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천가볼만한곳9

조선 3대 시인 노계 박인로 · 영천 노계문학관 경북 영천시 북안면 신평탑골길 93-33 (도천리 296) 에 위치하고 있는 노계문학관은 송강정철, 고산윤선도와 함께 조선3대 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는 노계 박인로 선생의 문학정신과 성경충효 사상을 배워 볼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노계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도계서원 옆에 위치하고 있다.노계문학관은 2015년 6월 착공하여 2017년 12월 준공하였으며 2018년 6월 개관했다.매주 화요일~일요일 10:00~17:00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당일은 휴관일이다.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다음날 휴관한다. 관람료는 무료. 노계문학관 문의전화 054-330-6548노계가 (盧溪歌) 는 1636년(인조 14) 박인로(朴仁老)가 76세 때 쓴 가사로 총 208구 93행이.. 2025. 4. 21.
영천 만불산 만불사 영천 만불산 만불사로 가는 길, 만불사는 고즈넉한 산사의 모습보다는 먼저 그 웅장함에 놀라게 된다. 만불산이 건립되는 데는 1981년 만불회주 학성스님의 만불산 건립 구상에서부터 처음까지 약 3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한다. 1995년 만불사 설립을 완료하며 개창하였다.​유물로는 아미타불을 비롯하여 국내 최대 법당 전불인 삼존불,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부처 진신사리 5과와 보리수 나무가 있다. 또한 33m 영천 아미타대불, 부도, 황동와불 열반상, 황동만불 대범종, 인등대탑, 만불보전, 관음전, 대웅전, 법성게 법륜, 수정유리광 여래불, 복주머니, 유자영가 등이 있다.이 불상은 단순히 부처님이 누워계신 형상이 아니라 부처님의 열반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만불사 열반상은 길이 13m, 높이 4m로 국내 최대.. 2024. 7. 1.
영천한의마을 화계수원 한의정원 한방테마거리 "영천에서 구하지 못하는 한약재는 우리나라에 없다" 영천은 국산 한약재의 최대 집산지이며 한약재 유통의 중심지입니다 . 따라서 전국 한약재 유통량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한약재도매시장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2007년 한방진홍특구 도시로 지정된 이후 동의참누리원 한의마을, 약용작물 산업학지원센터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대표적인 한방도시로 거듭난 영천은 산과 들, 구릉지와 강이 조화를 이뤄 다양한 약초가 자생합니다.​영천에서 구하지 못하는 한약재는 우리나라에 없다고 소문날 정도로 활발하게 거래되는 한약재가 480 여 종에 이르기 때문에 예로부터 한약방과 약재상이 성행하면서 자면스럽게 한의학이 발달했습니다.​동의참누리원 한의마을은 우리 몸의 오장육부를 형상화한 한옥 전시체험공간을 통해 영천의 한의학 발달사를 .. 2024. 4. 30.
지붕없는 미술관 영천 별별미술마을 시안미술관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과 화남면 일원의 평범했던 농촌마을이 지붕 없는 미술관으로 바뀌었다. 바로 영천 별별미술마을이다. 영천 별별미술마을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2011마을미술프로젝트 공모사업에 선정된 곳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문화콘텐츠로 발굴하여 이를 예술로 승화시켜 문화 예술 향유와 증진 그리고 지역을 활성화를 목표로 설립된 곳으로 가래실 문화마을이라고도 불린다.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가래실 문화마을은 앞뒤 산 속에 들과 실개천이 흐르는 농촌마을로 안동 권씨, 영천 이씨, 평산 신씨 3개 성씨의 집성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실과 정자, 가묘 등의 전통적인 문화자원이 풍부한 마을이다. 옛날 정미소, 우물, 정류장, 토성, 공가, 폐가 등 옛 모습이 많이 남아 있고 또한 시안미술관이 자리하고 있어 영천.. 2024. 3. 12.
