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향교와 서원/경상남도39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언양향교는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97년10월 9일 지정되었다..언양향교는 반월산 아래에 창건 되었다. 그 뒤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가, 화장산 아래로 또 옮겼고, 마지막으로 지금의 위치에 다시 옮겨 전하고 있다.​彦陽鄕校가 언제 設立되었는지는 記錄이 남아 있지 않아 正確한 年代는 考證할 수 없다.그러나 史料가 전하는 정황으로 보아 高麗末期에서 朝鮮初期에 彦陽邑城 北方1리 半月山 기슭에 최초 設立 되었 다가 邑城 南方3리 德泉으로 옮김. 다시 邑城 西方2리 花藏山으로 옮겼다가 지금의 위치(德泉)에 또다시 3次 移建.. 2021. 6. 4.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울산향교[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한 고을 한 향교(一邑一校) 체제가 완성된 15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신학성 북쪽인 현 반구동 구교(舊校)마을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후 그 곳에 다시 세워졌다가 1652년(효종 3)에 지금 장소로 옮겨 세웠다.​당시에는 대성전과 동서무와 동서재 등 향교의 핵심시설만 세워졌다가, 1711년(숙종 37)에 문루 5칸을 창건하여 작신루(作新樓)라고 편액하였다. 작신루는 1796년(정조 20)에.. 2021. 6. 3.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반곡서원은 거제 유림 윤도원(尹道元), 옥삼헌(玉三獻), 김일채(金一彩), 윤명한(尹命翰), 허유일(許兪一), 신수오(辛受五) 등이 문정공(文正公) 우암(先處)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704년(숙종 30)에 창건하였다. 그 후 문정공 죽천 김진규,충헌공 몽와 김창집, 부제 학공 이중협, 문충공 민진원, 정문공 김수근이 추가로 배향되었다. 1868년고종5에 훙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되었으나, 1906년(광무 10) 거제 유림에서 서원의 옛터에 제단과  반곡서원유허비를 세우고 매년 가을에 단제를 치렀다. 1971년, 거제 향교의 책임자 윤병재가 서원의 복원을 발의하고 유림총회의 찬성으로 1974년 .. 2021. 5. 10.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Geoj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유학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과 공자를 비롯한 훌륭한 유학자에게 제(祭)를 올리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거제향교는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다.거제향교는 세종 14년(1432) 서문골(현재 고현동)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면서 함께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에 걸쳐 이전 설치되었다가 철종 6년(1885) 현재의 위치로 옮겨져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거제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공간을 앞쪽에,제례공간을 뒤쪽에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양식으로 이는 조선시대 향교 건물배치의.. 2021. 5. 10.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김해향교 김해향교 한국의 서원 경상남도김해향교는 2021년 봄 수로왕릉에 갔다가 지나는 길에 잠시 들린 적이 있는데 당시는 공사도 진행중이었고 급한 일정이 있어 명륜당과 대성전만 촬영하고 급히 떠나야 했었다. 지난 2024년 11월 17hyanggyo.tistory.com 김해향교는 2024년 11월에 방문하여 소개한 상기 포스팅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김해향교 金海鄕校 Kimhae Confucian School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150번길 21)에 있는 김해향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7호이다. 1408년(태종 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부사 정기남(鄭奇男).. 2021. 4. 27.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향교 咸陽鄕校 함양향교 咸陽鄕校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지정향교는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지역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목적으로 설립된 전통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다. 이곳은 1398년(태조 7)에 향교로 건립되었다고 하는데,원래는 고려 때 경학을  공부하였던 소소당이 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다시 세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_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일상생활을 하는 동 • 서재)는 교육기능을 담당하고,공자와 저명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 및 동 • 서무는 제례 기능을 각각 담당하고 있다.. 2020. 11. 20.
함양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 청계서원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6호 지정 조선 연산군 때 학자인 문민공 김일손(1464∼1498)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김일손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그의 스승을 비롯한 영남학파 학자들과 함께 조의제문사건에 연루되어 무오사화로 희생되었다. 글에 뛰어났으며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비판하였다. 연산군 1년(1495)에는 ‘청계정사’를 세워 유생을 가르쳤고, 광무 10년(1905) 유림들이 그 터에 유허비를 세웠다.그 뒤 1915년에 건물을 원래 모습으로 고쳐 청계서원이라 하였다. 구경재와 동재,서재, 홍남문, 솟을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 있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문의 및 안내 055-960-4537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수동.. 2020. 11. 20.
함양 남계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사적 제499호 Historic Site No.499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 이 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에 명종 임금에게서 하사받은 사액 서원이다. 출입문인 풍영루와 강당,동재,서재,경판고장판각,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한 경사지에 사당을 제일 높은 곳에 두고 출입문까지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였는데,이는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2020. 11. 20.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창향교 춘풍루 거창향교 춘풍루 居昌鄕校 1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15년에 대성전을 설립하고 1572년에 현감 서의(徐誼)가 중건하였으며, 1574년에는 현감 장문한(張文翰)이 명륜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3년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1714년에는 현감 김시빈(金始鑌)이 대성전 앞에 춘풍루(春風樓)를 건립하였다. 1748년에 도유사(都有司) 김천분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1809년에 도유사 이상조(李尙朝)가 중건하였다. 1840년에 도유사 이준옥(李埈玉)과 재임(齋任) 변윤석(卞允錫)·어재의(魚在誼) 등이 협의하여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수하였으며, 1799년에는 부사 이성(李性)이 동무(東廡.. 2020. 10.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