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학후묘65

강진향교 한국의 향교 167 전라남도 강진군 지난 12월 30일 이른 아침 강진읍내에 나와 예던길을 돌아보았습니다. 예던 길은 '가던 길'의 옛말이라고 합니다. 영랑의 시향과 다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영랑과 다산의 예던 길에는 영랑생가, 시문학파기념관, 금서당, 충혼탑, 몽마르뜨언덕, 김충식고택, 사의재가 있는데 인근에 있는 강진향교에 먼저 들렸습니다. 이른 아침이라 문이 닫혀있을거라 예상했는데 역시 닫혀 있어 외부에서만 돌아봐야 했습니다. 강진향교는 1398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습니다. 1613년에는 이 지역출신 입방자(入榜者)들이 의금(義金)을 내고 군수 정인(鄭寅)의 도움을 받아 사마재(司馬齋)를 건립하였으며, 1858년에는 군수 심의찬(沈宜贊)이 향교를 중수하였습니다... 2025. 1. 6.
김해향교 한국의 서원 경상남도 김해 김해향교는 2021년 봄 수로왕릉에 갔다가 지나는 길에 잠시 들린 적이 있는데 당시는 공사도 진행중이었고 급한 일정이 있어 명륜당과 대성전만 촬영하고 급히 떠나야 했었다. 지난 2024년 11월 17일 진해에서 포항으로 오는 길 김해향교에 다시 들렸다. ​김해향교가 첨음 지어진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목은 이색의 아버지였던 가정 이곡이 지은 「김해향교수헌기」가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어, 고려 후기에 이미 김해향교가 있었건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없어졌다가 이후 김해부 북쪽에 다시 세웠으나 조선 숙종 14년(1688)에 김해부 동쪽으로 다시 옮겼다. ​영조 46년(1770)에 지금의 자리인 김해북 북쪽에 다시 지었다.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가락로150번길 21)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2024. 11. 22.
창녕 구니서당 지난 주말에는 포항에서 밀양에 도착 영남제일루인 영남루, 밀양관아, 밀양읍성 등을 돌아보고 국도를 따라 천왕재를 넘어 창녕으로 가는 길 고암면 계상리 창밀로 도로변에 있는 창녕 구니서당(昌寧 求尼書堂)에 들렸다. 창녕 구니서당(昌寧 求尼書堂)은 조선 초 성리학자 한원당 김굉필(寒暄堂 金宏弼)의 후손들이 조상의 우패를 모시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고종 3년(1868)에 김굉필의 둘째 아들인 언상공(彦庠公)을 비롯하여 4명의 위패를 모시고 서원으로 문을 열었으나 홍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 ​1916년 규모를 넓혀 지금의 정당(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가운데 가장 주된 집채)을 중수하였고, 사현사는 1943년에 창건한 건물을 1986년부터 9년에 걸쳐 동·서재 및 문루와 함께 중창하였다... 2024. 11. 22.
보은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보은 한국의 향교 탐방 165번째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교사리 283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보은향교(報恩鄕校)를 소개합니다. 2024년 11월 3일(일) 오후에 방문했습니다. 보은향교는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충청북도에는  괴산향교 · 단양향교 · 문의향교 · 보은향교 · 연풍향교 · 영동향교 · 영춘향교 · 옥천향교 · 음성향교 · 제천향교 · 진천향교 · 청산향교 · 청안향교 · 청주향교 · 청풍향교 · 충주향교 · 황간향교 · 회인향교 등 18개의 향교가 현존하고 있고 보은 향역에는 보은향교와 회인향교가 있습니다.홍살문 옆에는 하마비를 비롯한 비석 몇기가 세워져 있습니다. 원래의 하마비가 아닌 새로 세원 것으로 보이는 하마비에는 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皆下馬(개하.. 2024. 11. 11.
은진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恩津鄕校)는 2021년 11월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당시는 문이 닫혀 있어 담 넘어로 구경만 하고 돌아와야 했었습니다. 그래서 2024년 10월 2일 오후 탑정호로 가는 길에 다시 들려보았는데 이날은 음력 9월 삭분향례를 봉행하는 날이었기에 마침 분향례를 마치고 뒷정리를 하고 있어 은진향교를 잠시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논산지역에는 연산향교, 노성향교, 은진향교가 있고 공자의 유상(遺像)을 봉안한 노성 궐리사(충청남도 기념물 제20호)가 있습니다.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hyanggyo.tist.. 2024. 10. 8.