영천전투호국기념관 영천호국원으로 들어가는 영천시 고경면 청정리 도로변에는 영천전투를 기념하는 호국안보교육의 장인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와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와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은 영천시가 6·25전쟁 당시 수세에 몰리던 국군의 반격의 신호탄이 된 영천 전투를 기념하고 후대에 나라사랑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건립됐다.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은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에는 휴관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운영시간은 08:00~18:00 영천전투호국기념관 내 전시실 관람, 야외 전시 시설 견학 및 인근 국립 영천 호국원 견학 등을 통해 쉽고 친근한 호국안보교육을 경험할 수 있다. 문의전화는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서바이벌체험장) 054-339-8625 영천전투호국기념관 054-338-859.. 2024. 2. 16.
영천 임고서원 조옹대·용연, 포은 정몽주 선생이 낚시를 즐겼던 곳 영천시 임고면은 보현산 줄기의 청정수와 금호강의 비옥하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토양속에서 복숭아,사과, 살구 등 최고품질의 과일과 농산물이 생산되고 있는 참살이 (웰빙)하기 좋은 고장이다. 또한 동방이학지조(東方理學之祖)이신 포은 정몽주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대표상품으로 단심주와 단심식혜도 있다. 임고면에는 포은 정몽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명종 8년(1553)에 부래산(浮來山)에 창건된 우리 나라에서 2번째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인 임고서원이 있고, 울목마을(현재 우항리)에는 정몽주 선생 생가와 유허비가 있다. 조옹대(釣翁臺)와 용연(龍淵) 포은 선생은 호수의 물고기를 보며 연비어약(鳶飛魚臞 )을 말씀하셨으며, 여헌(旅軒)선생은 임고서원 중건상량문에서 ‘조옹(鈞翁)이라는 대(臺)가 시냇가에 있는 것.. 2023. 9. 1.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영천전투호국기념관 영천대첩비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청정리영천호국원으로 들어가는 도로변에는 영천전투를 기념하는 호국안보교육의 장인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와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와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은 영천시가 6·25전쟁 당시 수세에 몰리던 국군의 반격의 신호탄이 된 영천 전투를 기념하고 후대에 나라사랑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건립됐다.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와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은 건립 당시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체험관·추모관으로 지칭했으나 현재눈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영천전투호국기념관으로 명칭이 구분됐다. 영천전투호국기념관은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추석 당일에는 휴관하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문의전화는 영천전투메모리얼파크 (서바이벌체험장) 054-339-8625 영천전투호국기념관 054-338-8597.. 2023. 4. 26.
영천 화랑설화마을 천 년의 역사, 천 년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판타지 테마파크인 영천 화랑설화마을은 신라 천년 동안 만들어 온 이야기, 천년 동안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온 우리 고유의 이야기! 단순하게 예스러움을 재현해 놓은 곳이 아닌, 우리 고유의 설화들이 가득한 곳이다. 경상북도가 영천시 금호읍 일원에 3대문화권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화랑설화마을은 2020년 10월 27일 개관했다. 화랑설화를 테마로 조성한 레저복합형 문화공간인 화랑설화마을은 신화랑 우주체험관, 화랑배움터, 화랑4D 돔영상관, 국궁 체험장, 설화재현마을, 풍월못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화랑과 우주에 대한 VR체험(신화랑 우주체험관)과 21세기 귀화랑성 이야기를 들려주는 4D 입체영상(화랑4D돔영상관) 등 화랑 이야기는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체.. 2023. 3. 22.
화약발명과 호국의 역사속으로, 영천 최무선과학관 2023년 3월 16일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창산길 100-2에 위치한 최무선과학관을 찾아 우리나라 최초의 화약발명과 호국의 역사속으로 들어가 본다. 최무선과학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화약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해전(진포대첩, 관음포대첩)에서 화포를 사용하여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고 후대의 화약발전에 크게 기여한 최무선 장군을 기념하고,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에게 기초과학을 체험할 수 있는 학습의 장 제공과 가족단위의 문화관광자원 마련을 위하여 2007년 건립을 시작하여 2012년 4월 20일 개관했다. 2015년 4월 21일 제막한 최무선장군 숭모기념비는 높이 7.30m, 넓이 3.50m, 두께 80cm의 비석에 앞쪽에는 ‘고려화포과학의 태두 최무선선생’ 이라고 새겨져 있다. 최무선 과학관은 최무선과학.. 2023.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