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주향교97 사진으로 보는 공기 2576년 전주향교 춘기석전대제 전주향교는 9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공기 2576년 춘기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전주향교가 주관하고 전주시가 후원한 이번 춘기석전대제는 헌관 및 제관 등 유림들과 전주시민, 국내외 관광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엄숙하게 봉행됐다. 2025. 3. 15. 전주향교, 공부자탄강 2576년 춘기석전대제 봉행 전주향교는 9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공기 2576년 춘기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전주향교가 주관하고 전주시가 후원한 이번 춘기석전대제는 헌관 및 제관 등 유림들과 전주시민, 국내외 관광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엄숙하게 봉행됐다. 이날 석전대제는 오전 8시 오성위(五聖位, 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의 아버지의 위패를 모신 계성사 봉행을 시작으로 진행됐으며, 10시부터 전주시립국악단의 문묘제례악의 연주와 함께 전폐례,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분헌례, 음복례, 망료례 순으로 진행됐다. 오성위의 위패에 술잔을 올리는 제관의 역할은 초헌관에 최인열 전교, 아헌관은 이호회 유도회 전주지부 회장이 그리고 권우석 유도회 전주지부 부회장이 종헌관을 맡아 진행됐다. 최인열 전주향교 전교는 "석전대제는 유교의 가르침을.. 2025. 3. 9. 전주향교 명륜당 가적지붕 그리고 눈썹지붕 전주향교 명륜당은 전면 5칸 측면 3칸 일익공 맛배지붕 건물로 좌·우 측면에는 가적지붕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전면은 교차무늬 창살문에, 눈썹천장에 도리가 길게 뻗어나온 114.4㎡의 건물로, 서기 1603년에 건축되여 전국에서 가장 오래된 명륜당으로 유명합니다.부섭지붕이라고도 불리는 가적지붕은 맞배지붕 측면에 덧붙여진 한쪽으로 경사진 지붕을 말합니다. 특히, 가적지붕은 한 칸을 다 덮을 만한 크기인데 눈썹지붕은 처마 끝을 약간만 가릴 뿐입니다. 돈암서원 응도당(아래 사진)에서 눈썹지붕을 볼 수 있습니다. 건물의 측면 지붕 밑에 설치한 방풍판 밑에 보면, 활주를 내달고 그 위에 기와를 얹은 지붕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눈썹지붕입니다. 가적지붕과 눈썹지붕 2025. 2. 11. 전주향교 겨울 풍경 처마에는 고드름이 주렁주렁 전주향교 겨울 풍경 2025년 2월 8일 2025. 2. 11. 전주향교 입춘첩 행사 개최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입춘을 맞아 전주향교 문화관에서 입춘첩 행사를 실시 했다. 입춘(立春)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자 봄을 맞는 날이므로 이날 봄의 형상에 적합한 축하·기원·경계 등의 글을 쓰는데, 이를 입춘첩(立春帖), 입춘축(立春祝)·춘축(春祝)·문첩(門帖)이라고 한다. 이날 행사에는 이호희 유도회장을 비롯한 유림들과 지역 주민 그리고 언론사 사진기자들과 향교를 찾은 관광객들이 함께 참여했다. 2025. 2. 3. 전주향교, 음력 12월 망(望)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1월14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음력 12월 망분향례를 봉행했다. 2025년 첫번째 행사로 치뤄진 이번 분향례는 대성전 분향관에 최인열 전교, 당상집례 임규열, 당하집례 이존한, 찬인 홍의겸, 봉향 김승기, 봉로 서승열, 동무분향관은 소재오. 찬인 라성흠, 봉향 홍병기, 봉로 유정호, 서무분향관은 박병준, 찬인 김관식, 봉향 장봉근, 봉로는 채규칠 유림이 맡아 복무했다. 겨울날씨 치고는 비교적 포근한 날씨에 봉행된 이날 분향례는 전주향교를 찾은 많은 관광객들이 분향례 과정을 지켜보는 가운데 봉행됐다.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전주향교는 전주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이 반드시 들리는 전주여행의 핫플레이스로 알려져 있다. 