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토문화유산4 화산서원 · 황방촌영정 - 한국의 서원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화산서원 · 황방촌영정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안천면 백화리 906 에 위치하고 있는 장수 황씨 문중의 사당인 화산서원은 조선 전기의 명재상으로 알려진 황희 (黃喜, 1363~1452) 의 영정을 안치하고, 그의 차남 황보신(黃保身)과 5대손 황징(黃澄) 등을 배향하고 있습니다. 1922년에 서원으로 승격되었고, 1970년에 중수되었습니다. 서원 인근에는 문중 인물인 황교찬(黃珓燦)의 효자각과 육씨 부인의 열녀각이 있습니다.외삼문 좌측에는 진안군 향토문화유산 유형 제12호 화산서원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인 황방촌영정 문화재 안내판이 각각 세워져 있습니다.화산서원은 평평한 대지위에 긴 네모꼴의 담으로 둘러 싸여 있는데 담 안은 남쪽의 두 구역으로 나뉘어 뒷부분 뒷담 쪽 중앙에 남향의 사당이 있고 그 앞.. 2025. 5. 27. 이종훈 가옥 -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 와룡마을 이종훈 가옥 李種爋 家屋 군산시 향토문화유산 제15호이종훈 가옥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 434-1 전의 이씨 집성촌인 와룡(臥龍)마을에 자리잡고 있다. 와룡 마을은 군산 시내에서 동쪽으로 개정면을 지나 익산으로 난 국도 26호선인 번영로을 타고 가다 최호 장군 교차로에서 북서쪽으로 국도 29호선 금강로을 따라가면 동쪽으로 넓은 들판 가운데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1880년대 건립된 전면 5칸, 측면 2칸의 목조 기와 건물로, 1층 기단을 두고 자연석의 초석 위에 네모 기둥으로 세워져 있다. 본래 ㅁ자 형태로 네 채의 건물이 있었으나, 현재는 ㅡ자형 안채만이 남아있다. 내부는 전면에 툇마루를 두고 좌측으로부터 부엌과 안방, 건넌방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안방과 건넌방 모두 여닫이 굽널띠살문을.. 2024. 8. 18. 포항 장기면 금곡리 삼효각 · 염호공 허진수 유허비 금산서원이 위치하고 있는 포항시 남구 장기면 금곡리 마을 입구에는 정려각인 삼효각과 김해 허씨 11세손 염호공 유허비가 세워져 있는 유허각이 있다. 금곡리 삼효각 금곡리 삼효각은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길191 번길 25-10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항시 향토문화유산 유형 2017-3 이다. 비각은 남향으로 정면. 측면 각 1칸의 맞배지붕이며 내부에 살문이 둘러쳐져 있고 그 안에 3기의 비석과 2점의 기문이 있다. 삼효각은 비석과 이를 보존하 는 정려각으로 효자 허기와 그 맏아들 허 식의 처 경주최씨 및 셋째아들 허순의 처 곡강최씨의 효열을 표창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허기와 며느리인 곡강최씨. 월성최씨 모두 생몰년이 미상이다. 허기의 본관은 김해이다. 18세에 부친상을 당하자 묘 옆에 움막을 지어 3년.. 2023. 6. 1. 김제 향토문화유산 제1호 만경 당산목 팽나무 · 만경현 선정비군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의 만경향교를 돌아보고 인근에 있는 만경읍 행정복지센터로 이동하여 만경의 향토문화유산 제1호인 당산목 팽나무와 만경현 선정비군을 살펴 보았다. 만경현은 1914년 김제군 만경면으로 편입됐고, 1995년 1월 김제군이 김제시와 통합되면서 김제시 만경면으로 개편됐다. 그후 1995년 3월 만경읍으로 승격됐다. 만경(萬頃)은 ‘두둑이 만 개’라는 뜻으로 ‘들이 아주 넓음’을 일컫는다고 한다. 만경 당산목 팽나무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 335-3 만경읍행정복지센터 앞에는 팽나무가 있는데 이 팽나무는 과거 이 마을의 안녕과 길복을 위한 당산제를 지낸 나무로 마을주민들은 수령 약 250년 이상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나무의 외형적 크기나 수령 및 수형이 아주 수려한 형태를 갖추지는 못하였으.. 2023. 4.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