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향교와 서원189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문창서원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옥구향교 경내 우측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자천대와 마주 보는 곳에 담장으로 둘러싸인 정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자천대에서 소요했다는 최치원 선생을 모신 사당인데 시호인 문창후를 서원명으로 쓴 것이다. 현재 걸려있는 문창서원이라는 편액은 신해년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고 한다. 최치원선생은 신라시대 옥구현에서 태어나 후에 관리로 근무한 적이 있다는 구전이 전해지고 있다.자천대 紫泉臺 Jacheondae Pavilion​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6호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16자천대는 통일신라 말기의 문장가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노닐며 독서했던 누각이라 전한다. 자천대라는 이름.. 2021. 4. 12.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주향교 慶州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경주향교 慶州鄕校 Gyeongjuhyanggyo Confucian School 경주향교는 평지에 건립되어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고 교육공간인 명륜당을 뒤에 두는 전묘후학의 배치형식을 다르고 있다. 경주향교의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고려시대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신라 신문왕 2년(682) 국학(國學)이 설치되었던 곳이라 한다. 그 뒤 1492년(성종 23) 경주부윤 최응현(崔應賢)이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성전이 소실되어 위패를 도덕산(道德山) 두덕암(斗德庵)으로 옮겼다가 1600년(선조 33) 경주 부윤 이시발(李時發)이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위패를 환안(還安)하였다. 1614년(광해군 6) 부.. 2021. 4. 9.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흥해향교 興海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흥해향교 興海鄕校 포항에서 동해대로를 타고 올라가다 보면 흥해읍을 지날 즈음 우측 낮은 언덕에 흥해향교가 자리잡고 있다, 지난 여름에 들렸다가 허탕을 치고 오늘(4월 3일) 두번째 방문이다. ​ 흥해향교(興海鄕校)는 1398년(태조 7)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950년 6·25동란 때 대성전과 동무(東廡)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소실되었고, 기문(記文)마저 없어져 중수기록을 알 수 없다. 1953년에 명륜당과 수복실(守僕室)을 신축하였고, 1970년에 대성전의 번와작업(飜瓦作業), 1971년에 대성전의 단청 보수, 1975년에 동재 보수를 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6칸의 맞배지붕 겹처마의 대성전, 우진각지붕 홑집의 명륜.. 2021. 4. 4.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전주향교 全州鄕校 전주향교 全州鄕校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① 만화루 Manwharu Pavilion ② 일월문 Ilwolmun Gate ③ 동무 Dongmu (Estern House) ④ 서무 Seomu (Western House) ⑤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⑥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⑦ 동재 Dongjae (Estern House) ⑧ 서재 Seojae (Western House) ⑨ 계성사 Gyeseongsa Shrine ⑩ 입덕문 Ipdeokmun Gate ⑪ 장판각 Jangpangak ⑫ 화장실 Toilet 全州鄕校는 고려 공민왕 3년(서기 1354년) 풍남동 경기전 북편에 건립되었다가 조선 태종 10년(서기 1410년)에 태..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향교 南原鄕校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남원향교는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부(府)의 서쪽인 대곡산(大谷山) 기슭에 창건하였다. 향사(享祀) 때마다 호랑이의 침해가 있는 까닭에 1428년 부의 동쪽 덕음봉(德蔭峰) 밑으로 이건하였다가, 홍수 때 길이 막히는 일이 많아 1443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 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복원되었다. 1599년에 진사 유인옥(柳仁沃)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대성전과 동무(東廡)·서무(西廡)를 중건하..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임실향교 任實鄕校 임실향교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 위치에 이건된 것은 1413년(태종 13)이다. 향교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이 있고 대성전 앞에 동재와 서재가 복원되어 있다. 대성전 앞의 두 그루 소나무가 역사를 알려주기라도 하듯 고풍스럽게 서 있고, 동재 옆의 은행나무는 500년이 넘은 수령을 뽐내고 있다. 임실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이곳에서 여행의 참뜻을 새겨볼 만하다. 임실향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10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임실향교는 1413년(태종 13)에 ..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옥구향교 沃溝鄕校 옥구향교 沃溝鄕校 Okguhyanggyo Confucian School 옥구향교(沃溝鄕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상평리(上坪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403년(태종 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의 교동에서 1484년(성종 15) 광월루(光月樓 : 현재의 상평리)로 이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46년(인조 24) 현재의 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전지재(典池齋), 정면 4칸, 측면 2칸의 양사재(養士齋), 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교직사(校直舍) 등이 있다. 특히 이 향.. 2021. 3. 22.
한국의 서원 영천 임고서원 임고서원  臨皐書院 Imgoseowon Confucian Academy  임고서원(臨皐書院)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역사인물인 포은(圃隱) 정몽주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명종(明宗) 8년(1553)에 노수(盧遂), 김응생(金應生), 정윤량(鄭允良), 정거(鄭?) 등의 사람들을 창솔하여 부래산(浮來山)에 창건을 시작하여 이듬해인 1554년에 준공하였으며, 명종으로 부터 사서오경과 많은 위전(位田)을 하사받은 사액서원이다.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선조 36년(1603) 현 위치에 이건(移建)하여 재사액(再賜額) 받았으며, 인조 21년(1643)에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을 배향하고, 정조 11년(1787)에는 지봉(芝峰) 황보인(皇甫仁)을 추배하였으며 고종 8년(1871)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고종.. 2021. 3. 18.