전주향교는 매주 월요일 휴관(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2025. 1. 15. 전주향교, 음력 12월 삭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12월31일 오전 10시 대성전에서 음력 12월 삭분향례를 봉행했다. 2024년 마지막 행사로 치뤄진 이번 분향례는 대성전 분향관에 최인열 전교, 당상집례 김문태, 당하집례 임규열, 찬인 홍의겸, 봉향 박병준, 봉로 서승열, 동무분향관은 권우석. 찬인 라성흠, 봉향 박원호, 봉로 소규칠, 서무분향관은 이병섭, 찬인 이용원, 봉향 홍병기, 봉로는 유정호 유림이 맡아 복무했다. 분향례를 마치고 전주향교문화관에서는 분향 강독에 앞서 이번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묵념을 실시하며 애도의 마음을 표했다. 이어 최인열전교는 "2024년 한해 동안 유림 여러분들의 열정적인 참여로 활발한 활동을 함께 할 수 있어 감사했다."며 2025년에도 건강한 모습으로 함께 하자"고 말.. 2024. 12. 31. 전주향교 음력 11월 망(望) 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12월 15일(목) 오전 10시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음력 11월 망(望) 분향례를 봉행했다. 이번 분향례는 대성전 분향관에 최인열 전교, 당상집례 김문태, 당하집례 홍의겸, 찬인 홍병기, 봉향 서승열, 봉로 김승기, 동무분향관은 권우석. 찬인 김수길, 봉향 정진수, 봉로 박원호, 서무분향관은 소재오, 찬인 김관식, 봉향 유정호, 봉로는 정정태 유림이 맡아 복무했다. 분향례를 마치고 전주향교문화관에서는 송행근강사가 진행하는 분향강독이 이어졌다.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전주향교는 전주한옥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이 반드시 들리는 전주여행의 힛플레이스로 알려져 있다. 전주향교는 매주 월요일 휴관(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휴관)하며, 관람시간은 동절기는 10:00 - 17:00, 하절.. 2024. 12. 15. 전주향교 계성사에 쌓인 노란 은행잎들 전주향교에는 계성사라는 곳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전주향교와 제주향교에만 있는 계성사(啓聖詞)는 5성위인 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의 아버지 의패를 모신 사당입니다. 계성사는 계성문이라는 삼문을 두고 있고 담장을 둘러 구분하고 있습니다. 계성사에 대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전국 234개 향교 중 두 곳 뿐인 전주향교 계성사 啓聖詞계성사(啓聖詞)는 5성위인 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의 아버지 의패를 모신 사당으로 전국 234개소의 향교중에 유일하게 전주향교와 제주향교에만 있다. 오늘은 먼저 전주향교 계성사와 계성사hyanggyo.tistory.com전주향교에는 유독 은행나무가 많은데 계성사 앞에도 은행나무가 있습니다. 계성문 서쪽에 있는 은행나무의 노랗게 물든 은행잎들이 떨어지면 .. 2024. 11. 24. 전주향교 은행나무 단풍 2024년 11월 23일 2024년 11월 23일(토) 아침에 촬영한 전주향교 명륜당 앞 은행나무 단풍 현황입니다.전주향교 관람 시간은 동절기 10:00 - 17:00, 하절기 09:00 - 18:00 까지이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합니다.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휴관)전주향교 홈페이지 https://www.jjhyanggyo.or.kr 2024. 11. 23. 전주향교 은행나무 단풍 현황 2024년 11월 11일 전주향교 은행나무 단풍에 관하여 문의하시는 분들이 너무 많이 계셔서 안내해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의 상황으로 볼때 올해 전주향교 은행나무는 11월 16-7일 이후 부터 절정을 이룰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은행나무 단풍현황은 전주향교 홈페이지 및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안내해 드리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2024년 11월 11일 오전에 촬영한 전주향교 은행나무 현황입니다. 