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읍 임중리는 영취산 남동기슭으로 십리장림 임중숲이 이어지고, 동북쪽에는 현내들이 장기천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임중숲 남쪽을 숲안이라 하여 현재의 임중 1리이고 북쪽으로 장기천의 하천변을 개간하여 장터를 만들었다 하여 새장터(新市場)라 하며 임종 2리라 한다. 임중리에는 고려 충선왕시 오도안찰사를 역임한 계헌(癸軒) 오방우(吳邦佑) 공을 제향하는 덕림서원과 덕계 나주 임재화(林再華)공의 유허비각인 덕계공비각(德溪公碑碑)과 효자 김사민(金士敏)을 기리는 정효각 및 의사 만취 정치익(鄭致翼)의 추모비가 있다.
임중숲은 인공으로 조성한 오래된 숲으로 함양 상림숲의 두배나 큰 규모였으나 해방직후 숲 일부가 장기중학교 건립으로 사라지고, 1963년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경작지로 개간되어 거의 모두 소실되었다. 지금은 장기중학교 경내에 20여 그루의 고목만이 남아 있고 최근에 세운 '장기숲' 이라는 표지석이 있다.
장기숲 가는 길은 장기읍 새장터에서 안내판을 따라 맞은 편 마을 안쪽의 좁을 길을 따라 가면 장기숲 표지석을 만날 수 있다. 장기중학교 뒷편 비밀의 정원과 이어진다.
숲안마을의 담장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장기천변에 사랑의 자물쇠에서 보았던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가 1943년에 발표한 어린왕자에 나오는 주인공과 사막의 여우가 그려진 벽화가 반겨준다.
장기(長鬐)숲 유래(由來)
장기숲은 장기천에 의해 물이 범람하는 것을 막고 겨울철 북서풍을 막아 경작지 서리피해 방지와 논경지의 수리(水利)를 위해 조성된 숲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숲은 동서방향으로 길게 하천변을 따라 3.4km(19ha)에 조성되었다고 하며 이중 1.7km 구간의 폭은 100~200m, 그 외는 15m로 내외로 임중리, 마현리, 신창리 일대에 걸쳐 방대하게 펼쳐져 있었다고 한다.
옛 문헌에도 잘 나와 있는데 고지도인 [해동지도] [여지도] [동여도]와 1872년 [군현도]에도 장기숲이 잘 나타나 있으며, 1938년도 [조선의 임수]에도 장기임수를 소개하고 있을 만큼 과거 남북한을 합쳐 최대 규모의 활엽수로 구성되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해방직후 숲 일부가 장기중학교 건립으로 사라지고, 1963년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경작지로 개간되어 거의 모두 소실되었는데, 이때 나무는 입찰을 통해 매각되었으며 주로 숯장수들이 사들였는데 임내에 숯가마를 만들고 현장에서 베어 바로 숯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지금은 장기로 주변(양포 마을숲)과 장기중학교(임중 마을숲)에 아름드리 노거수 20여 그루만이 남아 보전되고 있고 지금 포항시가 쳬호기하고 있는 호미곶 국가정원사업에 장기숲 복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장기중학교 비밀의 정원
역사와 충절의 고장이라 불리는 장기면의 마을숲에는 오랜 세월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 살다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고 들었던 나무들이 어느새 거목이 되었다. 장기면의 진산(鎭山) 동악산(東岳山)이 굽어보는 마을숲 한가운데 무려 350년이 남는 세월 동안 만고풍상을 지켜 본 이 느티나무는 언제부턴가 그 영험함에 기대어 빌면 소원을 들어 준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다.
수고 20m, 나무둘레 5.8m로 장기면의 상징인 이 느티나무는 그래서 소원을 들어주는 나무로 부르고 있다.
장기중학교 죠정에 있는 이 이팝나무는 2021년 9월 15일 지정된 보호수로 당시 수령은 200년이었다. 수고 13m, 나무들레 3.7m 로 장기중학교의 교화(校化)이기도 하다. 장기중학교 교정에는 이팝나무를 비롯해 7그루의 보호수가 자라고 있다.
'대한민국방방곡곡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창휴게소 사과전망대에서 보이는 오도산과 미녀봉 등 (4) | 2025.05.19 |
---|---|
'장기도 나팔 있나" 장기 나팔의 유래 (0) | 2025.05.18 |
장기전통5일장 새장터 - 포항시 남구 장기읍 (0) | 2025.05.17 |
김사민 정효각 - 포항시 남구 장기읍 (0) | 2025.05.16 |
덕계 임재화 유허비 · 덕계공 비각 (1) | 2025.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