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향교와 서원/경상북도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상주향교

by Yeongsik_Im 2021. 10. 26.
반응형

대성전과 동서무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96호로 지정되는 경사를 맞았던 상주향교를 다녀왔다.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 고려 고종 34년(1247년)에 '향교'라는 용어가 최자(1188∼1260)의 『보한집』(하)에 기록되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음이 확인되어 현존 향교 중에서 상주향교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대설위 상주향교는 고려 992년(성종 11)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문헌상에는 상주목사를 지낸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補閑集)에, 1247년(고종 34) 상주향교의 제생들이 가시(歌詩)를 지어 받쳤다는 기록이 있어, 현존 향교 중 가장 이른 시기이다. 1484년(성종 15)에는 목사 강구손(美龜孫)이 성전(聖殿)과 재(齋) • 루(權)를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 로 소실되었다. 1610년(광해군 2)에 목사 강인(姜絪)이 재건하였음이 2005년 중수 시 종도리에서 묵서(墨書,황명만력 38 경술 윤3.22)가 발견되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7량가로,배흘림기등도 있다. 배향위차는 성균관과 같이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39현(5성,송조 6현,공문 10철,아국 18현)이다. 동무와 서무는 정면 10칸으로,1612년(광 해군 4)에 창건하여 당시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지형의 경사면을 기둥의 높이로 조정한 탁월한 입면구성을 하였으며, 규모면에서도 서울 문묘•경주향교 동서무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매년 음 2.8월 초정일 석전대제를 봉행한다
상주향교 안내문

상주향교는 상주시내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남산 구월봉의 산자락에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남루 · 명륜당 · 내삼문 · 대성전이 일축선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상주향교 남루
상주향교 남루의 뒤쪽 모습
1430년에 세워진 남루의 상량대에 단기 4340년이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2007년에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주향교 명륜당
명륜당 편액

상주향교는 1949년에는 상주고등공민학교의 교실로, 1961년에는 명륜당을 남산중학교 교실로 사용한 적도 있다.

동재
서재
내삼문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정면은 퇴간, 측면은 벽체로 막았다. 중수를 거듭하였다.

〈상주향교 배향인물〉

오성위 : 공자, 증자, 안자, 맹자, 자사

송조육현 : 주돈이, 정호, 정이, 주희, 소옹, 장재

공문 십철 : 민손, 염경, 염옹, 재여, 단목자, 염구, 중유, 언언, 복상, 전손사

동방십팔현 : 홍유후 설총, 문선공 안 유, 문경공 김굉필, 문정공 조광조, 문순공 이황,

문성공 이이, 문원공 김장생, 문경공 김 집, 문정공 송준길, 문창후 최치원, 문충공 정몽주, 문헌공 정여창, 문원공 이언적, 문정공 김인후, 문간공 성 혼, 문열공 조 헌, 문정공 송시열, 문순공 박세채

상주향교는 경주향교와 더불어 대설위 향교로서, 1966년에 우리 나라 18현, 송나라 2현의 위패를 추존하였다. 대성지성 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 공자)의 위패를 전면에 남향으로 모시고 사성 위패를 전면 양쪽으로 하여 25위의 위패를 모셨다가 2006년에 공문(孔門)10철(哲)과 송조(宋朝)4현을 추존하여 대설위향교에 걸맞는 총39현을 모시고 있다.

배치는 전당후재형(前堂後齋形) 또는 전학후묘형(前學後廟形)으로 구성하고, 제향(祭享) 공간은 양무(동, 서무)를 앞에 두고 대성전을 높게 쌓은 기단 위에 놓아 그 위상을 높게 하였다.

동무
서무

경상도영주제명기 慶尙道營主題名記 Registers of Governors of Gyeongsang-do Province

상주향교 소장 경상도영주제명기(일명 도선생안道先生案)는 고려 · 조선시대의 경상도 관할의 안찰사 · 관찰사의 명단록이다. 최초 성책자는 경상도관찰사 하연이 1425년(세종7)에 경주 본영의 전 주부 손희의 가장본을 저본으로 2부를 작성하여, 경주와 상주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산실되었다. 그 후 1621년(광해군13)에 김지남 경상도관찰사가 경주호장 최락이 보관하고 있던 것을 저본으로 4부 더 필사한 5부 가운데 1부이다. 그 저본과 1 부를 달성(대구)에, 나머지 3부를 경주, 상주, 안동에 수장하였는데, 달성과 안동본은 분실되었고 경주와 상주본만 전해 왔다. 상주본은 고려시대인 1078년(문종 32)이제원안찰사부터 1886년(고종 23)이호준관찰사까지 총 808년간 1096명의 명단과 함께 전직, 재임기간, 교체사유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현재 상주박물관에 기탁 보존관리하고 있다.

상주향교 고직사
상주향교 사회교육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