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륜당140 이천향교 한국의 향교 경기도 이천 이천향교 利川鄕校경기도 이천시 향교로 1(창전동 336) 망현산 밑에 자리잡고 있는 이천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로 1983년 9월 129일 지정된 조선 초기의 향교이다. 2021년 11월 20일(일) 오전에 방문했으나 개방은 하지 않고 있었다.이천 향교(利川鄕校)는 조선 초기 태종(太宗)2년 (1402년)에 감무(監務) 변인달이 부임하여 문묘 대성전을 세우고 첫 제향을 하였다고 한다. 이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세종 26년(1444) 이후에 이천향교는 관헌(官憲)이 교수(敎授) 1인을 두었고 교생(敎生) 정원은 90명이었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지은 이천신치향교기에 의하면 신사년(1401) 봄 감무로 부임해 온 변인달이 지금의 안흥동에 있던 안흥정사(安興精舍)에서 학생들을 모아 가르치고 있.. 2021. 11. 22. [한국의 향교 대전광역시] 회덕향교 회덕향교 懷德鄕校 11월 2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육군 M&S 국제학술대회 취재를 마치고 대전광역시 향역에 있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다. 대전광역시 대전로 1397 번안길126에 위치한 회덕향교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로 조선시대 초기의 소설위 향교이나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었다.회덕향교는 조선초기에 세웠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선조 33)경에 다시 세웠고,그 후 1812년(순조 12) 가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는 입구쪽에 홍살문, 그 뒤에 솟을삼문형으로 된 외삼문을 세웠다. 대문 바로 안쪽 건물에는 중앙으로 통행할 수 있는 문을 두었고,문의 동쪽 건물에 제향를 준비하는 전사청을,서쪽에 공부.. 2021. 11. 3. [한국의 향교 세종시] 전의향교 전의향교 全義鄕校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북촌1길 5-18(읍내리)에 위치한 전의향교( 全義鄕校)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전의 향교는 언제 처음 지 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조선 태종 7년(1407)에서 태종 13년(1413) 사이에 동교리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8년(1684)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으로,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이 향교에는 공자와 중국의 성현,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드리는 대성전과 학문.. 2021. 10. 26.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상주향교 상주향교대성전과 동서무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96호로 지정되는 경사를 맞았던 상주향교를 다녀왔다.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 고려 고종 34년(1247년)에 '향교'라는 용어가 최자(1188∼1260)의 『보한집』(하)에 기록되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음이 확인되어 현존 향교 중에서 상주향교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대설위 상주향교는 고려 992년(성종 11)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문헌상에는 상주목사를 지낸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補閑集)에, 1247년(고종 34) 상주향교의 제생들이 가시(歌詩)를 지어 받쳤다는 기록이 있어, 현존 향교 중 가장 이른 시기이다. 1484년(성종 15)에는 목사 강구손(美龜孫)이 성전(聖殿)과 재(齋) • 루(權)를 중수하.. 2021. 10. 26.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향교 곡성향교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교촌리 190번지에 위치한 곡성향교는 1984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고자 나라에서 세운 교육 기관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학문을 공부하는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던 곳이다. 곡성 향교는 조선이 건국되고 나서 바로 세웠을 것으로 사료되나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중종 25년(1530)에 간행된「신중동국여지승람」 곡성현 학교조에 처음 기록이 보인다. 선조 30년(1597)에 일어난 정유재란으로 피해를 입어 여러 차쾌에 걸쳐 전반적으로 다시 짓거나 고쳐 지었으며 1956년에는 명륜당을 고쳐 지었다. 건물은 대성전, 내삼문, 명름당, 동재, 서재, 전사청, 교직사등을 갖추고 있다. 대성전은 공자.. 2021. 10. 25. 광주향교 한국의 향교 광주광역시 光州鄕校 광주향교 光州鄕校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광주향교(光州鄕校)는 광주광역시의 구도심이라 할 수 있는 전남도청이 있는 남구 구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로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이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전국의 각 지방에 설립된 관립 교육기관으로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양성하고 유풍(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해 건립된 향교는 큰 도시의 경우 대부분 구도심에 위치하고 있다. 향교비각해설향교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전국의 주, 부, 군, 현 마다 건립되어 교육의 중추적 기능 수행은 물론 지역공동체의 풍속을.. 2021. 10. 12.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담양향교 명륜당 담양향교 명륜당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담양향교(潭陽鄕校)는 문이 닫혀 있어 관람은 하지 못했고 명륜당만 바라보고 왔다. 인근에 있는 관광명소들과 연계하여 활용되면 좋을텐데 왜 문을 굳게 닫아만 놓는지 아쉽기만 하다.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담양향교는 관방천이 내려다보이는 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창건 연대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담양향교지에 의하면, 조선 태조 7년(1398)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그 후 정조 18년(1794)부사 이헌유가 다시 세웠고, 순조 7년(1807)에는 부사 안정헌이 고쳐지었으며, 순조때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2021. 10. 12. 