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2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 동대구역 광장 1월 24일 오후 동대구를 경유하며 동대구역광장에 잠시 들려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둘러보았습니다.2024년 12월 23일 오후 많은 논란속에서 제막된 높이 3m의 박정희 동상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밀짚모자를 쓰고 추수한 볏단을 양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는 약 6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갈등은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동상 앞에서는 동상 철거 1인 릴레이 시위가 이어지고 있었고 한쪽에는 최근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동상 훼손을 막기 위한 감시초소도 볼 수 있었습니다. 대구시가 행정국 공무원들에게 한밤 중 동상이 훼손되지 않도록 야간 방호 업무를 하도록 해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동상 양쪽에는 "현 시설물은 대구광역시 공공시설로서 현행법상(공공) 기.. 2025. 1. 24.
제주도 중문 대포해안 주상절리대 제주여행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주상절리는 마치 예리한 조각칼로 섬세하게 깎아낸 듯한 4~6각형 형태의 기둥으로, 현무암질 용암류에 나타나는 수직절리를 말한다. 두꺼운 용암이 화구로부터 흘러나와 급격히 식으면서 발생하는 수축작용의 결과로 형성되었다.마치 계단을 쌓은 듯 겹겹이 서 있는 육모꼴의 돌기둥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어 자연의 신비로움을 만끽할 수 있다.​그 기둥에 부딪히는 파도 또한 마음을 뺏기는 볼거리인데, 심할 때는 높이 20m 이상 치솟는 ‘쇼’가 펼쳐지기도 해서 보는이의 넋을 빼앗는다.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는 높이가 30~40m, 폭이 약 1㎞ 정도로 우리나라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제주도 천연기념물 제443호로 지정돼 있다. 넓은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차요금은 유료로 경차 1,00.. 2025. 1. 12.
포항 장길리복합낚시공원 보릿돌교 장길리 복합 낚시공원은 포항의 낚시 명소, 일출 명소로도 손꼽히는 장소로 아름다운 바다의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보릿돌교와 다양한 조망 명소가 있어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는 곳이다. 총 170m의 길이를 가진 보릿돌교의 가장 끝쪽에는 ‘보릿돌’이 있는데, 보릿돌 주변으로 미역이 많이 나서 보릿고개를 넘길 수 있었다는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고있다. 장길리 복합 낚시공원 주변으로는 다양한 횟집과 펜션, 해상펜션 등이 있어 즐길 거리도 풍부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명소다. 2012년 해양수산부 '이달의 어촌' 으로 선정된 아름다운 어촌마을 장길리는 다양한 어종이 잡혀 전국의 낚시꾼에게 각광받는 바다 낚시터이며, 스킨스쿠버들에겐 최고의 다이빙 포인트로 알려져 있다. 유료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수상유료낚시터와.. 2025. 1. 8.
모포항 물통바위 포항 장기면 모포리 포항시 남구 장기면 모포리 모포항 물통바위는 KBS 생생정보 미스터리의 사진 한 컷'에서 미션 장소로 소개되며 알려진 곳이다.  물통바위 속으로 밀려왔다 떨어지는 바닷물을 장노출로 촬영하거나 이 장면을 일출과 함께 촬영하는 등 사진작가들에게는 재미있고 매력있는 포인트로 알려져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곳이다. 지나는 길에 잠시 들렸을때  이 곳에 자주 오신다는 분을 현장에서 만났는데 파도가 많은 날 간조때를 택하라고 알려 주신다. 2025. 1. 8.
감성 강진의 하룻길- 현구길 구간 · 탑골샘 강진 영랑생가로 가는 길에는 탑골샘이라는 약수터가 있는데 이곳은 '감성 강진의 하룻길- 현구길 구간' 이 시작되는 곳으로 한국 서정시의 대표작을 감상하며 감성여행을 시작할 수 있는 길이다. 인근에는 영랑생가와 시문학파기념관이 우치하고 있으며 김현구 시인의 생가가 만나볼 수 있다. 강진 출신의 김현구(1903~1950) 시인은 영랑 선생과 동갑이자 시적 동반자로 시문학파 시인으로 활동하였으며, 대표작으로 '님이여 강물이 몹시도 퍼렇습니다', '물위에 뜬 갈매기' 등이 있다.강진의 5대 약수터 중 하나였던 탑골샘은 강진군이 정기적으로 실시한 관내 약수터 5개소 수질검사 결과에서  대장균이 균이 검출된 것으로 파악되어 현재는 약수터로 사용은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5. 1. 6.
