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대구경북293 포항 철길숲 불의 정원 약 100년간 기차가 달리던 포항시 남구 효자역과 옛 포항역 사이 4.3km 구간은 2015년 KTX포항역 이전으로 폐철도가 되었다. 그러나 이 포항 도심의 폐철도부지는 2018년 숲길로 탈바꿈해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포항 철길숲(Forail)은 미래지향적인 도시재생과 녹색생태도시 조성의 모범사례로 꼽히는 ‘포항 그린웨이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막을 올리기에 앞서 2018년 5월 19일 1~2공구인 효자교회~이동고가차도 2.1km가 먼저 개통됐다. 3공구인 이동고가차도~서산터널 2.2㎞구간을 2018년 7월 개통해 총 길이 4.3㎞, 면적 12만㎡에 이르는 대규모 도시숲에서 시민이 문화와 휴식공간을 즐기고 있다. 철도부지 도시숲 조성사업은 지난 2015년 4월 KTX 포항 직결선 개통으로 발생한.. 2022. 1. 23. 국가지질공원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주상절리는 화산활동으로 분출한 1000℃ 이상의 용암이 냉각 · 수축하여 굳어지면 틈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절리라 하며,용암은 굳을 때 표면부터 다각형의 균열이 깊은 곳으로 식이가며 커다란 기둥 모양(주상절리)이 형성되는데 이때,용암이 식는 속도와 방향에 따라 주상절리의 모양과 크기가 결정된다. 양남 주상절리는 동해의 아름다운 해변을 따라 조성된 1.7km 파도소리 길은 자연이 만든 걸작(돌조각상) 주상절리를 잘 감상할 수 있도록 2011년에 군부대 주둔지를 경주시에서 일반에 소개하였으며, 동해에 핀 한 송이 해국이 연상되는 부채꼴 형상 주상절리와 주름치마가 바람에 날리는 듯한 누워있는 주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로 인해 주상절리 박물관으로 칭해지는 세계적인 지질 명소이다. 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 2022. 1. 20. 영일만 북파랑길 2코스 망호정 포항 출장중에는 자동차전용도로보다는 동해안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는 드라이브코스인 7번 국도를 자주 이용하게 된다. 오늘도 조사리에 다녀오며 7번국도를 따라 용한리까지 내려오다가 그간 지나치기만 했던 망호정에 잠시 들렸다. 망호정이 있는 곳은 영일만 북파랑길 2코스가 시작되는 곳이다. 영일만 북파랑길은 동해안 770㎞를 잇는 ‘해파랑길’(부산오륙도공원~고성통일전망대, 50개 구간)중 17구간 (포항송도해수욕장~칠포해변)과 18구간(칠포해변~화진해변)의 39.2㎞에 이르는 포항 영일만 북쪽해안을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된 트레킹 명소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긴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는 포항시는 ‘포항 해오름 탐방로’로 이름 지은 총 코스 112㎞에 이르는 특화된 해안둘레길 조성을 통한 명품 해양관광도시로서.. 2021. 12. 28. 영일 칠포리 암각화 영일 칠포리 암각화군 迎日 七補里 岩刻盡群 Petroglyph at Chilpori, Yeognil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9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칠포리 201 영일 칠포리 암각화군의 바위그림들은 1989년 처음 발견된 이래 1994년까지 추가로 발견되어 그 규모에 있어 한국 최대의 암각화군이다. 곤륜산의 서북쪽 기슭 개울을 끼고 돌출한 길이 3m, 높이 2m의 사암질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암각화가 대표적 이다. 이 암각화는 아래위가 긴장방형으로 양쪽 면을 곡선으로 표현하였는데,대체로 위쪽이 아래쪽보다 크게 묘사되어 있다. 이 일대는 성혈이 묘사된 지석묘가 분포한다. 그 중에 곤륜산에서 해안 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국도를 끼고 길이 2.9m,폭 1.2m 가량의 고인돌의 동쪽면 개석에.. 2021. 12. 27. 2022년 임인년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 축전 취소 경북 포항시는 동해안 3대 일출 명소로 꼽히는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축전’ 공식 행사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열지 않기로 했다. 2022년 일출시간 관내 해맞이광장도 폐쇄하고 해맞이장소의 출입을 전면 통제한다.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 축전이 취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해를 맞아 관내 해맞이 장소 곳곳에 인파가 몰려들 것이 우려되어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시민 안전을 위해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영일대해수욕장 및 환호공원(스페이스워크) 일대는 포항북부경찰서와 함께 1월 1일 오전4시부터 오전8시까지 입간판과 폴리스라인을 설치해 전 구간 차량 및 관광객 출입을 집중 통제할 예정이다. 