달성 도동서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달성 도동서원 達城 道東書院도동서원은 대구 달성군 구지면(求智面) 도동리(道東里)에 있는 서원으로 사적 제488호이다.2019년 11월 20일에 촬영  조선 초기의 명유(名儒)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을 배향하였다. 1568년 지방유림에서 비슬산 동쪽 기슭에 세워 쌍계서원(雙溪書院)이라고 하였고, 1573년에 같은 이름으로 사액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에 사림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우를 중건하여 보로동서원(甫勞洞書院)이라고 하였다. 1607년에 도동서원으로 사액되었다.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보물 350)이 있다. 2007년 10월 5일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었다.2019년 7월 전국 8개 서원과 함께 ‘한국의 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 2021. 1. 2.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함양향교 咸陽鄕校 함양향교 咸陽鄕校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지정 향교는유교의 옛 성현을 받들면서,지역 사회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미풍양속을 장려할목적으로 설립된 전통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다. 이곳은 1398년(태조 7)에 향교로 건립되었다고 하는데,원래는 고려 때 경학을 공부하였던 소소당이 있던 곳이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다시 세운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세기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향교의 공간은 교육과 제례_의 두 영역으로 나뉜다. 유생이 학문을 연마하는 명륜당(일상생활을 하는 동 • 서재)는 교육기능을 담당하고,공자와 저명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대성전 및 동 • 서무는 제례 기능을 각각 담당하고 있.. 2020. 11. 20.
함양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 청계서원 청계서원 靑溪書院 Cheonggyeseowon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6호 지정 조선 연산군 때 학자인 문민공 김일손(1464∼1498)을 기리기 위한 서원이다. 김일손은 김종직의 제자로서 그의 스승을 비롯한 영남학파 학자들과 함께 조의제문사건에 연루되어 무오사화로 희생되었다. 글에 뛰어났으며 관리들의 부정부패를 비판하였다. 연산군 1년(1495)에는 ‘청계정사’를 세워 유생을 가르쳤고, 광무 10년(1905) 유림들이 그 터에 유허비를 세웠다.그 뒤 1915년에 건물을 원래 모습으로 고쳐 청계서원이라 하였다. 구경재와 동재,서재, 홍남문, 솟을삼문 등의 건물이 남아 있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문의 및 안내 055-960-4537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수동.. 2020. 11. 20.
함양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 남계서원 南溪書院 Namgyeseowon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사적 제499호 Historic Site No.499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설 교육기관이자 선현들을 모시고 제향을 올리는 곳이다. 남계서원은 조선 초기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 이 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에 명종 임금에게서 하사받은 사액 서원이다. 출입문인 풍영루와 강당,동재,서재,경판고장판각,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급한 경사지에 사당을 제일 높은 곳에 두고 출입문까지 일직선상으로 배치하였는데,이는 전학후묘의 배치 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처.. 2020. 11. 20.
영주 소수서원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영주 소수서원 紹修書院Sosuseowon Confucian Academy in Yeongju, South Korea.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위치한 소수서원은 1543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5호로 지정되었고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020. 11. 15.
경주 옥산서원 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경주 옥산서원Oksanseowon Confucian Academy in Gyeongju-si, South Korea.2019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재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길 216-27[7월 3일에 추가] 독락당을 가다가 옥산서원 하마비를 확인했다. 세워진 연도는 분명하지 않으나 서원이 창건되었을때에 같이 세워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고 한다. 하마비 옆으로 길이 나있는 걸로 보아 예전에는 이쪽으로 서원을 오갔을 것이다. 하마비는 비 앞을 지나갈때는 신분이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누구든지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표석이다. 경주 옥산서원 유튜브역락문을 들어서면 바로 무변루가 나오는데 뒷쪽이다. 무변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 규모의 2층 규모의 건축물로 구인당과 마주하여 자리잡고 있.. 2020. 11. 15.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연일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연일향교 경북 포항시 남구 유동길48번길 5 에 위치한 연일향교는 형산강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연일향교의 대성전은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호로 지정됐다. 연일향교 문의 및 안내 전화 054-270-2275 조선 태조(太祖) 7년(1398)에 현재 포항시 남구 대송면에 창건하였다고 하나 연혁에 관한 자료는 남아있지 않아 창건연대는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어 숙종(肅宗)때 대송면 성좌동에 중창(重創)하여 高宗8년(1871) 현감 원우상(元禹常)에 의하여 현 위치로 이건되었다. 일제(日帝)때 명륜학교로 사용된 바 있고 1983년 2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포항시에 편입되어 보존되고 있다. 대성전(大成殿)에는 중국의 5성현(五聖賢).. 2020.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