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해여행6

동해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스카이밸리 스카이워크 동해안 해안도로를 따라 여행하다 보면 바닷가에 설치된 해상 전망대들을 많이 만나게 된다. 포항의 해상스카이워크, 해오름전망대, 이가리닻전망대, 삼사해상산책로 등은 맑은 날엔 드넓게 펼쳐진 잔잔한 푸른 바다와 맑은 하늘을, 파도가 치는 날에는 다리로 흩뿌려지는 파도 조각들을 감상하며 바다위를 걸을 수 있는 해상보도교량이다. ​ 동해시에도 바다 위를 걸을수 있는 해상전망대가 있었는데 명칭은 동해 도째비골 해랑전망대였다. 전망대 앞쪽에는 도깨비모양의 도째비골 스카이밸리가 있다. ​ 소원을 기원하는 도째비골 도째비골 해랑전망대는 도깨비방망이를 형상화 하였으며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해상보도교량으로 바다 도깨비에게 소원을 비는 공간이다. 도째비골 스카이워크는 바다와 하늘이 맞닿는 공간에서 하늘 도깨비에세 소원을 .. 2023. 2. 15.
동해여행 추암해변 촛대바위 능파대 추암해수욕장 7번국도에서 빠져나와 삼척해수욕장을 지나 기암괴석이 늘어선 해안 절경과 해돋이 명소로도 유명한 해오름의 고장 동해 추암해변으로 향한다. 중산해수욕장에 다다르면 추암해변의 촛대바위와 형제바위 등 기암괴석이 눈앞에 펼쳐진다. 추암해변은 동해시와 삼척시 경계 해안을 중심으로 동해안의 삼해 금강이라고도 불리는 곳으로 1997 한국관광공사의 겨울철 가볼 만한 곳 10선”에 선정되기도 한 자연경관이 수려한 곳이다. 추암해변은 미묘한 해안절벽과 함께 그리움이 배인 촛대바위 그리고 크고 작은 바위섬들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며 동해의 거세고 맑은 물이 바위를 때리는 여운과 잘게 부서진 백사장이 아름다운 곳이다. 애국가 첫 소절의 배경화면으로 유명한 각종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는 촛대바위, 이 바위에 걸리는 아침 해돋이가 .. 2023. 2. 14.
동해여행 추암해변 동해 해암정 7번국도를 따라 내려가다 보면 동해안의 명소가 많아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곳이 많다. 추암해변은 몇년 전 강을으로 올라가는 길에 잠시 돌아 보았었는데 해암정을 멀리서만 보았고 능파대에도 오르지 못했기에 아쉬운 마음에 7번 국도에서 차를 돌려 추암해변으로 들어섰다. ​ 추암촛대바위에서 내려와 출렁다리로 향하는 길 중간에는 1361년, 삼척 심씨의 시조인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내려와 후학 양성과 노후를 보내기 위해 지은 북평 해암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북평 해암정의 지금의 공식 명칭은 '동해 해암정'이다. 동해시는 1979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된 북평 해암정이 최근 강원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동해 해암정'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해암정이 처음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에는 삼척군 북평읍에 .. 2023. 2. 14.
동해여행 어달항 · 어달해변 빨간 등대 · 까막바위 문어상 동해 도깨비골 해랑전망대에서 북쪽으로는 남대문의 정동방 까막바위 그리고 어달항과 바다 위에 서있는 빨간 등대가 있는 어달해변이 이어진다. 까막바위 옆에는 마을 침입자들을 물리친 전설의 문어상이 세워져 있다. 여기가 남대문의 정동쪽이니 이곳에서 서쪽으로 계속가면 그곳에는 국보 제1호이며 태조 7년(1398)에 창건된 남대문이 있는 것이다. 1999년 10월 26일 국립지리원이 공인했다고 안내하고 있다. 조선 중엽 인품이 온화하고 덕망이 있으며 주민들로 부터 존경받았던 호장(지금의 지역 유지)이 이곳에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앞바다에 2척의 배가 나타나 배에 타고 있던 자들이 마을을 급습하였고 호장은 이들과 맞서 용감히 싸웠으나 힘이 부족했다. 침입자들이 약탈한 재물과 호장을 배에 싣고 돌아가려 하자 주민들.. 2023. 2. 14.
동해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동해 東海鄕校 동해향교 東海鄕校 Dong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동해향교는 우리나라의 234개 향교 중 1994년에 가장 마지막으로 창건된 신생 향교로서, 전학후묘에 39위를 봉안한 대성전과 명륜당 등 9동의 건물과 승용차 300대 규모의 대형주차장, 만리장성 같은 담장에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오죽을 무성하게 가꿔 교궁의 구조와 규모가 전통적임과 동시에 현대적이도록 배합되어 있다.1980년 명주군의 묵호리과 삼척군의 북평리를 병합하면서 동해시가 발족되고, 이에 따라 두 지방에 각기 편입되어 있던 유림들이 1990년에 동해유림을 결성하게 되었는데, 동해향교는 사도창달과 지방문화발전을 위한 구심점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과 동해유림의 독자적인 진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건되었.. 2021. 10. 4.
동해 추암해변 북평해암정, 촛대바위와 형제바위 동해 추암해변 북평해암정, 촛대바위와 형제바위 동해안으로 출장을 다닐때는 고속도로보다는 시간은 다소 더 걸릴지라도 동해안 7번국도를 이용한다. 동쪽 해안가를 따라 함경도까지 길게 뻗어 있는 길이 국도 7호선이다. 강릉에서 내려가다 보면 정선군 임계면을 을 서쪽에 두고 동해시가 위치하고 있다. 동해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삼척이다. 동해시는 약 20km 정도가 해안에 인접하고 있는데 기암괴석이 늘어선 해안절벽과 고운 백사장이 아름다운 해변이 바로 추암해변이다. 추암해변은 해변의 크기는 작은 편이지만 절경을 감상하기에는 충분하다. 추암해변은 해돋이 명소로 유명한데, 그중 추암촛대바위는 사시사철 여행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 중 명소다. 애국가 방송 첫 소절의 배경화면에 등장하는 바위는 하늘을 향해 곧게 뻗.. 2021.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