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4 울진 덕신리 고분공원 역사적으로 오래된 무덤인 고분은 그 생김새와 만든 방법을 통해 조성된 시대를 알 수 있으며, 거기서 나온 껴묻거리(부장품 副葬品)를 통해 조상들의 삶과 문화를 읽어낼 수 있다. 덕신리 고분공원은 신라시대 울진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잘 드러내 주는 문화공간으로 울진군 매화면 덕신리에서 발굴된 유적을 전시하기 위해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의 지원을 받아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 만들었다. 덕신리 고분군(德新里古墳群)은 원래 매화면 덕신리 후리 마을 옆의 산등성이와 계곡 일대에 있었는데, 국도 7호선을 4차선으로 넓히면서 발굴하게 되었다. 발굴조사는 2002년 6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능선부에서는 돌로 관의 보호곽을 만든 돌덧널 무덤(石鄕墓) 34기와 흙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관을 넣는 조.. 2023. 1. 21. 관동8경 울진 월송정 越松亭 관동팔경(關東八景)은 대관령의 동쪽이라 하여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 동해안에 있는 8개소의 명승지로 고성의 청간정(淸澗亭),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고성의 삼일포(三日浦), 삼척의 죽서루(竹西樓), 양양의 낙산사(洛山寺), 울진의 망양정(望洋亭), 통천의 총석정(叢石亭), 평해(平海)의 월송정(越松亭)을 말한다. 망양정과 월송정이 있는 울진은 원래 강원도에 속했으나 현재는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월송정으로 들어 가는 초입에 일주문이 세워지고 10년 가까이 현판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울진군청 도시새마을과와 울진문화원이 협력하여 2019년 10월에 관동팔경 월송정 현판을 걸었다. 현판의 글씨는 서예가 초사 신상구씨가 썼다. 일주문을 지나면 성단송전(城壇松田)이라 부르는 평해 황 씨 종중 숲이 있는데 .. 2023. 1. 21. 영덕 삼사해상산책로 7번 국도 입구 강구면 삼사리에 있는 삼사해상산책로는 영덕군이 2011년 어촌종합개발사업으로 삼사권역에 사업비 17억원을 투자해 동해안 최초로 설치한 길이 233m의 해양산책로다. 영덕 해상산책로는 영덕관광의 주 테마지가 되고 있는 강구항, 대게 상가, 해맞이 명소 삼사해상공원,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관광지 99’에 선정된 블루로드, 21C 레저 산업인 골프장과 조정(요트)면허 시험장이 있는 7번국도의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이 자연스럽게 접근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해수면에서 높이가 그다지 높지 않아 바위에 부딪힌 파도가 하얗게 부서지는 모습을 실감하며 해상산책로를 걷다 보면 때로는 거세게 부는 바람에 날려온 파도의 포말에 젖기도 하고 때로는 가까이 날아온 갈매기 부.. 2023. 1. 21. 영덕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장사상륙작전전승기념관 Memorial Hall of the Jangsa Landing Operation 4월 3일 독석리에 잠시 들린후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을 찾았다. 장사상륙작전전승기념관은 몇년전 학도병관련 취재로 인해 포항 학도병의용군기념관과 함께 들렸었는데 당시에는 기념관은 개관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에 토대를 마련하며 한국 전쟁사에 영원히 남을 전투로 역사속으로 사라질 뻔한 호국영웅들의 희생과 숭고한 뜻을 기리고자 건립된 장사상륙작전전승기념관은 영덕군이 3백24억원을 들여 2016년 조성했으나 하자 보수를 둘러싼 법적 분쟁으로 개관이 4년이나 지연되다가 2020년 6월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인천상륙작전을 앞두고 적을 교란하기 위해 감행된 양동작전인 장사상륙작전을 기리는 .. 2023. 1. 19. 영덕 대게공원 대게누리 포항에서 동해대로를 따라 영덕으로 올라가다 보면 포항과 영덕의 경계 지점인 남정면 부경리 도로 좌측 대게공원에 설치되어 있는 '대게누리'라는 대형 대게조형물이 반겨준다. 역시 대게의 고장답다. 영덕군이 2012년 대게의 고장에 걸맞는 특색있는 지역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1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대게조형물을 설치해 관광자원 확충은 물론 영덕 관문을 새로운 관광명소로 개발한 것이었다. 대게세상을 상징하는 대게누리는 영덕을 대게 원조의 고장임을 담기 위해 세상이라는 순우리말인 '누리'로 담아 함축적으로 표현했고, 대게누리 조형물의 높이는 15m, 너비는 36m 로 당시 국내 대게 조형물 중 가장 크다. 