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자12 전주향교 대성전 지성선사상 공자상 오늘은 전주향교 대성전에 있는 '대성지성문성왕공부자상(大成至聖文宣王孔夫子像)'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 있는 234개의 모든 향교는 대성전에 공자를 정위로 모시고 있으며, 매월 삭망으로 분향례(焚香禮)를,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는석전대제(釋奠大祭)를 봉행하고 있습니다.전주향교 대성전에도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를 정위로 顔子(復聖公) 曾子(宗聖公) 子思(述聖公) 孟子(亞聖公)를 중앙에 그리고 동벽과 서벽에는 아국 18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주향교는 동무와 서무에 공문십철, 송조육현과 중국의 7현 등 23위의 유현을 설위하고, 계성사에는 오성의 고위를 모셔 총 51위의 선현성현을 모시고 있는 대설위의 문묘입니다.전주향교 대성전에는 위패와 함께 공자상이 모셔져 있는.. 2024. 10. 22. 문의향교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청주 문의향교 청주시 향역에는 있는 청주향교와 문의향교(文義鄕校)를 9월 세째주 주말에 방문했다.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로 지정된 문의향교를 먼저 소개한다. 한국의 향교 지역별 현황한국의 향교(鄕校) 지역별 현황 향교(鄕校)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고 유생들에게 유학을 교육하던 곳으로 15세기에는 한 고을hyanggyo.tistory.com문의향교홍살문 옆 하마비는 새로 세운것으로 보인다.하마비에는 대소인원하마(大小人員下馬)라고 새겨져 있다. 이 곳을 지나가는 사람은 누구나 말에서 내려 예를 갖추어야 한다는 뜻이다.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 皆下馬)라고 쓰기도 한다.문의향교는 교육영역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영역인 대성전을 뒤에 배.. 2022. 9. 19. 오산화성궐리사 공자를 모신 사당 궐리사 (闕里祠)는 공자(孔子)가 탄생한 궐리촌(闕里村)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우리나라의 궐리사는 강릉, 제천에도 있었으나 현재는 이곳 오산 화성과 논산 노성에만 남아 있다. 노성 궐리사는 지난 4월에 방문하여 블로그에 소개했었다.오산 궐리사는 경기도 기념물 제147호로 1994년 4월 20일 지정됐다. 공자를 모신 사당 충청남도 논산 노성궐리사 - 우리나라에는 화성과 노성 두 곳에만 남아 - 23번 국도를 따라 내려가다 논산시 노성면을 지나며 문득 궐리사가 생각이 났다.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노상산성길)에는 명제고택과 노성향교가 나 hyanggyo.tistory.com 오산화성궐리사(烏山華城闕里祠) 궐리사는 공자의 64세손인 공서린이 서재를 세워 후학을 지도하였던 장소이다. 공서린.. 2022. 8. 20. 공자를 모신 사당 충청남도 논산 노성궐리사 - 우리나라에는 화성과 노성 두 곳에만 남아 - 23번 국도를 따라 내려가다 논산시 노성면을 지나며 문득 궐리사가 생각이 났다.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노상산성길)에는 명제고택과 노성향교가 나란히 붙어 있고 1km 떨어진 곳에 궐리사(闕里祠)가 있는데 지난번 노성향교 방문시에 들리려 했던 궐리사를 지나쳐 버렸기에 좀 늦은 시간이긴 했지만 차를 돌렸다. 노성 궐리사는 1716년에 노성산 아래 궐리촌에 궐리사를 건립하고 이듬해에 공자 영정을 봉안했다. 그후 1805년에 관찰사 박윤수 등이 현 위치로 이건했으며 궐리사는 강능, 제천, 화성에도 있었으나 현재는 이곳 노성과 화성에만 남아 있다. 그후 궐리사는 조정으로부터 사액을 받았으며 중수를 거듭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노성 궐리사는 1978년12월30일 도.. 2022. 4. 8. 진안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진안 진안향교 鎭安鄕校 Jin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600년 역사 간직한 진안향교2021년 5월 12일오늘 5월 12일은 음력 4월 삭분향례를 봉행하는 날이라 출장길에 진안향교에 들렸다. 예상대로 분향례를 봉행하고 난 후라 아직 문을 닫지 않은 상태여서 세번째 방문만에 관람을 할 수 있었다.진안향교는 1414년(태종 14년)에 진안읍 군상리 웃샛골에 창건해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가 다시 중건되었고 1636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해 현재에 이를 만큼 600여년이 넘는 긴 역사를 자랑하는 곳이다.네비게이션이 진안향교를 안내할 때 홍살문쪽으로 안내하는 경유가 있는데 차량이 들어갈 수는 있으나 주차할 공간도 없고 후진해서 나와야 하기 때문에 충효관쪽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조선.. 2021. 9. 21.