영월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영월 寧越鄕校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26일 방문했던 평창향교와 정선향교는 문이 닫혀 있었으나 영월향교는 마침 교직사에 관리인이 계셔서 잠시 돌아 볼 수 있었다. 영월향교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로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2리 892번지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영월향교 寧越鄕校 Yeongwol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향교는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영월향교는 1398년(태조7)에 설.. 2021. 10. 10. 정선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정선 旌善鄕校 정선향교 旌善鄕校 eongs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정선향교는 이번 향교 탐방중에 가장 아쉬운 곳이었다. 문이 닫혀있어 외삼문 옆 담장넘어로 보이는 명륜당만 보고 돌아왔으니~~~~ 담장옆으로 한바퀴 돌아 볼 수도 없었다.강원 정선군 정선읍 비봉로 67-9(봉양리)에 위치한 정선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 2021. 10. 8. 평창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평창 평창향교 平昌鄕校 Pyeongchanghyanggyo Local Confucain School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1호(1985년 1월 17일 지정)로 강원 평창군 평창읍 향교길 148 (하리)에 위치한 평창향교는 정문격인 풍화루는 굳게 닫혀 있었고 돌아보니 협문도 모두 닫혀 있다. 최근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대부분의 향교가 개방에는 아직 소극적이다. 살아 숨쉬는 향교·서원 활성화 사업과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이 계속되고.. 2021. 10. 7. 강릉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강릉 江陵鄕校 강릉향교 江陵鄕校 Gangr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9호인 강릉향교는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며 마지막으로 들렸다.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상주하고 계시던 김남철 사무국장님께서 안내해 주셨다. 강릉향교는 역사가 있는 건물로 가장 잘 정제된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는 향교의 규범이 되는 향교이다. 한국전쟁 때에도 건물이 불타지 않아 옛 규모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강릉향교 명륜당과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은 2020년 12월 29일 보물로 지정됐다.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재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 2021. 10. 4. 동해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동해 東海鄕校 동해향교 東海鄕校 Dong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동해향교는 우리나라의 234개 향교 중 1994년에 가장 마지막으로 창건된 신생 향교로서, 전학후묘에 39위를 봉안한 대성전과 명륜당 등 9동의 건물과 승용차 300대 규모의 대형주차장, 만리장성 같은 담장에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오죽을 무성하게 가꿔 교궁의 구조와 규모가 전통적임과 동시에 현대적이도록 배합되어 있다.1980년 명주군의 묵호리과 삼척군의 북평리를 병합하면서 동해시가 발족되고, 이에 따라 두 지방에 각기 편입되어 있던 유림들이 1990년에 동해유림을 결성하게 되었는데, 동해향교는 사도창달과 지방문화발전을 위한 구심점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과 동해유림의 독자적인 진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건되었.. 2021. 10. 4.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삼척 三陟鄕校 삼척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삼척삼척향교는 2021년 가을에 방문을 했었지만 개방을 하고 있지 않아서 아쉽게도 외부만 둘러보고 돌아와야 했었다. 그런데 3년만에 방문한 삼척향교는 굳게 닫혀 있던 봉황문은 활짝 열려 있었고hyanggyo.tistory.com삼척향교는 2024년 10월에 재방문하여 좀 더 자세하게 소개하였으니 위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삼척향교 三陟鄕校 Samcheok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삼척시 향교길 34(교동)에 위치한 삼척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유형문화재를 지정되었다.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로 가며 경유했으나 정문격인 봉황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유림회관인 충효관도 닫혀있다. 최근 개방을 하고 있는 향.. 2021. 10. 4. [한국의 향교 경싱북도] 울진향교 울진향교 蔚珍鄕校 Uljin Local Confucian School울진향교는 울진읍 옥계동에 있다. 월송대 공원이 있는 월앙산 기슭에 남향으로 남대천을 마주하고 있다. 대성전은 1484년(성종 15)에 읍내리 월변동(月邊洞)에 창건되었는데, 1697년(숙종 23) 고성리(古城里) 성저동(城底洞)으로 이건했다. 그리고 1872년(고종 9)에 지금의 읍내리 옥계동으로 이전하였다.울진향교는 한국전쟁 때 대성전과 동재(東齋)를 제외하고 모두 소실됐다. 1980년 명륜당(明倫堂)을 중창하였는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에 따라 대성전·내삼문·명륜당을 배열했다.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이고 지붕은 골기와로 맞배지붕을 이었다. 전면에 개방된 전퇴를 두고 내부는 통간으로 바닥에 전돌을 깔았다. 명륜당은 .. 2021. 10. 4.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울진 평해향교 평해향교 平海鄕校 Pyeonghae Local Confucian School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평해로 82028(평해리 910)에 위치한 평해향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60호로 1985년 8월 5일 지정되었다.외삼문은 전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익공계 팔작지붕 건물이다. 좌 협칸은 어칸의 반 정도밖에 되지 않으나 각각 저면 기둥 열에 두 짝 판문을 달았다. 자연석 단층기단 전면에는 8단의 계단을 두고, 기단 위에 원형주초를 놓고 원형기둥을 세웠다. 측면과 후면에는 벽체도 중방도 두지 않고, 대들보로만 연결된 점이 특이하다. 종도리 장혀 하단 기록으로 볼 때 1996년에 옮겨 세웠음을 알 수 있다.예전에는 홍살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그 자리에 읍사무소가 자리 잡고 있다. 지금은 동․서재는 없다... 2021. 10. 4.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