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교202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분향례를 봉행중인 분향관들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분향례를 봉행중인 분향관들 2020. 11. 6.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노성향교 魯城鄕校 노성향교 魯城鄕校 Noseong Hyanggyo Confucian School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교촌리 308) 2020. 11. 3.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여산향교 礪山鄕校 여산향교 礪山鄕校 Yeosan Hyanggyo Confucian School 2020. 11. 3.
전주향교 일월문 전주향교 일월문 (日月門) 일월문(日月門) 전면 3간 (15,2 m2) 2020. 10. 25.
전주향교 청하서원 춘향사 봉행 전주향교 청하서원 춘향사 봉행 전주 청하서원(원장 김문태)은 지난 2019년 4월10일 기해년 춘향사를 전주향교 유옥균 전교을 비롯한 유림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봉행했다. 청하서원은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중인리 모악산 아래에 있는 서원으로 주벽에 문원공 사계 김장생(1548~1631), 좌·우벽에 박동립, 박동현(1544~1594), 유조, 박대복을 소목지서로 배향하고 있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68년 다시 건립됐다. 경내에는 홍살문, 진덕문, 강당, 내삼문, 사당(청하사), 재각 등이 있고 향사 인물 중 주벽 문원공 사계 김장생은 조선 중기의 정치가이자 사상가로서 임진왜란 때 정산현감, 호조정랑 등을 지냈다. 계축화옥(癸丑禍獄)에 연루되기도 했고 인.. 2020. 10. 7.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창향교 춘풍루 거창향교 춘풍루 居昌鄕校 1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415년에 대성전을 설립하고 1572년에 현감 서의(徐誼)가 중건하였으며, 1574년에는 현감 장문한(張文翰)이 명륜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3년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1714년에는 현감 김시빈(金始鑌)이 대성전 앞에 춘풍루(春風樓)를 건립하였다. 1748년에 도유사(都有司) 김천분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1809년에 도유사 이상조(李尙朝)가 중건하였다. 1840년에 도유사 이준옥(李埈玉)과 재임(齋任) 변윤석(卞允錫)·어재의(魚在誼) 등이 협의하여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중수하였으며, 1799년에는 부사 이성(李性)이 동무(東廡.. 2020. 10. 7.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장기향교 長鬐鄕校 장기향교 長鬐鄕校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경북문화재자료 제327호 1997년 09월 29일 지정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읍성길 92(읍내리 202) 장기읍성에서 내려오는 길에 잠시 들린 장기향교, 아쉽게도 시간관계상 내부는 촬영하지 못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장기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자 선조 33년(1600)에 다시 지었다. 정조 9년(1785)에 마현동으로 옮겨 지었고, 1931년 군수 김영수가 읍성내에 있던 구객관을 수리하고 위패를 모셔 지금의 향교로 전해오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서방경·서극인·이대임·이눌 등이 향교.. 2020. 10. 5.
전주향교 명륜당 전주향교 명륜당 全州鄕校 明倫堂 전면 5간 측면 3간 일익공 맛배 부설지붕에 전문은 우무늬 창살 문에 눈썹지붕의 도리가 뺄목으로 길게 뻗어 나와 타 향교건물 구조와는 다른 특수성이 있음(114,4m2) 당시 중학 과정의 학동들의 교육을 하던 교육기관으로 현재에도 일요학교, 인성교육 전통문화학교을 개설하여 교육중이며 각종 행사장과 유림들의 제후행사장으로 사용하고있음 2020. 10. 5.
전주향교 대성전 전주향교 대성전 全州鄕校大成殿 전면 3간 측면 3간 겹처마 맛배지붕에 일익공 형식임(93,2m2)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를 정위로 顔子(復聖公) 曾子(宗聖公) 子思(述聖公) 孟子(亞聖公)등 5위 봉안 동벽 서벽에 아국 18현 봉안 2020. 10. 5.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과 위패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과 위패 2017년 춘기 삭전대제가 열리는 전주향교 대성전 공자 존영 앞 제단의 모습 2020. 10. 5.
전주향교 계성사제 봉행 전주향교 계성사제 봉행 / 2019년 9월 7일 2020. 10. 1.
전주향교 음력 3월 삭 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유옥균)는 지난 4월 5일(음 3월 1일 壬申) 강성수 원임회장 등 남․녀 유림 60여 명이 참석하여 삭분향례를 봉행했다. 대성전분향관은 유옥균 전교, 당상집례는 김문태, 당하집례는 이존한, 찬인은 이호희, 봉향은 박봉완, 봉로는 소재오, 동무분향관은 이병섭. 찬인은 홍의겸, 봉향은 이용만, 봉로는 정명수, 서무분향관은 권우석, 찬인은 윤동현, 봉향은 이종훈, 봉로는 나성흠 유림이 맡았다. 분향례를 마치고 문화관에서 최인열 사무국장의 사회로 김형신 강사(패성한시회 이사장)의 맹자 양혜왕 편을 공부했다. 2020. 10. 1.
전주향교 2019 추기 석전대제 봉행 전주향교(전교 유옥균)는 2019년 9월 7일 추기 석전대제를 봉행했다. 2020. 10. 1.
전주향교 음력 11월 망분향례 봉행 전주향교 12월 11일(음 11월 15일) 음력 11월 망분향례 봉행 / 사진 임영식 2020. 10. 1.
전주향교 음력 10월 삭 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유옥균)는 10월 28일(음력 10월 1일) 유옥균 전교, 김승방 유도회장 등 남․녀 유림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음력 10월 삭분향례를 봉행했다. 대성전분향관은 유옥균 전교, 당상집례는 김문태, 당하집례는 임규열, 찬인은 홍의겸, 봉향은 소재오, 봉로는 이호희, 동무분향관은 정종우 찬인은 홍병기, 봉향은 이종훈, 봉로는 소기태, 서무분향관은 권우석, 찬인은 한석희, 봉향은 김승기, 봉로는 최창식 유림이 진행했다. ​ 10월 망분향례은 11월 11일(음력 10월 15일) 제6회 전주향교 서예전과 임영식 제5회 전주향교 사진전 개막식과 함께 봉행될 예정이다. 2020. 10.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