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향교와 서원189

은진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恩津鄕校)는 2021년 11월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당시는 문이 닫혀 있어 담 넘어로 구경만 하고 돌아와야 했었습니다. 그래서 2024년 10월 2일 오후 탑정호로 가는 길에 다시 들려보았는데 이날은 음력 9월 삭분향례를 봉행하는 날이었기에 마침 분향례를 마치고 뒷정리를 하고 있어 은진향교를 잠시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논산지역에는 연산향교, 노성향교, 은진향교가 있고 공자의 유상(遺像)을 봉안한 노성 궐리사(충청남도 기념물 제20호)가 있습니다.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hyanggyo.tist.. 2024. 10. 8.
진천향교 한국의 향교 164 충청북도 진천 진천향교 鎭川鄕校 Jincheon Hyangyo Confucian School 진천향교(鎭川鄕校)는 순조 4년(1804)에 다락문의 형태로 지은 풍화루(風化樓)가 외삼문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풍속을 교화하는 곳'이라는 뜻이 담긴 풍화루는 창건 당시에는 없었으나 1804년(순조 4) 이 지방의 유지였던 최흡이 사재를 털어 세웠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풍화루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의 솟을삼문 형태의 2층 누각으로 동재와 서재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향교 건축에서 외삼문을 누문으로 만든 곳은 자주 볼 수 있지만 충청북도 지역에서는 드문 예에 속합니다.  먼저 소개해 드린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안성향교도 풍화루가 외삼문의 역활을 하고 있는 같은 형태인데 조선시대 중·후기에 건립된.. 2024. 10. 8.
안성향교 한국의 향교 163 경기도 안성 안성향교( 安城鄕校)는 몇년 전 지나는 길에 들렸으나 문이 닫혀 있어 관람을 하지 못했는데 지난 10월 6일 아침 안성향교를 잠시 돌아 볼 수 있었다. 안성향교는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풍화루(제2092호)와 대성전(제2091호)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되었다.우라니라의 문루 중 가장 큰 11칸 규모의 풍화루가 반겨주는 안성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우|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 교육기관이다. 양민효로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詞章學)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원평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향교는 고을 크기에 따라 학생 수를 조정하였는데 대체로 군에서는 50명, 현.. 2024. 10. 7.
초계향교 -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합천군 4월 15일 합천지역 향교중 아직 답사하지 못했던 초계향교를 방문했다. 평일이었고 이 날은 분향례를 봉행한 날이었지만 개방을 하지 않고 있었고 충효관도 닫혀 있었다.단봉산 남쪽구릉 끝자락 경사지에 남향하여 자리잡고 있는 초계향교는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7호로 지정되었다.합천군 향역에는 합천향교, 강양향교, 삼가향교, 초계향교가 있고 경상남도에는 28개의 향교가 있다. ​경상남도 향교강양향교 · 거제향교 · 거창향교 · 김해향교 · 고성향교 · 곤양향교 · 남해향교 · 단성향교 · 마산향교 · 밀양향교 · 사천향교 · 산청향교 · 삼가향교 · 안의향교 · 양산향교 · 영산향교 · 웅천향교 · 의령향교 · 진주향교 · 창녕향교 · 창원향교 · 초계향교 · 칠원향교 · 통영향교 · .. 2024. 9. 13.
합천향교 한국의 향교 162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군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4개의 향교가 있는 곳이다.현재 합천군 향역에는 초계향교(草溪鄕校), 합천향교(陜川鄕校), 삼가향교(三嘉鄕校)가 있고 1965년에 건립된 강양향교(江陽鄕校) 가 있다. 이 중에 합천향교와 강양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합천향교는 대성전이 좌측에 있는 좌묘우학, 강양향교는 반대로 대성전이 명륜당 우측에 있는 좌학우묘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로 지정되었다.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합천향교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이었던 2022년 3월 9일 포항에서 전주로 가며 합천향교에 들렸다. 합천 향역에는 야로면에 합천향교, 삼가면에 삼가향교, 합천읍에 강양향교, 초계면에 초계향교 4개의 향교hyanggyo... 2024. 9. 13.
안의향교 한국의 향교 161 경상남도 함양군 오늘은 음력 8월 상정일(음력으로 매달 첫째 드는 정(丁)의 날)로 전국 234개 향교에서 추기 석전대제가 봉행됐다. 198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석전대제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에 공자의 인의와 도덕을 근본으로 한 학덕을 기리기 위해 술과 폐백을 성현의 신위전에 올리는 의식으로, 모든 유교적 제사 의식의 모범이며 가장 규모가 큰 제사이다. 오늘은 전주향교 석전대제에 참석하기 위해 포항에서 전주로 가는 길 함양 안의향교를 방문하기 위해 좀 일찍 출발하여 88고속도로에서 거창으로 나와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로 향했다. 500여년 전 향교가 창건된 시기에 형성된 마을인 교북리는 일반국도24호선과 26호선이 만나는 곳에 있어 함양과 거창으로 이동하기에 편리한 곳이다. 마을 앞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 2024. 9. 11.
의흥향교 한국의 향교 160 경상북도 군위군 한국의 향교 탐방 160번째 대구 군위군 의흥면 읍내길 89-27에 위치하고 있는 의흥향교를 8월의 마지막 날 방문했다. 9월 10일 추기 석전대제를 앞둔 의흥향교는 아쉽게도 문이 닫혀 있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있는 향교 건립 당시의 원판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는 것이 더욱 아쉬웠다.   일부 향교는 향교를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일요일에도 개관하고 월요일에 휴관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골이 따분한 향교를 누가 찾아 오겠냐며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지 말고 향교의 공간을 문화체험관광 자원으로 개발하여 유교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시대적 조류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의흥은 통일신라 시대 때 하리, 중리, 파립, 우보 등 4개 면을 통합하여 구산현(龜山縣)이라 하였고, 1018년 안동부.. 2024. 8. 31.
