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4 진안 용담댐 환경조각공원 · 물문화관 지난 주말에는 출장을 마치고 돌아오며 2001년 진안고원에 건설된 용처럼 굽이치는 물줄기의 진안 용담호을 경유했습니다. 용담댐은 가을 단풍과 몽환적인 물안개, 그리고 용담호를 에두르는 60여km의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한 곳입니다. 용담호를 드라이브 할때는 꼭 들려봐야 할 곳 먼저 소개한 용담댐 용담가족테마공원에 이어 용담댐 환경조각공원을 소개합니다.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월계리에 위치한 용담댐은 금강 상류에 있는 다목적댐으로 댐 높이는 70m, 길이는 498m이며 총저수량은 8억 1500만t, 수몰 면적은 950만 평이다.1990년 착공 2001년 10월 13일 완공되었다. K-water 용담댐지사 용담댐 환경조각공원 주차장에 도착하니 주변의 나무들이 울긋불긋 물들어 가고 있다. 대형버스도 .. 2022. 10. 13. 진안 용담댐 용담가족테마공원 지난 주말 연휴 마지막 날인 10일에는 돌아오는 길에는 국도를 이용하여 무주를 거쳐 2001년 진안고원에 건설된 용처럼 굽이치는 물줄기의 진안 용담호을 경유했습니다. 용담댐은 가을 단풍과 몽환적인 물안개, 그리고 용담호를 에두르는 60여km의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한 곳입니다. 오늘은 먼저 용담댐 주변에 있는 용담가족테마공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용담테마가족공원은 용을 모티브로해서 조성되어 있습니다. 용그림 주위로 자리잡은 꽃잔디는 4월 중순쯤이면 활짝핀 꽃잔디를 구경할 수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다녀가는 용담댐 명소로 특히 아이들을 데려오는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는 아주 좋은 쉼터입니다. 전북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1221-6에 위치하고 있는 용담가족테마공원은 주민과 관광객이 여가를 즐기고 쉬어갈 .. 2022. 10. 12. 새마을운동발상지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에 있는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과 새마을운동발상지운동장 · 기념비에 이어 새마을운동발상지인 문성마을을 소개한다. 포항시 북구 기계면 문성리(文星里)는 문성리는 신라대에 기성현기(杞城縣基)가 있었던 곳으로 원씨(元氏)가 들어와 살게 되면서 한때 원문동(元門洞)이라 불렀고 그 후 남양홍씨(南陽洪氏) 집성촌이 되었다. 문성(文星)은 번창하던 마을이 기계천의 범람으로 농토가 유실되고 쇠토하여져 갈 때 하늘에 문창성(文窓星)이 나타나 마을이 다시 번창하게 되어 붙인 마을 이름이라 한다. 1970년대 초 새마을운동 발상지로 전국의 시장/군수회의를 개최했던 곳으로 박정희대통령순시 기념비(1993년 개축)와 새마을운동 발상 기념비, 문성양수장 설치 기념비가 동네 어귀에 있다. 마을 북동쪽 들 가운데에.. 2022. 10. 11.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 지난 주말 포항에서 김천으로 이동하며 포항시 북구 기계면 지역을 경유하기로 하고 가볼만한 곳을 찾아 선택한 곳은 포항에서 청송과 안동 등 북부 내륙지방으로 통하는 31번 국도 길목에 위치하고 있는 포항시 북구 기계면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인 문성리였다. 비학산․운주산 등 준봉이 사방을 호위하고, 그 가운데로 기계천이 만들어 낸 비옥한 옥토가 펼쳐져 있는 천혜의 고장인 기계면은 예로부터 걸출한 인물들이 어느 고을보다 많이 배출된 곳이며, 1970년대 근면·자조·협동의 3대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근대화와 고도산업화의 기틀이 된 새마을 운동의 발상지이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로 편입됐다. 31번 국도에서 새마을발상지길을 따라 가다보면 먼저 새마을운동발상지운동장을 만나고 기계천을 건너면 마을 앞쪽에 새.. 2022. 10. 11. 포항시 기계면 새마을운동발상지운동장 · 기념비 오늘은 포항에서 청송과 안동 등 북부 내륙지방으로 통하는 31번 국도 길목에 위치하고 있는 포항시 북구 기계면으로 간다. 비학산․운주산 등 준봉이 사방을 호위하고, 그 가운데로 기계천이 만들어 낸 비옥한 옥토가 펼쳐져 있는 천혜의 고장인 기계면은 예로부터 걸출한 인물들이 어느 고을보다 많이 배출된 곳이며, 1970년대 근면·자조·협동의 3대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근대화와 고도산업화의 기틀이 된 새마을 운동의 발상지이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로 편입됐다. 새마을운동의 최초 발상지인 포항시 북구 기계면 문성리에 있는 새마을운동발상지기념관으로 가는 길 기계천을 건너기 전 도로 우측에 있는 새마을운동발상지 운동장을 먼저 돌아보았다. 새마을운동발상지 운동장의 원래 명칭은 '기계면민운동장'이었다. 새마을운동발.. 2022. 10. 10. 포항시 기계면 문성리 고인돌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인 경북 포항시 기계면 문성마을에는 논 한가운데 팽나무 아래 동북쪽을 향해 자리 잡고 있는 거대한 선돌바위가 하나 있다. 