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향교와 서원189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언양향교 彦陽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언양향교는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97년10월 9일 지정되었다.. 언양향교는 반월산 아래에 창건 되었다. 그 뒤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가, 화장산 아래로 또 옮겼고, 마지막으로 지금의 위치에 다시 옮겨 전하고 있다. ​ 彦陽鄕校가 언제 設立되었는지는 記錄이 남아 있지 않아 正確한 年代는 考證할 수 없다. 그러나 史料가 전하는 정황으로 보아 高麗末期에서 朝鮮初期에 彦陽邑城 北方1리 半月山 기슭에 최초 設立 되었 다가 邑城 南方3리 德泉으로 옮김. 다시 邑城 西方2리 花藏山으로 옮겼다가 지금의 위치(德泉)에 또다시.. 2021. 6. 4.
[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울산향교[한국의 향교 울산광역시] 울산향교 蔚山鄕校 Ulsa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울산광역시에는 울산향교와 언양향교가 있다. 2021년 5월 30일 방문했다. 울산향교의 창건 연대나 초기 연혁은 임진왜란으로 기록이 멸실되어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한 고을 한 향교(一邑一校) 체제가 완성된 15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신학성 북쪽인 현 반구동 구교(舊校)마을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후 그 곳에 다시 세워졌다가 1652년(효종 3)에 지금 장소로 옮겨 세웠다. ​ 당시에는 대성전과 동서무와 동서재 등 향교의 핵심시설만 세워졌다가, 1711년(숙종 37)에 문루 5칸을 창건하여 작신루(作新樓)라고 편액하였다. 작신루는 1796년(정조 .. 2021. 6. 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무주향교 茂朱鄕校 무주향교 茂朱鄕校 ​Mujuhyanggyo Confucian School 2021년 5월 19일 포항출장에서 전주로 오는 길은 황간향교-월류봉-영동향교-무주향교를 돌아보는 코스로 정했다. 무주향교는 지난달 보물로 지정예고 되었던 무주 한풍루 방문후에 들렸다. 무주향교는 한풍루에서 차량으로 약 5분거리의 무주읍내 단천로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무주향교는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원래 무주 관아 북쪽에 있었으나,호랑이의 행패가 심하여 조선 숙종 18년(1692) 김동신(金夢臣)이 향로산 서쪽으로 옮겼다. 그러나 그곳의 땅이 습하다고 하여,다시 순조 32년(1832) 이헌승(李憲承)이 지금의 위치에 새로 지었다. 경내에는 강당인 명륜.. 2021. 5. 20.
황간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영동 黃澗鄕校 조선시대 전기 교육기관 영동 황간향교 黃澗鄕校2021년 5월 19일황간향교 주차장에서 내리면 좌측으로 황간향교 전경이 시원하게 눈에 들어오고 우측으로는 공자상과 비석들과 기념비들이 세워진 공간이 있다.향교를 출입할때는 항상 우측문으로 출입하고 우측 길을 이용해야 한다. 특히 가운데 길은 신도이므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황간향교 대성전으로 오르는 길에 신도와 올라가는길과 내려오는길이 잘 표시되어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해 여러 성현들을 모시는 제사공간으로 앞면 3칸 • 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모양을 한 맞배지붕집이다. 또한주춧돌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것으로 사원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아 유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에는 교육적.. 2021. 5. 20.