임인년 해맞이 행사는 지역케이블TV와 포항시청 유튜브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인근 지역의 경주 문무대왕릉.. 2021. 12. 27. 포항 영일 민속박물관 과거를 돌아보면서 현재를 찾을 수 있는 곳 영일 민속박물관 우리나라 고유문화가 이루어진 과정에 있어 그 기초적인 역할은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던 각종 민속 생활용구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급변하는 현대 물질문명에 의해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영일군과 영일문화원이 민속자료 수집운동을 전개하여 1차로 2,650점의 귀중한 자료를 모아 조선조 헌종 1년(1835)에 건립된 제남헌(옛 흥해군의 동헌)에 자료를 전시하여 1983년 10월 29일 영일민속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그후 1985년에 새 전시관을 신축하여 토기, 생활용구류, 농어기구류,관혼상례용구,고서적류, 의관류등 총 4,600여점의 자료를 재분류 전시하였으며,특히 여기에 전시된 자료는 이 고장에서 옛부터 조상들이 사용하였던 고.. 2021. 12. 26. 동해안 해안도로 겨울바다 파도소리 포항 청하면 청진3리 월포해변 청하향교에 들렸다가 이가리닻전망대에서 잠시 쉬어 동해안 해안도로인 7번국도를 따라 내려오다 탁 트인 동해바다가 시원하게 바라다 보이는 곳이 있어 잠시 차를 세웠다. 큰방파제와 작은 방파제가 서로 등을 돌리고 뻗어 있는 청진3리, 넓고 평평한 수중여 사이로 겨울바람을 타고 파도가 밀려온다. 본격적으로 날씨가 추워진다고 했지만 10도를 넘은 날씨가 겨울의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느껴진다. 2021. 12. 25. 동해안여행의 핫 플레이스 포항 이가리 닻 전망대 포항시에서 북쪽에 있는 흥해나 청하쪽를 오갈때는 해안도로를 따라 반드시 들려보는 곳이 있는데 이가리 닻 전망대이다. 이가리 닻 전망대는 올해 4월에 들려 블로그에 포스팅 한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이가리 닻 전망대에서 겨울바람과 함께 밀려오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잠시 쉬어 왔다. 동해안여행의 핫 플레이스 이가리 닻 전망대 2021. 12. 25. 경주 금장대 석장동 암각화 경주 강변로를 지나다 보니 형산강 너머 암벽위에 세워져 있는 멋진 한옥누각이 보인다. 형산강 일대를 찾아온 기러기들이 머물렀다고 해서 금장낙안(金藏落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는 경주의 핫 플레이스 금장대(金藏臺)다. 신라시대 암벽 위에 있었던 사찰 금장사(金藏寺)에서 이름을 따와 금장대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금장대 金藏臺 GEUMJANGDAE 금장대는 경주 시가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이곳에 있던 절 혹은 건물의 이름인 '금장” 을 따서 금장대라고 부르고 있다.이곳은 그 경치가 매우 빼어나 경주의 하늘을 지나가는 기러기들이 쉬어간다고 하여 경주의 여덟 가지 기이한 현상가운데 하나인 금장낙안이라 불리워지던 곳이기도 하다. 금장대 아래에 만들어진 예기청소는 형산강의 본류인 서천과 북천이 만들어낸.. 2021. 12. 23. 경주동궁원 버드파크 새와 사람과 자연의 이야기 경주버드파크 우리나라 최초의 동·식물원이었던 동궁과 월지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경주 동궁원은 경주 보문단지내에 소금강산과 명활산성을 사이에 두고 총면적 64,830㎡로 동궁식물원, 농업연구체험시설, 버드파크로 구성되어 있다. 버드파크는 면적 5,000㎡의 새둥지 형태의 유선형태로 펭귄,앵무새, 플라밍고 등 250종 3000수가 전시되어 있는 단일 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선진국형 사계절 체험형 화조원이다.경주버드파크는 경상북도 제1호 전문동물원(박물관) 등록기관이다. 12월 7일 경주버드파크를 방문했다. 경주버드파크의 이용시간과 요금 안내 이용시간 개장시간 : 오전 10시 ~ 오후 7시까지 (6시까지 입장가능) 오전 10시 ~ 휴가철 성수기에는 개장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니 05.. 2021. 12. 12. 포항 구룡포 과메기문화관 경상북도 포항시 구룡포지역은 2007년 7월 재정경제부로 부터 과메기산업특구로 지정받았고 과메기를 홍보하고 품질관리를 위하여 구룡포과메기문화관을 건립하였다. 