안성향교 한국의 향교 163 경기도 안성 안성향교( 安城鄕校)는 몇년 전 지나는 길에 들렸으나 문이 닫혀 있어 관람을 하지 못했는데 지난 10월 6일 아침 안성향교를 잠시 돌아 볼 수 있었다. 안성향교는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풍화루(제2092호)와 대성전(제2091호)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되었다.우라니라의 문루 중 가장 큰 11칸 규모의 풍화루가 반겨주는 안성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우|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 교육기관이다. 양민효로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詞章學)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원평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향교는 고을 크기에 따라 학생 수를 조정하였는데 대체로 군에서는 50명, 현.. 2024. 10. 7.
안의향교 한국의 향교 161 경상남도 함양군 오늘은 음력 8월 상정일(음력으로 매달 첫째 드는 정(丁)의 날)로 전국 234개 향교에서 추기 석전대제가 봉행됐다. 1986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석전대제는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에 공자의 인의와 도덕을 근본으로 한 학덕을 기리기 위해 술과 폐백을 성현의 신위전에 올리는 의식으로, 모든 유교적 제사 의식의 모범이며 가장 규모가 큰 제사이다. 오늘은 전주향교 석전대제에 참석하기 위해 포항에서 전주로 가는 길 함양 안의향교를 방문하기 위해 좀 일찍 출발하여 88고속도로에서 거창으로 나와 함양군 안의면  교북리로 향했다. 500여년 전 향교가 창건된 시기에 형성된 마을인 교북리는 일반국도24호선과 26호선이 만나는 곳에 있어 함양과 거창으로 이동하기에 편리한 곳이다. 마을 앞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 2024. 9. 11.
의흥향교 한국의 향교 160 경상북도 군위군 한국의 향교 탐방 160번째 대구 군위군 의흥면 읍내길 89-27에 위치하고 있는 의흥향교를 8월의 마지막 날 방문했다. 9월 10일 추기 석전대제를 앞둔 의흥향교는 아쉽게도 문이 닫혀 있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남아 있는 향교 건립 당시의 원판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는 것이 더욱 아쉬웠다.   일부 향교는 향교를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일요일에도 개관하고 월요일에 휴관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골이 따분한 향교를 누가 찾아 오겠냐며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지 말고 향교의 공간을 문화체험관광 자원으로 개발하여 유교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시대적 조류에 부응해야 할 것이다. 의흥은 통일신라 시대 때 하리, 중리, 파립, 우보 등 4개 면을 통합하여 구산현(龜山縣)이라 하였고, 1018년 안동부.. 2024. 8. 31.
해남향교 한국의 향교 159 전라남도 해남군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 한국의 향교 탐방 159번째 전라남도 해남향교를 소개한다.이번 해남향교의 사진과 영상은 아이폰14 프로맥스를 이용하여 촬영했다.외삼문 뒤에는 연혁비가 2기가 세워져 있는데 최근에 설치된 해남향교(海南鄕校)의 연혁비를 살펴보면 해남향교는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라고 소개하고 있다."고려 충렬왕때  회헌 안향이 접반사로 중국(송나라) .. 2024. 8. 26.
진도향교 - 한국의 향교 158 전라남도 2024년 8월 17~18일 전라남도 진도와 해남을 오가는 길에 무안향교 - 함평향교 - 진도향교 - 완도향교 - 해남향교 - 영암향교를 탐방할 계획이었다. 완도향교는 시간상 들리지 못했고 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개방을 하지 않고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있었다. 적극적으로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많아지고 있는데....함평향교와 영암향교는 언제 다시 올수 있을지 무척이나 아쉬웠다.​한국의 향교 탐방 158번째 전라남도 진도향교를 소개한다. 진도향교는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이번 진도향교의 사진들은 아이폰14 프로맥스를 이용하여 촬영했다.전라남도 진도에는 .. 2024. 8. 24.