강진읍성 서문터 서문정 비석 12월 30일 아침 강진 다산베아체골프앤리조트에서  좀 일찍 일어나 강진웁내를 돌아보기 위해  읍내로 진입할때 커다란 고목 앞에 세워져 있는 비석 1기를 발견하고 차를 세웠다. 비석 전면에는 "西門亭 서문정"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1992년 서문대동회에서 세운 비석인데 이 비석이 세워진 위치에 예전에는 강진읍성의 서문이 있었다고 한다.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곳은 서동이라 부르다가 성이 조성되면서 서문마을이름을 부르게 됐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1920년대까지 정자나무 인근에 서문이 있었고 문지기도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어느 시대에 없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한다. 비석 측면에는 '西紀一九九二年壬甲流頭日西門大同會 謹竪 서기일구구이년임신유두일서문대동회 근수"라 새겨져 있다. 壬甲流頭日에서 流頭日.. 2025. 1. 6.
강진 사의재 다산 정약용 첫 유배지 남도여행 1번지 강진을 경유하며 이른 아침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을 돌아 보았습니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입니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가 있는데 먼저 사의재를 소개합니다.위당 정인보는 한자가 발명된 이래 최고 시대의 사상가라 평가했습니다.다산 정약용은 강진에서 내리 18년을 살았는데 사의재(四宜齋)는 1801년 강진으로 유배 와서 1805년까지 만 4년간 거처하던 곳으로 스스로 교육과 학문에 정진키로 다짐하면서 붙인 이름입니다. 주막집(동문매반가) 주인 할머니의 배려로 골방 하나를 거처로 삼은 다산이 몸과 마음을 새롭게 다잡아 교육과 학문연구에 헌신키로 다짐하면서 붙인 .. 2025. 1. 6.
강진 몽마르뜨언덕 지난 12월 30일 이른 아침 강진읍내에 나와 예던길을 돌아보았습니다. '가던 길'의 옛말이라는 예던 길에는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김충식고택, 사의재와 몽마르뜨언덕 등이 있습니다. 강진 충혼탑과 바로 연결되어 있으니 같이 돌아보시면 됩니다.강진읍 보은산과 세계모란공원, 영랑생가와 연계하여 금서당과 사의재를 잇는‘강진 몽마르트 언덕’은 강진읍 보은산과 세계모란공원, 영랑생가와 연계해 금서당과 사의재를 잇는 1.5km 구간을 관광코스로 조성하여 보은산 공원화사업, 사의재 저잣거리, 강진 한옥미술관 모두와 두루 연계돼 체험거리와 스토리가 풍부한 강진읍의 새로운 관광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2025. 1. 6.
남도여행 일번지 강진 영랑생가 남도여행 1번지 강진을 경유하며 이른 아침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을 돌아 보았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이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 등이 있는데 사의재에 이어 영랑생가를 소개한다.영랑의 시혼이 살아 숨쉬는 영랑생가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1에 위챃고 있는 영랑생가는 국가지정문화재료(중요민속자료 제252호)로 우리나라의 대표 서정시인이자 항일 민족지사였던 영랑 김윤식 선생(1903~1950)의 생가이다. ​1985년 강진군에서 매입하여 원형 그대로 보존관리해오고 있으며, 생가에는 시의 소재가 되었던 샘, 동백나무, 장독대 등이 그대로 남아있다. 영랑생가 바로 앞에는 20.. 2025. 1. 4.
남도여행 일번지 강진 시문학파기념관 남도여행1번지 강진 영랑 김윤식(永郎 金允植) 선생의 생가인 영랑생가를 둘러보고 나오면 바로 앞 좌측에는 시의 향기를 머금은 곳 시문학파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시문학파’는 1930년대 순수시 운동을 전개했던 문학 동인회의 명칭이다.당시 참여했던 동인은 영랑 김윤식, 용아 박용철, 정지용, 위당 정인보, 연포 이하윤, 수주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 보 등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들로 이들 9명의 동인을 시문학파기념관에서 다시 만나볼 수 있다.한국문학사상 최초의 문학유파문학관 한국 시문학파기념관은 2012년 3월 5일, 1930년 ‘시문학’ 창간일에 맞춰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영랑생가길 14 (남성리 222-2)에 문을 열었다.​한국문학사상 최초의 문학유파문학관으로 기록될 시문학파기념관은 1521㎡ .. 2025. 1. 4.