대형 대게조형물은 설치 당시 공모를 통해 대게누리(세상)라는 콘셉트로 선정되었고, 강풍 등 현장여건에.. 2023. 1. 19. 동해바다가 보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동해휴게소 동해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삼척방향으로 내려 가는 길 마지막 휴게소이자 '바다가 보이는 휴게소' 안내판에 끌려 동해휴게소(삼척방향)로 진입했다. 동해바다가 보이는 휴게소인지라 그런지 다른 휴게소와는 달리 고속도로상에서 조금 높은 언덕에 휴게소가 위치하고 있었다. 동해휴게소에서 동해바다를 바라보며 식사를 하기 전까지는 바닷가에서 인접한 곳이라 그저 어디서나 보는 바다 풍경이 보이는 정도겠지 했었는데 꽤나 멋진 바다 경관이 펼쳐진다. 바다가 보이는 휴게소 바다가 보이는 식당으로 들어가는 입구. 우측에 온다방은 로봇이 만들어 주는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무인 로봇 카페이다. 동해바다를 바라보며 식사를 하다 보면 휴게소 건물 아래 바닷가쪽으로 조성되어 있는 전망대로 아니 내려 가 볼수가 없다. 전망대에는 포토존, 소.. 2023. 1. 18. 국보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찾아서 - 울진봉평신라비전시관 포항에서 대관령을 오가는 이번 출장길에는 내려 오는 길에 울진지역의 문화재와 가볼만한 곳을 찾아 돌아 보았다. 수토사가 울릉도로 가는 순풍을 기다렸던 대풍헌, 관동8경의 하나인 월송정, 야경 명소인 은어다리, 덕신리고분공원과 함께 국보 제242호인 봉평리 신라비가 전시되어 있는 울진 봉평신라비전시관을 관람했다. 국내 최대의 비석전시관인 '울진 봉평신라비전시관'은 유교문화권 사업의 하나로 2001년부터 180억원을 들여 공사에 들어가 2011년 5월 준공한 뒤 임시개방해 오다가 6월 23일 정식 개관했다. 울진 봉평신라비전시관은 경북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번지 일원에 대지면적 41,732㎡, 전시관 건축 연면적 2,050㎡으로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이루어져있다. 울진 봉평리신라비전시관 입구에.. 2023. 1. 18. 울진 은어다리 몇년 전 포항에서 대관령으로 가는 출장길에 7번 국도 울진대교를 지나며 물고기 두마리가 마주 보고 있는 다리를 본 적이 있다. 일출 전 여명과 함께 보이는 다리가 너무 아름다워 울진을 지나는 길에는 꼭 가봐야 할 곳으로 정해둔 울진의 은어다리를 1월 17일 대관령에서 내려 오는 길 늦은 오후에 방문했다. 왕피천 하구를 가로지르고 청정 동해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보도교로, 전체 길이는 243m이며 49.28m, 53.3m 크기의 대형 은어 두 마리가 왕피천 하구를 건너 동해 바다로 가는 모습을 하고 있다. 울진 은어다리는 일출 명소이기도 하지만 울진군에 따르면 야간 경관 조성사업으로 울진 여행 쿄스 중 왕피천과 동해 바다의 멋진 야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야경 명소로 유명한 곳으로 울진읍내 왕피천공원 부.. 2023. 1. 18. 독도는 한국땅~~~~바람을 기다리는 집, 울진 대풍헌 아직도 일본은 독도를 지그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다. 최근에도 일본 외무상은 역사적 사실에 비춰 독도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며 영유권 주장을 반복했는데 나는 역시적 사실에 비춰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에게 독도는 분명히 한국땅임을 알려주고 싶다. 월송정에서 7변국도를 따라 가다 울진 구산항에 다다른다. 구산항은 인구소멸지역에 대한 어촌인구 유입을 위해 경북도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유휴어항 해양레저항 개발 공모사업에 선정된 곳으로 한반도에서 울릉도와 독도가 가장 가가운 곳으로 대풍헌이 있는 곳이다. 대풍헌이라는 이름은 '바람을 기다리는 집'이란 뜻으로 조선 후기에 구산포에서 울릉도로 가는 수토사들이 배를 띄우기 전에 순풍을 기다리며 항해를 준비하던 곳이었다. 수토사의 임무는 주민쇄출, 왜인탐색, .. 2023. 1. 18. 장수 봉화산 봉화정 봉화산로를 따라 남원에서 장수로 가다보면 남원시 아영면 성리에서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를 경계로 왕래했던 큰 고갯길인 치재가 있다. 봉화산(919.8m)을 끼고 751번 도로인 봉화산로를 돌고 돌아 치재를 넘다 보면 봉화산 남쪽 해발 700m에 자리 잡고 있는 봉화정을 만나게 된다. 봉화정에 대해 검색해보니 정확한 정보가 별로 없어 내부에 봉화정기 현판이라도 있는지 둘러보려 했으나 어느 커플들이 大자로 누워 낮잠을 자고 있다. 인기척을 냈지만 요지부동이라 정자에 오르지 못하고 말았다. 다만 봉화정 편액에 甲申秋 로 쓰여져 있으니 갑신년이면 1944년이나 2004년인데 정자의 상태로 보아서는 2004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봉화정에 올라 서면 장수물빛공원과 동화호가 시원하게 내려다 보인다. 