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향교와 서원/제주도2

정의향교 한국의 향교 16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몇 년 전에 제주도 성읍민속마을에 들렸을때는 일행들이 있어 정의향교를 돌아볼 시간을 내지 못했었는데  2월 25일 서귀포에서 제주공항으로 가는 길에 성읍민속마을을 경유하여 정의향교에 잠시 들렸습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에는 제주향교와 대정향교, 정의향교가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정의향교와 대정향교는 제주향교에 합병되면서 서귀포 지역의 유교는 크게 위축되기도 했으나 서귀포 지역의 유림들이 향교의 재건과 석전제의 봉행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해방이후  정의향교와 대정향교는 본래의 모습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1949년 성균관 유도회 대정지부가 창설되고, 1970년에 정의지부가 결성되면서 예의생활 실천운동과 도덕성 회복운동이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정의향교는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 2025. 2. 26.
제주향교 한국의 향교 제주특별자치도 濟州鄕校 [한국의 향교 제주도] 제주향교 濟州鄕校 Jejuhyanggyo Confucian School제주에서의 짧은 휴가를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중 잠시 제주향교에 들렸다. 예상대로 제주향교는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정부지침에 따라 휴관중이었다. 제주까지 와서 그냥 돌아서기에는 아쉬움이 많아 협조를 구해볼까 하다가 시간적인 여유도 많지 않아 담 넘어로 보이는 명륜당과 대성전만 잠시 촬영했다. 2020년 12월 29일 제주향교는 1392년(大祖 1) 제주성내 교동(校洞),지금의 원정로에 창건된 후 여러 차례 옮겨졌으며,1827년(純祖 27) 현 위치로 옮겨 오늘에 이른다. 향교내에는 대성전(大成殿) • 계성사(啓聖轉) . 명륜당(明倫堂)등의 건물이 있으며 본래는 동무(東應) . 서무(西應) . 동재(東齋) . .. 2021.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