영동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북도 영동 永同鄕校 조선시대 영동지역 관학기관 영동향교 永同鄕校2021년 5월 19일영동향교는 조선 선조(1567〜1608) 때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하며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영동지방에 세운 관학기관이다. 임진왜란(1592)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현종 1년(1660) 옛 읍성 안에 복원하였다. 숙종 2년(1676)에 구교동으로 옮겼다가 영조 30년1?54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한 전학후묘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인 명륜당이 남아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로부터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급 받아 운영하였으나 지금은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2021. 5. 20.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영주 풍기향교 豐基鄕校 영주 풍기향교 豐基鄕校 2021년 5월 16일 춘천에서 중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포항으로 향하는 중 고속도로를 나와 풍기를 경유 안동 병산서원으로 갈때 풍기향교 이정표를 발견하고 들렸었다. 출장중에 인근에 향교나 서원이 있으면 안가볼수가 없으니~~~일요일이라 예상대로 문이 닫혀 있었고 연락할 방법도 없고하여 아쉽지만 양심문만 바라보다 다음을 기약허고 발길을 돌렸다. 풍기향교는 원래 임실(지금의 금계1동) 서쪽 골짜기에 있었던 것을 조선 중종 37년(1542)에 군수 주세붕이 이곳으로 옮긴 후 숙종 18년(1692에 다시 옛 자리로 옮겼다가 영조 11년(1735에 다시 현 위치로 옮겼다. 현재 명륜당, 헌관청, 교직사, 내삼문, 대성전, 동무, 서무가 있으나,명륜당과 헌관청은 본래의 모습을 잃었다. 다만 제.. 2021. 5. 18.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안동 병산서원 한국 서원 건축의 백미 안동 병산서원 屛山書院사적 제260호1978년 3월 31일 지정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2021년 5월 16일 춘천에서 포항으로 내려가는 중 비가 그치는 듯 하여 안동을 경유하기로 하고 병산서원으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를 설정했다. 안동에 진입하여 병산서원 약3km를 앞두고 비포장도로가 이어진다. 차량이 교차할때는 비켜줘야 할 정도로 넓지않은 비포장도로를 덜커덩 거리며 한국의 서원을 찾아가는 길이 불편하지도 않고 더욱 운치가 있게 느껴진다. 이 길을 따라 유생들이 병산서원을 오갔을 것이리라.​서원 동쪽의 주차장에 도착하면 안내소와 화장실이 있고 입구에 임시로 설치된 코로나 방역부스에서 체크를 하고 하회구곡을 따라 조금 걸으면 우측에 병산서원이 있다. 하회구곡의 제1곡 .. 2021. 5. 17.
춘천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춘천 春川鄕校 춘천향교 春川鄕校 Chunch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8호 2021년 5월 15일(토)에 방문했다. 강원 춘천시 삭주로 21 (교동)에 위치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8호(1985년 1월 17일 지정)인 춘쳔향교는 아쉽게도 내삼문이 굳게 닫혀 있어 대성전과 동무,서무는 촬영하지 못했다. 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게 제사를 올리고 유생들에게 유학을 교육하던 곳인 춘천향교는 조선 초기에 설립되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유몽인의《어우집》에 따르면 1520년(중종 15) 에 부사 이만손이 다시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4년(선조 27) 부사 서인원이 고쳐 지었다. 한국전쟁으로 대성전.. 2021. 5. 17.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 거제 반곡서원 盤谷書院 Bangokseowon Confucian Academy반곡서원은 거제 유림 윤도원(尹道元), 옥삼헌(玉三獻), 김일채(金一彩), 윤명한(尹命翰), 허유일(許兪一), 신수오(辛受五) 등이 문정공(文正公) 우암(先處)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704년(숙종 30)에 창건하였다. 그 후 문정공 죽천 김진규,충헌공 몽와 김창집, 부제 학공 이중협, 문충공 민진원, 정문공 김수근이 추가로 배향되었다. 1868년고종5에 훙선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폐되었으나, 1906년(광무 10) 거제 유림에서 서원의 옛터에 제단과  반곡서원유허비를 세우고 매년 가을에 단제를 치렀다. 1971년, 거제 향교의 책임자 윤병재가 서원의 복원을 발의하고 유림총회의 찬성으로 1974년 .. 2021. 5. 10.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거제향교 巨濟鄕校 Geoj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지방에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유학을 가르치는 교육 기관과 공자를 비롯한 훌륭한 유학자에게 제(祭)를 올리는 곳으로 사용되었다. ​거제향교는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거제향교는 세종 14년(1432) 서문골(현재 고현동)에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면서 함께 소실되었다. 이후 수차례에 걸쳐 이전 설치되었다가 철종 6년(1885) 현재의 위치로 옮겨져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거제향교의 건물배치는 교육공간을 앞쪽에,제례공간을 뒤쪽에 두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양식으로 이는 조선시대 향교 건물배.. 2021. 5. 10.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김해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남도] 김해향교 金海鄕校 Kimhae Confucian School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경상남도 김해시 가락로150번길 21)에 있는 김해향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7호이다. 1408년(태종 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하였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0년(선조 33) 부사 정기남(鄭奇男)이 김해읍 동쪽 다전동에 중건하였다. 1683년(숙종 9) 향교 뒷산이 사태로 무너지자, 1688년에 김후수(金後修)와 부사 이행익(李行益)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여 대성전과 동무·서무를 건립하였고, 이듬해에 동재·서재를 건립하였다. ​ 1693년 부사 이하정(李夏禎)이 명륜당과 남루(南樓)를 중건하였으며, 1769년(영조 45) 화재로 소실되.. 2021. 4. 27.
