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방방곡곡/충청북도

권태응 감자꽃 노래비 충주 탄금대

by Yeongsik_Im 2025. 3. 24.
반응형

충주의 명승 탄금대에 들려 열두대로 가는 길, 먼저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위해 순국한 충주 출신 전몰장병과 경찰관, 군속, 노무자 2838인의 넋을 추모하고자 1956년에 세운 충주 충혼탑을 만나게 된다. 그 뒤에 있는 도순변사 신립이 휘하 장졸 8천여명과 함께 탄금대에 배수진을 치고 왜적을 맞아 싸우다가 장렬하게 전사한 전적지임을 기리기 위한 '신립장군과 팔천고혼위령탑'이 있어 그냥 지나칠 수 없다. 또한 그 옆에는 항일시인 권태응 선생의 감자꽃 노래비가 있어 발길을 또 한 번 붙잡는다. 

충주의 명승 탄금대에 세워진 이 감자꽃 노래비는 윤석중이 이끄는 새싹회와 지역 유지들의 노력으로 1968년 5월 5일 제86회 어린이 날에 세워졌다. 

감자꽃 노래비

                                                자주 꽃 핀 건 자주 감자 파 보나 마나 자주 감자
                                                하얀 꽃 핀 건 하얀 감자 파 보나 마나 하얀 감자

본관은 안동이며 호는 동천(洞泉), 충주시 칠금동에서 태어났다. 1932년 충주공립보통학교, 1937년 서울 제일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와세다대학 문학과에 입학하였다. 평소 일본인들의 부당행위에 불만을 가지다가 항일운동에 나서게 되었는데 일본경찰에 입건되어 1학년도 마치지 못하고 퇴학당하였다. 그 뒤 재일유학생들을 모아 독서회를 조직하여 항일 는동을 하다 1939년 스가모 형무소에 투옥되었다. 형무소에서 폐결핵을 얻어 1940년 6월 출옥하여 귀국하여 치료를 받다 병세가 악화되어 고향인 충주에 내려와 야학과 소인극(素人劇)을 통한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광복후 6.25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전쟁중에 약을 구하지 못해 1951년 별세하였다.
권태응이 남긴 대부분의 시가 애국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감자꽃」도 일제의 창씨개명 (創氏改名)에 맞선 작품이라는 평 이 있는데 동시(童詩)인 만큼 순수한 마음 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좋을 듯하다.윤석중선생 등의 후원으로 1968년 5월 5일 현위치에 감자꽃 노래비를 세웠으며 정부에서는 권태응선생의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하여 2005년 8월15일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감자꽃노래비 안내문 

 

충주 충혼탑 · 충장공 신립장군과 팔천고혼위령탑

충주의 명승 탄금대에는 충혼탑이 하나 서 있다. 한국전쟁 당시 나라를 위해 순국한 충주 출신 전몰장병과 경찰관, 군속, 노무자 2838인의 넋을 추모하고자 1956년에 세운 것으로 매년 6월 6일 현충

superman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