이 선돌바위가 바로 문성리 고인돌이다. 고인돌과 함께 서있는 보호수인 팽나무는 높이는 12m, 둘레는 3.3m로 당산나무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어 마을의 보호를 받아 왔다. 멀리 보이는 칠성재에도 커다란 고인돌이 하나 있는데 마을사람들은 칠성재의 고인돌과 문성리의 고인돌 바위가 마주보고 마을을 지켜준다고 믿었다 한다. 해마다 정월 대보름 밤에 동네의 평안과 마을사람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제(洞祭)를 올리고 있다. 문성리 고인돌은 지석이 있는 기반식 고인돌로 인근에 있는 칠성재 고인돌보다는 작지만 보기 드물게 거대한 규모이다. 지석의 크기는 185×35×45cm 정도이다.. 2022. 10. 10.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군산 해망굴 · 해방촌 달동네 7월 10일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승 및 추모행사가 열리는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가 있는 군산시 월명공원에 일찍 도착하여 해망굴(海望堀)과 해망동 달동네가 있었던 해망 자연마당을 돌아 보았다.1926년에 건립된 해망굴은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 국가등록문화재 제184호에 지정돼 현재 군산시에서 관리하고 있다.해망굴은 식민지 수탈의 기지가 된 군산이 최고의 무역 호황을 누리던 시기에 해망동과 중앙로를 연결하기 위해 1926년 10월 16일 건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당시에는 군산신사와 신사광장, 공회당, 도립군산의료원, 은행사택, 안국사(현 홍천사)등이 인근에 자리하고 있어 사람의 통행이 빈번한 교통의 요충지였다. 해망굴의 입구는 석축으로 만들어졌고 안쪽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다. 워낙 튼튼하게 .. 2022. 10. 8. 금산 인삼홍보관 삼락원전망대 금산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인삼이다. 금산인삼은 인삼으로는 처음으로 국가중요농업유산 제5호로 2015년 3월 24일 등재되었다. 정부가 지정하는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전통과 문화적 가치가 크고 국가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대표성 있는 농업유산을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하고 있다. 또한, 금산인삼은 2018년 7월 4일 FAO 세계중요농업유산에도 등재되었다. 세계식량농업기구에서는 오랜기간 이어온 독창적인 농업시스템, 생물다양성, 전통농업지식 등 세계적으로 우수한 지역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하고 있다. 금산전통인삼농업은 자연친화적 순환식 이동농법, 향과 바람의 순환을 중시하는 해가림 농법 및 자연과 인간의 지속 가능한 공생 시스템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FAO에서 인삼작물로는 세계 최초로 농업 유산.. 2022. 10. 6. 호텔마린으로 재탄생한 포항 청룡회관 해병대 청룡회관이 호텔마린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청룡회관은 해병대 제1사단이 지난해 5월 운영할 지역위탁업체를 선정하고 2021년 6월부터 임시운영을 시작으로 10월부터는 정식 운영하고 있다. 청룡회관은 지난 1973년 포항시 북구 죽도동에 건립되었다가 지난 2000년 현재 위치인 남구 동해면으로 자리를 옮겼고 식사와 숙박, 모임 등을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춰 해병대 가족들과 예비역 등 이 자주 찾기로 유명한 곳이다. 해병대는 45년 동안 청룡회관을 운영해 왔으나 회관 관리병 등 18명을 전투병력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난 2018년 7월부터 민간업체에 위탁 운영을 하고 있다. 호텔마린은 포항 제8경으로 선정된 연오랑 세오녀 테마파크가 도보 1분 거리에 해파랑 둘레길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차박의.. 2022. 10. 5. 보령성곽 · 보령관아문 충남 보령여행 보령을 여행하며 먼저 남포면에 있는 남포읍성과 남포관아문, 그리고 남포향교를 돌아보고 이어 보령성곽과 보령관아문으로 이동했다. 남포읍성에서 보령성곽까지는 17km 정도로 승용차로 약 10분 조금 더 걸렸다. 보령관아문 우측에 있는 공용주차장에 주차후 해산루와 보령읍성의 남아있는 성곽을 천천히 돌아보았다. 보령관아문이 있는 보령리는 백제때는 신촌현, 통일신라때는 신읍, 고려때는 보령현, 조선시대(1985)에는 보령군이라 했고 서기 1910년 보령,남포,오천의 3개군을 통합하여 보령군으로 하고 이곳에 군청을 두면서 읍내리라고 부르다가 1914년 군청이 대천으로 옮겨가자 주포면사무소 소재지가 되면서 신성리라 했고 1962년 1-월부터 보령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보령리는 예부터 지역 행정의 중심지로 보령성.. 2022. 10. 5. 