해남향교 한국의 향교 159 전라남도 해남군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 한국의 향교 탐방 159번째 전라남도 해남향교를 소개한다.이번 해남향교의 사진과 영상은 아이폰14 프로맥스를 이용하여 촬영했다.외삼문 뒤에는 연혁비가 2기가 세워져 있는데 최근에 설치된 해남향교(海南鄕校)의 연혁비를 살펴보면 해남향교는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라고 소개하고 있다."고려 충렬왕때  회헌 안향이 접반사로 중국(송나라) .. 2024. 8. 26.
진도향교 - 한국의 향교 158 전라남도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한국의 향교 탐방 158번째 전라남도 진도향교를 소개한다. 진도향교는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이번 진도향교의 사진들은 아이폰14 프로맥스를 이용하여 촬영했다.전라남도 진도에는 .. 2024. 8. 24.
염암향교 한국의 향교 157 전라남도 영암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특히 영암향교는 대성전을 좌측에 두고 명륜당을 우측에 둔 좌묘우학의 병렬형 배치방식으로 건립된 향교로 더욱 아쉬웠다. 현재까지 방문한 좌묘우학의 향교는 합천향교, 밀양향교, 대구향교 등이 있다.​전주향교의 경우 일요일에는 개방을 하지 않았었으나 최근에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일요일에도 개방을 하고 월요일에 휴관을 하고 있다. .. 2024. 8. 20.
함평향교 한국의 향교 156 전라남도 함평군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 전주향교의 경우 일요일에는 개방을 하지 않았었으나 최근에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일요일에도 개방을 하고 월요일에 휴관을 하고 있다. 월요일도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 휴관한다. 향교로 가는 길 함평의 아름다운 숲 향교숲을 지날때만 해도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함평향교에 대한 기대가 컸었는데 .. 2024. 8. 20.
무안향교 한국의 향교 155 전라남도 무안 무안향교(務安鄕校)는 1394년 공수산 서원에 세워졌다. 그런데 매년 1월 1일 제사를 지낼 때마다 사람이 한명씩 호랑이한테 잡혀 먹혀 77년 두인 성종 원년(1470)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숙종 15년(1689), 정조 13년(1789), 순조 20년(1820), 고종 29년(1892), 1902년 등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에 교촌리 260-1 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대성전과 제기고, 명륜당, 신문, 동재,서재, 외삼문 등이 남아 있고 홍전문, 사마재, 무학당 등은 남아 있지 않다. 명륜당 앞에 수령이 약  600년 된 은행나무만이 역사를 전할 뿐, 현재 남아있는 건물들은 거의 조선 후기에 재건된 것들이다. 대.. 2024. 8. 20.
황강서원 - 한국의 향교와 서원 전라북도 전주 전주에 머무는 동안 전주 문학대공원 일대를 돌아 보기로 했다. 폭염경보가 내린 8월 13일 문학대로 향한다. 마전 고분군이 있는 문학대 제1공원 입구를 지나면 마랏(마전)마을 표지석이 보이고 그 뒤로 낮은 언덕에 자리하고 있는 황강서원이 나온다문학대공원은 2006년 전주 서부신시가지를 조성할 때 발견된 마전유적(馬田遺蹟)을 보존하기 위해 문학대 인근에 전체 면적 25,693㎡ 규모의 문학대공원이 조성되고 2008년 5월 개장한 전주시의 공원이다.​공원 내 문화유적으로 복원된 마전고분군 1, 2, 3, 4, 5호분의 고분이 있으며 공원 옆으로 만경강 지류인 삼천(三川)이 흐르며, 흥산로를 사이에 두고 문학대1공원, 문학대2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인근에 문학대를 비롯 황강서원, 추천대가 위치하고 있다. 공민.. 2024. 8. 14.
익산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54 전라북도 익산향교(益山鄕校)는 2022년 6월에 익산 금마를 지나며 잠시 잠시 들린적이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익산향교가 전교선출과정에서의 분규가 장기화되어 외삼문이 굳게 잠겨 있을 때였다. 익산지역에 있는향교 중 함열향교, 용안향교, 여산향교에 이어 지난 4월 1일 익산향교를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익산향교 외삼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동서재가 있고 정면으로는 좌측에 제향영역인 내삼문과 대성전이 그리고 우측으로 명륜당이 자리잡고 있다. ​ 동서재는 대성전과 명륜당의 앞쪽 좌우에 위치하고 있고 명륜당은 대성전의 우측 전면 한칸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방식으로도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명륜당의 동편과 서편에 위치한 동재와 서재는 유생들의 기숙사로 동재에는 양반들의 자제들이 서재에는 서민들의 자.. 2024. 4. 3.
한국의 서원 광주 지산재 芝山齋 지산재는 신라말의 학자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을 봉향하기 위하여 1737년(영조13)에 양과동에 영당을 건립하고, 1846년(현종12)에 세워 최치원의 신주를 모신 지산사의 강당이다.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헐려 없어졌던 것을 1922년에 다시 세웠다.처음에는 최치원을 중심으로 최운한(崔雲韓, 1444~1499) · 최형한(崔亨韓, 1446~1504) · 정오도(鄭吾道, 1641~1732) 네 분을 모셨으나, 고쳐 세우면서 최치원만을 모시게 되었다.경내에는 외삼문과 강당인 지산재, 동재와 서재, 내삼문과 영당이 있는데, 그 중 지산재가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지산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중앙 2칸은 대청마루바닥.. 2023. 1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