2024. 11. 11. 전주향교 대성전 지성선사상 공자상 오늘은 전주향교 대성전에 있는 '대성지성문성왕공부자상(大成至聖文宣王孔夫子像)'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 있는 234개의 모든 향교는 대성전에 공자를 정위로 모시고 있으며, 매월 삭망으로 분향례(焚香禮)를,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는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하고 있습니다.전주향교 대성전에도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를 정위로 顔子(復聖公) 曾子(宗聖公) 子思(述聖公) 孟子(亞聖公)를 중앙에 그리고 동벽과 서벽에는 아국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주향교는 동무와 서무에 공문십철, 송조육현과 중국의 7현 등 23위의 유현을 설위하고, 계성사에는 오성의 고위를 모셔 총 51위의 선현성현을 모시고 있는 대설위의 문묘입니다.전주향교 대성전에는 위패와 함께 공자상이 모셔져 있는.. 2024. 10. 22. 전주한옥마을 선비길 남안재 · 남양사 · 전주향교 사마재 선비와 길을 걷다전주한옥마을에는 선비들이 살았습니다.효를 위해 입신양명을 버린 월당 최담부터 조선의 마지막 선비로 불리는 간개 간우와 그의 제자인 삼재까지, 특히 일제강점기 한옥마을은 선비들의 집합소였습니다. 역사의 순간마다 삶의 참 모습을 보여준 이들의 이야기를 나눌수 있는 곳이 바로 선비길입니다. 전주향교 만화루 앞 길 건너편 좌측에는 '선비와 길을 걷다' 비석이 세워져 있습니다.1900년대부터 일제에 항거하려는 전국의 선비들이 교동 일대에 모여 들면서 형성된 전주한옥마을 중심에는 삼재(금재 최병심, 고재 이병은, 유재 송기면) 를 비롯한 대학자 간재 전우(艮齋 田愚)의 제자들이 있었습니다. 그 뜻을 새기기 위해 2014년 1월 전주시에서 이 표지석을 세웠고, 앞면 글씨는 송하진(당시 전주시장)이 .. 2024. 10. 12. 전주한옥마을역사관 전주 한옥마을의 역사와 변천 과정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주 한옥마을역사관은 옛 창작예술공간의 한옥 2개 동을 리모델링해 2018년에 개관하였습니다. 오늘은 개관 이후 해마다 약 5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다녀가며 새로운 관광명소로 부상하고 있는 전주한옥마을역사관을 소개해 드립니다. 전주한옥마을역사관은 전주한옥마을의 역사와 관련된 특별전시를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전주한옥마을에서 활동하는 공예 공방 작가들을 대상으로 소통의 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주향교의 역사와 가치를 재조명하는 ‘수도향교(首都鄕校): 전주향교(全州鄕校)’ 특별전이 진행중입니다.오는 22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조선 시대 각 군현에 향교가 세워진 경위와 ‘완산지’와 ‘전주부지.. 2024. 10. 11. 전주향교 하마비와 비석 이야기 전주향교의 비석(碑石) 이야기는 하마비부터 소개하고 이어서 전주향교위성안창립기사비, 문묘중건사적비, 전주향교존성회연혁비, 전주향교중수공적비, 전주존성회기사비를 소개한다. 전주향교 하마비는 홍살문 우측에 세워져 있는데 전라북도에서는 가장 오래된 하마비로 알려져 있다. 두번째로 오래된 하마비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2호로 지정된 전주 경기전의 하마비이다. 하마비가 문화재로 지정된 경우는 매우 드문 경우로 전주 경기전하마비와 완도 읍리 하마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전주향교 하마비는 여느 하마비와는 다르게 돌기둥 모양으로 지금까지 전국의 향교에서 보았던 하마비 중에 제일 크다고 볼 수 있다. 전주향교 하마비는 높이 약 235cm, 넓이 62~49cm, 측면 39~29cm 이다.전주향교 하마비에는 과차자.. 2024. 10. 11. 이전 1 2 3 4 ···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