포항 이가리 닻 전망대 포항여행 핫플레이스 이가리 닻 전망대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이가리 산68-3 번지 이가리 간이해수욕장 인근에 독도를 향해 있는 닻 모양의 전망대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포항의 핫플레이스다. 지난 2월 경북문화관광공사는 MZ세대를 겨냥해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사계절 웰니스 관광 50선’을 선정했는데 ‘여름 바캉스 10선’에 영일대해수욕장과 함께 이가리 닻 전망대가 선정되기도 했다. 전망대 도로 주변으로 조성되어 있는 주차장의 주차비와 입장료는 무료이고 오전 9시부터 이용할 수 있다. 이용 시간 전 일출 관람을 위해 전망대 내부로 입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강풍, 풍랑, 해일 등 기상특보 발효시에도 출입이 금지된다. 2020년 5월에 준공된 이가리 닻 전망대는 길이 102.. 2022. 10. 4. 남포읍성 · 남포관아문 충남 보령여행 충청남도 기념물 제10호 남포읍성 (藍浦邑城) 충청도 남포현 지역은 백제의 사포현(沙浦縣)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에 남포로 지명이 바뀌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독립된 군현이었다. 현재 충청남도 보령시의 남포면, 웅천읍, 주산면, 미산면, 성주면 일대를 관할하던 군현이었다. 남포읍성과 남포관아문을 9월 27일 방문했다. 남포읍성은 차령산맥 끝자락 평지에 쌓은 성으로 고려시대에 서해로 침입하는 외적을 막기위해 신성(羅城)을 쌓았고, 우왕때 석성으로 축성하여 공양왕 2년(1390년) 완성하고 군영을 설치하였다. 조선 태조 6년(1398년)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를 두어 현사를 겸하게 하였고, 서해로 출몰하는 왜구를 물리치고 민심을 바로 잡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길이 900m, 높이 3.5m 의 수직 성벽에 .. 2022. 10. 4. 김좌진장군 생가지 · 백야기념관 충남 홍성여행 대한독립군총사령관 백야 김좌진장군 묘를 참배하고 바로 김좌진장군의 생가지로 왔다. 보령시 청소면에 있는 김좌진장군 묘에서 홍성군 갈산면에 있는 김좌진장군 생가까지는 약 23km로 승용차로 약 25분정도 걸린다. 백야김좌진장군 생가지 및 기념관은 매년 1월 1일, 설, 추석 당일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은 휴관하며 관람시간은 09:00~17:00까지이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무료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다. 관람문의는 041-634-6952 / 630-9231 또한 백야 김좌진 장군 생가지에서는 방문시 상식도 넓히고 마음의 추억도 남길 수 있는 문화관광해설사의 유익한 전시관람해설을 제공하고 있다. 해설을 원하시는 분들은 현장에서 신청하시거나 전화상으로도 예약이 가능하다. 김좌진장군 .. 2022. 10. 4.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김좌진장군 묘 대한독립군총사령관(大韓獨立軍總司令官) 백야(白冶) 김좌진장군 묘(金佐鎭將軍 墓) 충청남도 기념물 제73호 감좌진(1889〜1930)장군의 무덤으로 원래 1940년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안장된 것을 1957년에 장군의 선산(先山)으로 옮긴 것이다. 장군의 호(號)는 백야(伯冶)이며, 갈산면 백야로 506번길(행산리)에서 태어났다. 18세에 호명학교(湖明學校) 세워 새로운 학문을 교육하였고, 1916년 광복단에 가담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3년간 옥고를 겪었다.1919년 3 ·1 독립운동 후 만주로 건너가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의 총사령관으로, 1920년 일본군을 맞아 청산리전투에서 3,000여 명의 일본군을 살상하는 전과를 올렸다.1925년 김혁(金赫)과 신민부(新民府) 조직하여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 2022. 10. 4. 남명 조식의 발자취를 따라 산청 조식 유적 남명기념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305호(1984년 1월 26일 지정) 산청 조식 유적은 조선시대의 학자인 남명 조식의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의 혼적을 볼 수 있는 사적지이다. 조식 유적은 사리와 원리 두 곳으로 나뉘어지 있다. 사리에는 산천재와 선생의 묘소, 신도비,여재실 등이 있고, 원리에는 덕천서원과 세심정이 있다. 산청 조식 유적 중 덕천서원과 산천재는 블로그에 먼저 소개했다. 그런데 경남 산청의 남명조식선생의 유적지를 돌아보다 보니 이정표에는 남명조식사적지, 안내판에는 산청 조식 유적, 남명 조식 유적지 등 다르게 표시하고 있어 찾아보니 문화재청과 산청군 홈페이지에 산청 조식 유적 (山淸 曺植 遺蹟) 으로 쓰고 있다. 조식유적에서 산청 조식 유적으로 명칭변경 되었다.(2011.07.28 고시) 남명은 지금의.. 2022. 10. 4.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