과메기문화관은 4층으로 기획전시실, 해양체험관, 과메기홍보관, 야외전망대로 구성되어 과메기의 역사, 어업과정 그리고 제조과정, 효능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또한 층별로 전연령대가 체험하고 공부할 수 있는 전시실로 구성되어 구룡포를 홍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2021년 12월 5일 방문한 구룡포 과메기문화관을 사진으로 소개한다. 과메기문화관의 입장요금은 무료이며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장마감 17:30) 관람할 수 있으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 다음날, 1월 1일, 추석 당일 휴관한다. 문의 및 안내는 054-277-2860 으로 하면 된.. 2021. 12. 8. 포항시 승격 60주년 기념 조형물 '세계를 향한 비상' 12월 6일 포항 종합운동장에서 형산대교을 건너기 위해 형산교차로로 진입하기 전 도로 우측에 세워져 있는 조형물이 하나 보여 둘려보았다. 이 조형물은 포항시가 시승격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3억2000여만원의 예산을 들여 거립한 ‘세계를 향한 비상’이라는 조형물이었다. 포항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대표적 랜드마크로 탄생됐으나... 포항시가 시승격 60년을 기념하기 위해 설치된 이 조형물은 ‘세계를 향한 비상’이란 모토로 포항시 남구 해도근린공원 내에 37m높이로 제작 설치됐으며 2009년 6월 12일 시승격 60주년 기념 시민의 날 행사에 맞춰 제막됐다. 연오랑 세오녀 설화의 배경인 해와 달을 상징하는 이 조형물은 해와 달을 머리에 이고 오대양 육대주로 나아가는 배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산업... 2021. 12. 6. 국내 최초의 해상누각 포항 영일대 지난 2015년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을 취재하며 트라이슬론대회가 열렸던 영일대해수욕장에 들렸었는데 분명 북부해수욕장이었다. 포항의 북부해수욕장은 군 복무시에 자주 들렸던 곳이라 잘 알고 있는 곳이었는데 확인해보니 북부해수욕장은 2013년 6월부터 영일대해수욕장으로 바뀌어 개장했다고 한다. 백사장길이 1,750m, 너비 40~70m, 면적 38만㎡인 영일대해수욕장은 포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알려져 있다. POSCO와 영일만이 보이며, 백사장의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피서지로 적합하며 샤워장, 탈의장, 무료주차장 등의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국내 최초의 해상누각인 영일대는 포항시가 총공사비 30억원을 들여 2013년 개장에 맞춰 건립됐다. 얼마전 독석리를 가며 지나는 길에 들려보았으나 공사중었는데 지난 5.. 2021. 12. 6. 포항의 새 랜드마크 환호공원 스페이스워크 포스코가 포항에 국내 최대 규모의 체험형 조형물 '스페이스워크'를 완공하고 포항시에 기부했습니다. 포스코와 포항시는 지난 11월 18일 환호공원에서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이강덕 포항시장, 디자인을 맡은 독일 작가 울리히 겐츠 등이 참석한 가운데 스페이스워크 제막식을 가졌습니다. 포항의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고 있는 스페이스워크를 12월 6일 다녀왔습니다. 철로 그려진 우아한 곡선 스페이스워크를 사진으로 소개합니다. 스페이스워크는 총 333m 길이의 철 구조물 트랙을 따라 걸으며 환호공원과 포항제철소, 영일만, 영일대해수욕장 등 주변 풍광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국내 최대 규모의 체험형 조형물로 스페이스워크라는 작품명은 우주 공간을 유영하는 듯한 즐거움을 선사한다는 뜻에서 이름 붙여졌다고 합.. 2021. 12. 6. 호미곶등대 국립등대박물관 호미곶해맞이광장 호미곳등대 Homigot Lighthouse 호미곶등대는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호미곶길 99에 위치한 1908년 12월에 건립된 등대로 12월 20일 최초 점등했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39호이다. 기초에서부터 동탑의 중간부분까지 곡선을 그리면서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다른 고층 건물과는 달리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벽돌로만 쌓은 것이 특징이다. 고산자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만들면서 호미곶을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으로 확인하고 호랑이 꼬리부분이라고 기록하였다. 육당 최남선은 백두산호랑이가 연해주를 할퀴고 있는 형상으로 한반도를 묘사하면서 이곳을 "호랑이꼬리"라고 이름하였고 영일만의 일출을 조선십경(朝鮮十景)중의 하나로 꼽은바 있다. 매년 해맞이 축전행사가 열린다.한반도 최동단에 위치해 일출로 .. 2021. 12. 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