봉화정에서 조.. 2023. 1. 16. 포항 도구해수욕장 야자수나무의 비밀 경북 포항시 포스코와 구룡포 해수욕장의 중간 지점인 포항시 동해면 도구리에 있는 도구해수욕장은 백사장길이 800m, 폭 50m, 넓이 31,107㎡의 규모로 하루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해수욕장이다. 연오랑세오녀의 전설이 서려 있고 포스코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므로 각급 학교와 일반 기업체의 하계수련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곳이다. 포항시는 영일대와 도구, 구룡포 등 지역 내 6개소 해수욕장을 해마다 7월 초부터 8월 중순까지 정기 개장하고 있다. 특히 명주조개의 서식지와 차박의 성지로도 알려져 있는 도구해수욕장도 연중 개방하고 있는 해수욕장이지만 현재 도구해수욕장은 힌남노 태풍피해 복구로 인해 잠정 폐쇄중이다. 포항을 찾는 관광객들은 민족의 기상이 서린 호랑이 꼬리 호미곶에서 일출.. 2023. 1. 15. 연오랑세오녀 설화를 찾아서 포항 일월사당 포항에 출장와서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포항지역의 대표적 역사 설화인 연오랑세오녀에 대한 관심이 많아 졌고 시간이 날때마다 연오랑세오녀 설화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 보고 있다. 오늘은 지난해 말 준공한 일월문화공원과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에 이어 일월사당을 소개한다. 포항시 남구 동해면 도구리 동해면 행정복지센터 뒤편 언덕 소나무 숲에는 사당이 하나 세워져 있는데 바로 '일월사당(日月祠堂)'이다. 이 사당은 삼국유사의 `연오랑 세오녀` 설화에 나오는 도기야(都祈野)로 추정되는 자리에 1985년에 세워진 것이다. 포항에는 연오랑세오녀 설화가 그대로 전해지는 마을로 일월동, 세계동, 광명동이 있고 도기야(都祈野)가 변한 도구리(都邱里)가 바로 이 곳이다. 연오랑세오녀 설화의 무대가 해와 달의 고장 일월향(.. 2023. 1. 12. 정몽주유허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포항시 남구 오천읍 지역은 포은 정몽주와 인연이 매우 깊은 곳이다. 포은의 본관이 오천인데 태어난 곳은 외가인 영천 임고로 알려져 있으나 혼례를 하면 어느 정도 처가에 거주하다 나중에 남편 집에 돌아가는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에 따라 포은도 외가 영천에서 태어나 일정 기간 그곳에 자랐지만 자신의 부친과 조상들이 대대로 살았던 본가 오천으로 돌아와 어린 시절을 보내고 다시 부모를 따라 영천으로 간 이야기가 오천 지역에 전해져 내려 오고 있다. 오천읍에는 포은과 관련해서 정몽주 유허비, 오천서원, 생가터, 상마암(승마암) 등 유적들이 남아 있는데 12월 29일 포항시 남구 오천읍 구정리에 있는 정몽주유허비를 찾았으나 잠겨 있었다. 유허비각이 있는 구정리는 영일군사 마을편에 옛날에 정승이 살았던 곳이라 하.. 2022. 12. 31. 포항함 체험관 포항함 체험관은 1984년에 취역해 2009년에 퇴역한 1,200톤급 함정 PCC-756 포항함을 체험관으로 활용한 것으로 포항 동빈내항에 2010년 6월 12일 포항 시민의 날에 개관했다. 포항해상공원 캐릭터테마파크를 돌아보고 인근 동빈큰다리 옆에 있는 포항함 체험관으로 향했다. 포항함 체험관의 연중무휴로 이용시간은 2월~10월 : 09:00 ~ 18:00, 11월~1월 : 09:00 ~ 17:00까지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포항함 관람문의 ☎ 054-231-3882 포항함 PCC-756 은 1987년 6월 24일 포항시와 자매결연을 맺으며 취역기간 동안 포항시와 많은 교류 관계를 가져온 인연으로 퇴역 후 동빈내항에 체험관으로 개관하게 된 것이다. 포항함은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앞바다에서.. 2022. 12. 30. 터닝메카드·헬로카봇 캐릭터가 있는 포항해상공원 캐릭터테마파크 포항 캐릭터 해상공원은 포항시가 해양수산부 연안 유휴지를 이용한 국민 여가 휴양지 조성 시범사업으로 선정되면서 2017년 4월 국내 최초 부력식 해상공원 방식으로 준공됐고, 가족단위 관광객과 전 세대를 흡수하는 체험형 캐릭터 테마파크로 포항시가 포항국제불빛축제를 앞두고 관광객들에게 더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2017년 7월 22일 임시 개장했다. 포항시가 차별화된 테마공원을 만들기 위해 민간사업자를 선정, 남구 송도동 동빈큰다리 옆 부력식 공원 위에 만든 캐릭터 해상공원은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터닝메카드, 헬로카봇, 소피루비, 가스파드 엣 리사 등의 캐릭터를 만날 수 있으며 화려한 음악분수와 스크린으로 아이들의 동심 자극 뿐만 아니라 여유로운 밤과 바다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포항해상공원은 개장.. 2022. 12. 29.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