진안 용담댐 망향의 동산 태고정 전북특벽자치도 진안군 용담면 용담댐 망향의 동산에는 태고정(太古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이 태고정은 본래 용담면 옥거리 주자천 절벽 위에 있었으나 1998년 용담댐 건설로 인하여 해체되어 지금의 자리인 망향의 동산에 이건되었다. ​용담댐이 건설되면서 용담면 일대 주민 741세대 2,466명이 마을을 떠났다. 고향을 잃은 용담면 주민들을 위로하기 위해 용담호가 내려다보이는 남산에 조성된 용담 망향의 동산은 1999년 12월에 준공되었다.​본래 태고정이 있던 자리에는 15세기 말경에 현령 조정(趙鼎)이 지은 이락정(二樂亭)이라는 작은 정자가 있었다. 이락정(二樂亭)은 ‘군자는 산과 물을 좋아한다는[樂山樂水]’의 뜻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름은 오래가지 못하고 소나무가 많다고 하여 만송정(萬松亭).. 2025. 1. 1.
강진 해안도로 남도여행1번지 강진명소 제13호 강진읍에서 다산베아체골프엔리조트로 가는 길 8km 정도 거리를 남겨두고 강진만을 끼고 달리는 만덕 간척지 해안도로가 반겨준다. 이 해안도로는 만덕호 쉼터공원까지 3km의 직선도로가 계속된다. 그날 저녁 강진읍에서 대리운전을 하고 돌아 오는 길 대리운전 기사께서 하는 말이 이 도로를 강진 아우토반이라고 부리기도 한다는 말을 들었었다.​길게 뻗은 직선도로라 속도를 내고 싶은 충동이 있지만 편도 1차선 도로이고 중간 중간에 과속방지턱이 많이 있어 과속은 금물이다. 적당한 속도로 자동차의 모든 창문을 열고 시원한 바닷바람을 맞으며 드라이브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도로이다. 또한 강진군 강진읍 평동에서 출발하여 남포교와 출렁다리를 잇는 해안자전거길은 행정자치부가 주관한 '아름다운 자전거길 100선'에 선정되기도 했.. 2025. 1. 1.
서울 선릉과 정릉 -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산왕릉 서울 선릉 · 정릉 서울 선릉과 정릉은 2호선 분당선 선릉역 10번출구에서 도보 7분, 9호선 분당선 선정릉역 3번출구에서는 도보 16분 정도 소요됩니다. 저는 선정릉역을 이용했는데 시간은 좀 더 걸렸지만 돌담길을 따라 걷는 내리막 길이기 때문에 천천히 걸어 볼 만 했습니다. 강남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비교적 한적하고 조용히 산책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관람시간은 3월~10월 06:00~21:00 (입장마감20:00), 11월~1월 06:30~17:30 (입장마감16:30), 2월 06:00~18:00 (입장마감17:00)입니다. 매주 월요일은 정기휴일이며 정기휴일이 공휴일 및 대체공휴일과 겹칠 경우에는 개방하며, 그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정기휴일입니다.세.. 2024. 12. 23.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 역사의 정취가 가득한, 오래 머물고 싶은 미술관, 서울시립 남서울미술관서울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2076(남현동)에 자리잡고 있는 서울시립 남서월미술관은 대한제국(1897~1910) 시절 벨기에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1905년 회현동에 준공되어 1983년 지금의 남현동으로 옮겨졌습니다. 사적 제25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서울시립 남서월미술관을 들어서면 길게 뻗은 복도를 중심으로 양옆으로 자유롭게 배열된 두 개 층의 방들에다양한 층위의 관람객에 특화된 공공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있습니다.​관람시간은 평일(화–금)은 오전 10시– 오후 8시, 토 · 일 · 공휴일은 오전 10시–오후 6시까지이며,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관)은 휴관합니다. 관람 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하.. 2024. 12. 20.
여수 엑스포 세계박람회 하이라이트 빅오쇼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축제에 속하는 대규모 국제행사로서 인류의 업적과 미래의 전망을 일정한 주제를 통하여 한자리에서 전시함으로써 인류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들에 대하여 해결방안과 비전을 제시하여 인류 공영에 이바지 하는 경제, 문화 분야의 종합올림픽이라 할 수 있는 세계박람회가 여수에서 열렸었습니다. 인류가 이룩한 과학적, 문화적 성과와 새로운 미래상을 제시하는 세계인의 축제인 여수엑스포는 살아있는 바다(Ocean)와 쉼쉬는 연안(Coast)을 주제로 2012년 5월 12일 개막했습니다.  12월 초에 여수에 출장을 갔다가 당시 여수 엑스포가 열렸던 여수 세계박람회장 해양공원을 돌아볼 계획이었으나 긴급한 상황으로 일정이 변경되어 12년만에 다시 볼려고 했던 빅오쇼도 관람하지 못해 2012년 여.. 2024. 1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