 고분이다. 경산휴게소 신상리 고분군 공원 고속도로를 달리다 휴게소에 들리면 주로 식사를 하거나 화장실을 이용하느고 잠시 쉬었다 가는 것이 보통이지만 의외로 볼거리가 있는 휴게소도 많다. 노고단 전망대가 있는 황전휴게소, 경부 hyanggyo.tistory.com 경산 신상리 고분군은 위 링크에 자세히 소개해 드렸으니 참고하시고 아래에는 당시 무성했던 잡초 제거 작업도 완료되고 정리가 잘 되어 있을때 촬영된 사진을 추가했다. 2024. 3. 3.
여주 남한강 황포돛배와 수상스키 2024. 2. 24.
10월의 마지막 주말에 만난 포항 형산강 물수리 10월의 마지막 주말 물수리를 만나기 위해 형산강에 다녀왔습니다. 다음 포항 출장때는 물수리가 떠날 것 같아 아무래도 이번 주말이 형산강의 물수리를 올해에는 마지막으로 보는 날이 될듯 합니다. 올해는 형산강에 자주 들리지는 못했고 4번 다녀왔습니다. 약 3-4시간씩 머물렀는데 물수리는 야속하게도 대기하고 있는 곳에서 매번 멀리서 숭어 사냥을 하곤 합니다. ​ 가까이만 와준다면 더 없이 좋겠지만 가끔 시간이 날때 들리며 요행을 바라는 건 욕심이지요~~~~형산강 물수리 시즌 동안 거의 매일 형산강에 나와 중화요리를 시켜 먹으며 뻗치기를 하고 물수리를 기다리는 열정과 인내가 있어야 만 물수리의 멋진 사냥 모습을 촬영할 수 있을 겁니다. ​ 형산강에서 만나는 물수리는 정말 멋지기만 합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나.. 2023. 10. 29.
포항 형산강 물수리 2023년 10월 24일 10월 24일 포항 형산강에서 12시부터 약 4시간 정도 물수리를 관찰했습니다. 이날은 곳곳에 3-5명씩 무리를 지어 약 20여분이 물수리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 형산강에 도착하니 물수리 3마리가 형산강 상공을 선회하고 있었고 이후에는 3번 정도 나타났는데 1번 숭어 사냥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너무 멀었습니다. 비교적 가까운 곳에 나타났을때에는 숭어사냥에 실패하고 아쉬운 하루였습니다. 형산강의 붉은부리 갈매기들도 물수리와는 방식만 다를뿐 물고기 사냥에 한창입니다. 2023. 10. 25.
포항 형산강 물수리 2023년 10월 10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물수리가 올해도 어김없이 포항 형산강을 찾아 왔습니다. 포항 출장중인 10월 10일 오전 9시정도부터 12시까지 3시간 정도 관찰을 했는데 3번 정도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사냥에 성공하는 모습은 딱 1번이었는데 아쉽게도 뒷모습만 보고 왔습니다. 몇일전까지만해도 물수리 촬영을 위해 포항 형산강에 나오신 분들은 그리 많지 않아 보였는데 오늘은 약 20여분정도가 물수리 촬영을 위해 자리를 잡고 계신 상태였습니다. 10월중에는 시간이 날때에는 형산강으로 달려갈 것 같습니다. 2023. 10. 10.
조간대 바위에 붙어 사는 식용 해초 서실 지난 주말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리 신창간이해변에 갔다가 막 채취한 싱싱한 서실을 맛볼 수 있었다. ​ 홍조식물 빨간검둥이과의 바닷말인 서실은 조간대(潮間帶) 바위에 붙어 산다. 식물체는 조그만한 각상근(殼狀根)에서 곧게 서는 줄기가 기는뿌리처럼 휘어져 눕는다. 원주 모양을 하거나 약간 편압(扁壓)되고 높이 10∼20cm 자라며 굵은 줄기는 나비 2∼5mm이다. 가지는 각 방향으로 어긋나고 불규칙한데, 작은가지의 끝은 뭉툭하며 기부는 가늘어진다. ​ 식물체가 노성(老成)하면 가지 끝에 육생식물의 구아(球芽: 백합과 식물의 거무스름한 둥근 눈) 같은 눈이 생기고 그것이 모체에서 떨어져 새로운 식물로 영양생식하기도 한다. 식물체 전체가 부드러우며 식용한다. 한국의 전연안에서 채집되는 흔한 종류이다.[네이버.. 2023. 8.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