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교202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주향교 慶州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주향교 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Confucian School 경주향교는 평지에 건립되어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고 교육공간인 명륜당을 뒤에 두는 전묘후학의 배치형식을 다르고 있다. 경주향교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신문왕 2년(682) 국학(國學)이 설치되었던 곳이라 한다. 그 뒤 1492년(성종 23) 경주부윤 최응현(崔應賢)이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성전이 소실되어 위패를 도덕산(道德山) 두덕암(斗德庵)으로 옮겼다가 1600년(선조 33) 경주 부윤 이시발(李時發)이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위패를 환안(還安)하였다. 1614년(광해군 6) 부.. 2021. 4. 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흥해향교 興海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흥해향교 興海鄕校 포항에서 동해대로를 타고 올라가다 보면 흥해읍을 지날 즈음 우측 낮은 언덕에 흥해향교가 자리잡고 있다, 지난 여름에 들렸다가 허탕을 치고 오늘(4월 3일) 두번째 방문이다. ​ 흥해향교(興海鄕校)는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 6·25동란 때 대성전과 동무(東廡)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고, 기문(記文)마저 없어져 중수기록을 알 수 없다. 1953년에 명륜당과 수복실(守僕室)을 신축하였고, 1970년에 대성전의 번와작업(飜瓦作業), 1971년에 대성전의 단청 보수, 1975년에 동재 보수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맞배지붕 겹처마의 대성전, 우진각지붕 홑집의 명륜.. 2021. 4. 4.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전주향교 全州鄕校 전주향교 全州鄕校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① 만화루 Manwharu Pavilion ② 일월문 Ilwolmun Gate ③ 동무 Dongmu (Estern House) ④ 서무 Seomu (Western House) ⑤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⑥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⑦ 동재 Dongjae (Estern House) ⑧ 서재 Seojae (Western House) ⑨ 계성사 Gyeseongsa Shrine ⑩ 입덕문 Ipdeokmun Gate ⑪ 장판각 Jangpangak ⑫ 화장실 Toilet 全州鄕校는 고려 공민왕 3년(서기 1354년) 풍남동 경기전 북편에 건립되었다가 조선 태종 10년(서기 1410년)에 태..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향교 南原鄕校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남원향교는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부(府)의 서쪽인 대곡산(大谷山) 기슭에 창건하였다. 향사(享祀) 때마다 호랑이의 침해가 있는 까닭에 1428년 부의 동쪽 덕음봉(德蔭峰) 밑으로 이건하였다가, 홍수 때 길이 막히는 일이 많아 1443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 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복원되었다. 1599년에 진사 유인옥(柳仁沃)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대성전과 동무(東廡)·서무(西廡)를 중건하..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임실향교 任實鄕校 임실향교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 위치에 이건된 것은 1413년(태종 13)이다. 향교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이 있고 대성전 앞에 동재와 서재가 복원되어 있다. 대성전 앞의 두 그루 소나무가 역사를 알려주기라도 하듯 고풍스럽게 서 있고, 동재 옆의 은행나무는 500년이 넘은 수령을 뽐내고 있다. 임실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이곳에서 여행의 참뜻을 새겨볼 만하다. 임실향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10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임실향교는 1413년(태종 13)에 ..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옥구향교 沃溝鄕校 옥구향교 沃溝鄕校 Okguhyanggyo Confucian School 옥구향교(沃溝鄕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상평리(上坪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403년(태종 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의 교동에서 1484년(성종 15) 광월루(光月樓 : 현재의 상평리)로 이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46년(인조 24) 현재의 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전지재(典池齋), 정면 4칸, 측면 2칸의 양사재(養士齋), 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교직사(校直舍) 등이 있다. 특히 이 향.. 2021. 3. 22.
눈이 소복이 쌓인 날 전주향교 눈이 소복이 쌓인 날 전주향교 20201년 1월 18일 매년 실시해왔던 전주향교 사진전은 잠시 쉬었다. 작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실시할 수도 없었지만 올해에는 코로나-19가 안정되어 올 가을 제5회 전주향교 사진전을 개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21. 1. 18.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위패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위패 2017년 3월 1일 전주향교 춘기 석전대제 2020. 11. 29.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향교 咸陽鄕校 함양향교 咸陽鄕校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지정 향교는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지역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목적으로 설립된 전통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다. 이곳은 1398년(태조 7)에 향교로 건립되었다고 하는데,원래는 고려 때 경학을 공부하였던 소소당이 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다시 세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_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일상생활을 하는 동 • 서재)는 교육기능을 담당하고,공자와 저명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 및 동 • 서무는 제례 기능을 각각 담당하고 있.. 2020. 11. 20.
전주향교의 은행나무는 얼마나 물들었을까? 11월 11일 현재 전주향교의 은행나무는 얼마나 물들었을까? 연락주시는 분들이 많아 오늘 전주 향교 은행나무의 상황을 사진으로 몇장 소개해 드립니다. 전주 향교의 은행나무는 전주의 다른 지역에 비해 좀 늦게 물들기 시작합니다. 오늘 출장을 다녀오며 들렸는데 제 생각에는 아마도 이번 주말이 가장 노랗게 물들지 않을까 싶습니다. The leaves of Ginkgo Tree in Jeonju hyanggyo Confucian School begin to completely yellow in mid-November. I think this weekend will be the best. 2020. 11. 11.
전주향교 성년례 관례 및 계레 전주향교 성년례 관례 및 계레 2017년 4월 22일 전주향교 22일 전주향교에서는 "예로써 만나다 시방까지 어리광인가?" 라는 주제로 부모님과 함께하는 성년례가 열렸다. 문화재청의 살아 숨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행사의 일환으로 실시된 이번 성년례는 전주 향교 대성전 앞에서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계례로 실시됐으며 1박2일간 다양한 체험프로그램과 함께 진행됐다. 2020. 11. 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연일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연일향교 경북 포항시 남구 유동길48번길 5 에 위치한 연일향교는 형산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연일향교의 대성전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됐다. 연일향교 문의 및 안내 전화 054-270-2275 조선 태조(太祖) 7년(1398)에 현재 포항시 남구 대송면에 창건하였다고 하나 연혁에 관한 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창건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어 숙종(肅宗)때 대송면 성좌동에 중창(重創)하여 高宗8년(1871) 현감 원우상(元禹常)에 의하여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일제(日帝)때 명륜학교로 사용된 바 있고 1983년 2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포항시에 편입되어 보존되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에는 중국의 5성현(五聖賢).. 2020. 11. 7.
전주향교의 가을 전주향교의 가을 2020. 11. 6.
임영식 제3회 전주향교 사진전이 열리고 있는 전주향교 임영식 제3회 전주향교 사진전이 열리고 있는 전주향교 2020. 11. 6.
전주향교 음력 9월 삭분향례 봉행 전주향교 음력 9월 삭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유옥균)는 10월17일 오전 대성전에서 음력 9월 삭분향례를 봉행했다. 이날 분향례에 참석한 모든 유림들은 코로나19에 대비하여 발열체크와 손소독을 실시한 후 마스크를 착용하고 분향례를 봉행했다. 한편, 전주향교는 지난 8월 22일부터 코로나19 감염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 정책에 따라 휴관하였으나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 완화에 따라 지난 10월 14일부터 재개방했다. 2020.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