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부여향교 扶餘鄕校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44-1번지에 위치한 부여향교는 언제 세웠는지 잘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세운 것으로 전해 오며 원래 부여읍 구교리의 서쪽 기슭에 세웠던 것을 18세기 중엽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21년 6월 12일 오후에 방문했다. 부여향교 바로 앞에는 유네스코세계유산인 정림사지가 있다.
홍살문을 지나니 외삼문이 닫혀 있다. 관광도시의 향교들은 대부분 개방을 하고 있는 곳이 많은데 주말인데고 의외로 굳게 닫혀 있었다. 유림회관에도 인적이 없는 듯하여 아쉽지만 다행이 낮은 담장너머로 스마트폰을 이용해 간단히 촬영을 했다.
부여향교의 건물의 전체적인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있는 전향적인 전학후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
강학공간인 부여향교 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 건물이다.
명륜당 뒤로 동쪽에 동재가 있는데 서재는 보이지 않는다. 담장 밖으로 수선재가 있는데 서재를 대신하기 위해 최근에 중수한 것으로 보인다.
부여향교의 제향공간이 대성전으로 올라가는 내삼문은 일반적인 향교의 내삼문과 달리 문과 계단이 세 개로 나뉘어져 있는 협문을 둔 것이 특징이다.
대성전은 관람하지는 못했지만 밖에서 볼때 동무와 서무가 보이지 않는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로, 천장의 뼈대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으로 되어 있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의 성현들과 우리나라 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아래에 부여향교 안내판의 안내문을 옮긴다.
충청남도기념물 제125호
Chungcheongnam-do Monument No. 125
향교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공자 등 옛 성현에게 재사볼 지내고. 유학을 가르쳐 인재를 기르도록 나라에서 세운 지방 교육 기판이다, 부여 향교는 조선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되며, 18세기 중엽에 지금의 자리로 옮긴 후에 여러 차례 고쳐 지었다.
건물은 경사진 땅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두고,뒤쪽에 제사공간인 대성전올 배치하였다. 대성전 앞의 내삼문은 보통의 삼문과 달리 문과 계단이 세 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향교는 규모가 크지 않지만, 조선 시대 부여현의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Local Confiician schools, called hyanggyo in Korean,are public education institutions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They were established nationwide to function as local shrines for Confucius and other sages and to promote Confucian education and nurture elites in local districts. Students learned about literature including poetry composition,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Buyeohyanggyo is presumed to have first been constnicted in Gugyo-ri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was moved to its current location in the mid-18th century and has since underwent several repairs.
A lecture hall, called Myeongnyundang.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complex and a main shrine, called Daeseonjeon,is in the back The dormitory.
Suseonjae, was rebuilt in 1872. Usually in a local Conftician school, the inner gate is one structure with three bays,but in the case of Buyeobynnggyo there are three separate one-bay gates.
'한국의 향교와 서원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서천 비인향교 庇仁鄕校 (0) | 2021.08.16 |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0) | 2021.06.15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천안향교 天安鄕校 (0) | 2021.06.11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노성향교 魯城鄕校 (0) | 2020.11.03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여산향교 礪山鄕校 (0) | 2020.1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