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대전세종충남65

맑고 차가운 물이 솟아나는 우물, 한천(寒泉) 맑고 차가운 물이 솟아나는 우물, 대전 이사동 한천(寒泉) ​ 대전시 동구 이사동의 붉은배매새의 육추현장을 가는 길에 애사롭지 않은 우물이 하나 있었다. 무더운 여름날이라 그런지 어릴적 우물가에서 시원한 물에 등목을 하던 생각이 절로 난다. 나오는 길에 확인하니 한천이라는 역사가 깊은 우물이었다. 대전 이사동에는 석축에 한천(寒泉)이라고 새겨진 오래된 우물이 있다. 기와지붕과 함께 편액을 달고 있는 격조있는 우물이다. 사각형의 화강석으로 둘레를 하고 우물 안과 밖에 한천(寒泉)이라는 음각이 새겨져 있는데 우물의 상태가 비교적 잘 보존돼 있다. 이사동 윗마을에 있는 한천(寒泉)은 마을의 옛 지명인 ‘사한리’ 어원의 일부로 사용돼 왔을 만큼 차갑고 맑은 맛을 지닌 우물로 마을의 자랑거리였고 오랫동안 마을의 .. 2021. 7. 22.
들꽃이 반기는 돌고개 솟대마을 논산시 채운면 야화1리 들꽃이 반기는 돌고개 솟대마을 논산시 채운면 야화1리 7월 7일 논산을 지나는 길에 비가 잠시 멈추는 듯 하여 채운면 야화1리 들꽃이 반기는 돌고개 솟대마을에 잠시 들렸다. 논산의 작은 시골마을인 돌고개 솟대마을은 2018년 농림축산식품부 주최로 열린 제5회 행복마을만들기 콘테스트에서 경관·환경분야 전국2위를 차지해 은상을 수상한 마을이다. ​ 돌고개 솟대마을은 특별한 마을 자원이 없는 열악한 여건에도 ‘경관이 없으면 경관을 만들자’는 의지로 2015년부터 주민 스스로 마을 가꾸기를 통해 공동체 형성은 물론 살기좋은 마을 조성에 힘써 경관·환경분야에서 알찬 결실을 거뒀고, 폐품과 재활용품을 활용해 창의적으로 마을 경관을 조성하는 한편 2016년부터는 해바라기와 솟대거리를 만들어 주민들의 힘으로 매년 마을.. 2021. 7. 8.
계룡시 계룡대 계룡산 신도안 도성 주초석 및 석재 계룡시 계룡대 계룡산 신도안 도성 주초석 및 석재 계룡산신도내주초석석재 鷄龍山新都內柱礎石石材 ​ 대한민국의 삼군본부가 위치한 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계룡대 내에는 계룡산 신도안 주초석 및 석재가 있다. 이곳의 주춧돌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개가 계룡산 일대로 도성 이전을 결정 하고 도성공사에 사용하기 위해 다들던 석재로서 부남리, 석계리, 정장리 일대에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놓은 것이다. 수량은 약 115개이다. 신도안 도성 추측도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가 이곳 계룡산 일대를 도읍으로 정한 이후 일정기간 도성 조성공사를 추진한 사실율 토대로 완공되었을 당시의 상항을 추정하여 제작한 것이다. 1392년 개국한 조선은 474년간 지속되어 온 고려의 사회체제에서 벗어나고자 천도를 추진하였으며,.. 2021. 6. 21.
벚꽃 만발한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벚꽃 만발한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봄이 되면 벚꽃이 만발하는 충청남도 에산군 대흥면에 위치한 대흥동헌은 그 아름다운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예산 대흥동헌 및 아문 Magistrate's Office and Public Offices,Yesan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 174호 Chungcheongnam-do 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74 ​ 대흥동헌은 조선시대 대홍군의 현청으로서 여지도서(與地圖書) 대홍군 공해조에 의하면 객사(客숨)에는 정청(正應) 3칸, 동대청(東大磨) 12칸,은사정(恩思事) 14칸, 서헌방(西奸房) 16칸, 하마대(下馬臺) 4칸이 있었고, 아사에는 구동헌(舊東奸) 9칸, 신동헌 16칸,남상방(南上房) 4칸, 북상.. 2021. 5. 22.
논산 명재고택 논산 명재고택 Myeongjae Historic House, Nonsan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윤증(1629∼1714)이 지었다고 전하는 집이다. 후대에 수리가 있었던 듯 하며 그 세부기법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노성산성이 있는 이 산의 산자락에 노성향교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사랑채가 있고, 왼쪽 1칸 뒤로 '一' 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중문간채는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1칸 돌아 들어가게 중문을 내었다. 중문을 들어서면 'ㄷ'자 모양의 안채가 있어서, 중문간채와 함께 튼 'ㅁ'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집 앞에는 넓은 바깥마당이 있고 그 앞에 인공연못을 파고 가운데에 원형의 섬을 만들어 정원을 꾸몄다. 또한 안채.. 2020.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