무안향교 한국의 향교 155 전라남도 무안 무안향교(務安鄕校)는 1394년 공수산 서원에 세워졌다. 그런데 매년 1월 1일 제사를 지낼 때마다 사람이 한명씩 호랑이한테 잡혀 먹혀 77년 두인 성종 원년(1470)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숙종 15년(1689), 정조 13년(1789), 순조 20년(1820), 고종 29년(1892), 1902년 등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에 교촌리 260-1 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대성전과 제기고, 명륜당, 신문, 동재,서재, 외삼문 등이 남아 있고 홍전문, 사마재, 무학당 등은 남아 있지 않다. 명륜당 앞에 수령이 약  600년 된 은행나무만이 역사를 전할 뿐, 현재 남아있는 건물들은 거의 조선 후기에 재건된 것들이다. 대.. 2024. 8. 20.
익산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54 전라북도 익산향교(益山鄕校)는 2022년 6월에 익산 금마를 지나며 잠시 잠시 들린적이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익산향교가 전교선출과정에서의 분규가 장기화되어 외삼문이 굳게 잠겨 있을 때였다. 익산지역에 있는향교 중 함열향교, 용안향교, 여산향교에 이어 지난 4월 1일 익산향교를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익산향교 외삼문을 들어서면 좌우로 동서재가 있고 정면으로는 좌측에 제향영역인 내삼문과 대성전이 그리고 우측으로 명륜당이 자리잡고 있다. ​ 동서재는 대성전과 명륜당의 앞쪽 좌우에 위치하고 있고 명륜당은 대성전의 우측 전면 한칸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데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방식으로도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명륜당의 동편과 서편에 위치한 동재와 서재는 유생들의 기숙사로 동재에는 양반들의 자제들이 서재에는 서민들의 자.. 2024. 4. 3.
남평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53 전라남도 나주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교원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인 남평향교(南平鄕校)는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행정구역상 나주시 향역에는 나주향교와 남평향교가 있다. 남평향교는 세종 2년(1420) 남평현 동문 밖에서부터 동쪽으로 약 1.6km(4리)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가 중종 29년(15534)에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 후 명종 1년(1546)에 고쳐 지었으나,임진왜란으로 불타서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지었다. ​ 효종 7~12년(1656~1661) 사이에 남평 현감 이정이 동재와 서재를 세웠다는 기록으로 보아 효종 11년(1600)에 다시 지을 때 대성전만 지어지고 동재와 서재는 이미 다시 지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숙종 24〜28년(1698.. 2023. 12. 7.
원주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50 강원도 원주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에 위치한 강원도문화재자료 제98호 원주향교에 도착하니 원주향교 앞에 멋지게 조성되어 있는 원주향교역사공원과 원주전통문화교육원이 먼저 반겨준다.​2022년 4월 준공된 원주향교 역사공원은 원주 제1호 역사공원으로, 역사와 현재가 공존하는 원주향교 일원 도시정비를 통해 지역 문화재 위상을 높이고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가 국토교통부의 도시활력 증진지역 개발 공모사업으로 추진했다고 한다.원주향교 하마비에는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고 새겨저 있다. 지위가 높거나 낮거나 막론하고 모든 사람은 비석 앞에서는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뜻이다.​하마비는 궁궐이나 종묘 문묘 등의 앞에 세웠는데 대궐은 임금의 자리이므로 감히 말을 탄채 들거나 지날 수 없고, 종묘는 임금의 조상이 모셔진 곳.. 2023. 10. 28.
진잠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48 대전광역시 2021년 11월 대전에 들렸을때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었는데 2023년 8월 17일 진잠향교를 방문했다. 234개의 향교 가운데 148번째 방문한 향교이다.​현재 대전광역시 향역에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가 남아 있다. 진잠향교는 조선시대인 1405년(태종 5)에 창건되어 회덕향교와 함께 대전 지역 유학의 산실이 되어왔다. 진잠향교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교촌동 630-1전지 낮은 야산 기슭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하는 전학후묘의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향교 좌측 주차장 안쪽에는 강의실과 사무국으로 사용되는 양영루가 있다.하마비는 궁궐의 정문 밖, 종묘 입구에 세웠으며, 성균관을 비롯한 각 지방의 문묘 밖 홍살문에 세워.. 2023.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