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방방곡곡/대구경북

안동대도호부 옛터 안동 웅부공원

by Yeongsik_Im 2024. 12. 3.
반응형

안동 시내 중심부에 있는 웅부공원은 안동대도호부의 옛터로 현재의 도 단위 격인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안동대도호부와 경북 동북부 17개 군을 관할하던 관찰부, 안동시로 통합되기 전 안동군청이 자리잡고 있던 곳으로 안동의 영광과 애환이 깃든 역사의 산실이다. 12월의 첫 날 안동에서 하루를 보내고 떠나기 전 다행이 호텔에서 가까운 곳이라 이른 아침에 잠시 돌아 보았다.

대동루

안동군청사에 걸려 있던 ‘安東雄府안동웅부’ 현판은 당대의 명필이던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에 머무를 때 성심으로 섬겨준 안동 사람들에 대한 고마움을 담아 직접 쓴 글씨로 ‘웅장하게 큰 고을’이란 뜻을 담고 있다. 안동 사람들의 자부심이 깃든 이 현판은 1995년 시 • 군 통합과 함께 건물이 철거되면서 안동민속박물관으로 옮겨지고,오랜 세월 안동의 숨결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이곳은 안동시민의 휴식공간인 웅부공원으로 거듭났다.

영가헌

웅부공원에는 옛 관아의 모습을 본 뜬 동헌인 영가헌과 문루인 대동루가 있고,대동루 오른쪽에 상원사 동종을 재현한 시민의 종이 설치된 종각이 있다. 

안동 시민의 종

안동 시민의 종은 안동 시민의 자발적인 성금으로 마련되었으며, 웅부공원이란 이름 역시 역사성과 전통성이 담긴 명칭을 공모한 결과 명명된 것으로, 찬란했던 안동의 옛 명성을 되찾길 바라는 안동인들의 간절한 염원과 남다른 자부심이 곳곳에 배여 있다. 현재 이곳은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전통혼례,고택음악회,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양로연,무과 재연 등 각종 문화 행사가 열리는 문화예술공간으로도 사랑받고 있다.

안동 시민의 종
안동 시민의 종은상원사 동종을 재현했다.
통합기준점

웅부공원 바로 옆에 안동 전통문화 콘텐츠 박물관이 있고 건너편에는 웅부공원 공용주차장이 있다. 웅부공원은 연중 무휴 24시간 상시 개방되어 있다.

 

안동 웅부공원 유튜브 영상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