진안 삼천서원 묘정비 진안 삼천서원 묘정비 ​三川書院廟廷碑​진안 유일의 사액서원(조선시대 왕으로부터 편액(扁額)·서적·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으로 널리 알려졌던 삼천서원은 옛터가 용담호에 수몰되었고 서원 묘정비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망향의 동상 태고정 옆에 옮겨져 세워져있고 현판은 용담향교에 보관되어 있고, 교재용 목판은 진안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삼천서원 묘정비는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문화유산(유형) 제1호로 지정되었다.​ 묘정비는 삼천서원의 건립 경위와 제향 인물의 행적을 적은 비로, 서원비(書院碑)라고도 한다. 삼천서원은 진안군에서 유일한 사액서원(賜額書院)이다. 사액서원이란 조선시대에 왕이 서원의 이름을 지어주고 현판과 노비, 서적 등을 내려준 서원을 말한다. 삼천서.. 2021. 4. 27.
간성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고성 杆城鄕校 고성 간성향교 杆城鄕校 Ganseonghyanggyo Confucian School​2020년 7월 17일 8군단 취재차 고성에 들렸다가 지나는 길에 간성향교 이정표를 보고 잠시 들렸다. 현재까지 방문한 향교중에 가장 북쪽에 위치한 향교일것이라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 확인은 하지 않은 상태이다. ​간성향교(杆城鄕校)는 1420년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서 창건되었다. 1546년에 군수 성헌(成軒)이 용연동에서 교동리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다. 그뒤 1640년에 군수 신일원(申日原)이 명륜당을 중건하였고, 1850년에는 현재의 위치인 규봉산 아래에 중건하였다. 그 뒤 6·25사변 때 소실된 것을 1954년에 재건하였으며, 197.. 2021. 4. 16.
제주향교 한국의 향교 제주특별자치도 濟州鄕校 [한국의 향교 제주도] 제주향교 濟州鄕校 Jejuhyanggyo Confucian School제주에서의 짧은 휴가를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중 잠시 제주향교에 들렸다. 예상대로 제주향교는 코로나19 사회적거리두기의 정부지침에 따라 휴관중이었다. 제주까지 와서 그냥 돌아서기에는 아쉬움이 많아 협조를 구해볼까 하다가 시간적인 여유도 많지 않아 담 넘어로 보이는 명륜당과 대성전만 잠시 촬영했다. 2020년 12월 29일 제주향교는 1392년(大祖 1) 제주성내 교동(校洞),지금의 원정로에 창건된 후 여러 차례 옮겨졌으며,1827년(純祖 27) 현 위치로 옮겨 오늘에 이른다. 향교내에는 대성전(大成殿) • 계성사(啓聖轉) . 명륜당(明倫堂)등의 건물이 있으며 본래는 동무(東應) . 서무(西應) . 동재(東齋) . .. 2021. 4. 16.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순창향교 淳昌鄕校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순창향교 淳昌鄕校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8호 전라북도 순창군 교성1길 13 2021년 4월 11일 방문했다. 순창향교는 방문객들이 언제든지 관람을 할 수 있도록 상시 개방을 하고 있다고 했다. 순창향교 바로 앞에는 단군의 초상을 모신 단성전과 옥천양사재가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 최근에는 식육식당을 건립하려는 부지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순창향교와 인근의 단성전, 사마재 등 과 바로 인접한 곳이어서 지역 유림을 비롯한 유관단체의 신축 반대 목소리가 크게 일고 있는 듯 하다. 순창향교 대성전 淳昌鄕校大成殿 Daeseongjeon Shrine in Sunchang Hyanggyo ​ 대성전은 공자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다섯 성인과 주자등 중국 송나라의 .. 2021. 4.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