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여수향교 麗水鄕校 여수향교 麗水鄕校추석연휴인 9월 19일 구례향교 - 순천향교를 경유하여 여수향교(麗水鄕校)와 돌산향교를 방문했다. 여수향교는 전남 여수시 군자길 46 (군자동) 여수 앞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한말의 향교로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4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여수향교의 풍화루는 평시에는 닫혀있으니 풍화루 우측 비석군 옆 골목으로 올라가서 협문을 이용하여 향교로 들어가면 된다. 풍화루 우측에 주차장이 있으나 협소하고 도로변에 주차가 가능하다.여수향교(전교 정준호)는 1897년(광무 1년)에 세운 여수군의 향교이다. 처음에는 제사를 지내는 장소인 대성전과 동재,서재만 갖추어 지었다가 1934년에 교육용 강당인 명륜당과 풍화루를 새로 지었고 1949년에 앞면 3칸, 옆면 3칸이던 .. 2021. 9. 21.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구례향교 구례향교달콤한 5일간의 추석연휴중 19일은 아내와 함께 전라남도 여수를 다녀왔다. 다만 하루라도 셔터를 누르지 않으면 손이 근질근질하고 니콘의 묵직한 셔터소리를 듣지 않으면 허전하기에 현재 출장중에 시간을 내어 진행하고 있는 향교 탐방중 전라남도 지역의 향교를 몇군데 경유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다녀온 70여곳의 향교 중 전라남도 지역은 옥과향교 딱 한군데 뿐이었다.남원에서 구례 순천 여수로 가는 국도 19호선 인근의 향교를 검색하여 곡성향교 - 구례향교 - 순천향교 - 여수향교 - 돌산향교를 경유하여 오동도와 여수 밤바다를 구경하고 돌아오는 코스를 택했다. 구례향교 하마비에는 과차개하마(過此皆下馬)라 쓰여 있고 흐면에는 건립일자가 새겨져 있다.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0호(1985년 2월 25일 지정).. 2021. 9. 20. 춘천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춘천 春川鄕校 춘천향교 春川鄕校 Chun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8호 2021년 5월 15일(토)에 방문했다. 강원 춘천시 삭주로 21 (교동)에 위치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8호(1985년 1월 17일 지정)인 춘쳔향교는 아쉽게도 내삼문이 굳게 닫혀 있어 대성전과 동무,서무는 촬영하지 못했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고 유생들에게 유학을 교육하던 곳인 춘천향교는 조선 초기에 설립되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유몽인의《어우집》에 따르면 1520년(중종 15) 에 부사 이만손이 다시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4년(선조 27) 부사 서인원이 고쳐 지었다. 한국전쟁으로 대성전.. 2021. 5. 17.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Geoj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유학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과 공자를 비롯한 훌륭한 유학자에게 제(祭)를 올리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거제향교는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다.거제향교는 세종 14년(1432) 서문골(현재 고현동)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면서 함께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에 걸쳐 이전 설치되었다가 철종 6년(1885) 현재의 위치로 옮겨져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거제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공간을 앞쪽에,제례공간을 뒤쪽에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양식으로 이는 조선시대 향교 건물배치의.. 2021. 5. 10.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위패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위패 2017년 3월 1일 전주향교 춘기 석전대제 2020. 11. 29.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분향례를 봉행중인 분향관들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분향례를 봉행중인 분향관들 2020. 11. 6.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과 위패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과 위패2017년 춘기 삭전대제가 열리는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 앞 제단의 모습 2020.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