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4

서천 장항 김인전공원 · 국민여가캠핑장 군산에서 금강하구둑을 지나 장항읍내로 가는 사거리 좌측에는 금강하구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근린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바로 '김인전공원' 이다. 특히 지난 5월에는 서천군이 김인전공원 바로 옆에 국민여가캠핑장 조성공사를 마치고 운영을 앞두고 있다. 경재 김인전선생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김인전선생찬 찬가'가 우측에는 '애국지사 경재 김인전선생 공적'이 새겨져 있다.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관리번호 23-2-43)로 김인전선생추모사업추진위원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경재 김인전 선생은 (1876년 10월 7일 〜 1923년 5월 12일) 충남 서천에서 태어났다. 1906년 가산을 정리하여 교육계몽운동의 일환으로 한영학교를 설립 하였으며, 1914년 독립운동 비밀결사회인 송죽형제회를 조직하고 1919년 3-1.. 2022. 9. 11.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하시모토농장사무소) 얼마전 블로그에 조정래의 대하소설 "아리랑'을 배경으로 한 김제시 죽산면에 있는 아리랑문학마을 을 소개한 적이 있다. 아리랑문학마을에는 일제강점기 민중의 생활을 대선하기 위한 시설 이라는 미명하에 민초들을 착취하고 탄압하던 주재소, 면사무소, 우체국, 정미소 등 일제수탈대표기관들이 재현되어 있다.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지대으로 불리는 김제시 일대에는 아직도 일제수탈기관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곳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곳이 죽산면 면소재지를 지나다 보면 도로 안쪽에 남아 있는 '하시모토 농장 사무실'이다. 2003년 6월 30일 국가등록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이다. ​ 金提 竹山里 舊 日本人 農場 事務所 Former Japanese Plantatio.. 2022. 9. 11.
태풍 힌남노 피해 복구 현장 - 포항 호미곶면 강사2리 태풍 힌남노가 휩쓸고 간 포항지역은 이제 곳곳에서 피해복구작업이 한창입니다. 어제는 포항시내 침수현장과 범람한 오천 냉천, 오천시장 등을 돌아보았는데 오늘(7일)은 육군의 대민지원작전을 취재하러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강사2리에 다녀왔습니다. 강사2리에는 육군 공병단의 굴삭기와 덤프트럭 등 피해 복구를 위한 공병장비 들이 긴급투입하여 피해복구 대민 지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육군 공병단의 공병장비들이 투입되고 있는 강수2리에 좀 일찍 도착하여 피해 현장을 돌아보았는데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강수2리는 하천이 범람하며 마을의 진입로가 붕괴되면서 차량통행도 불가능한 상황이었습니다. 일출로 687번길을 따라 올라가며 피해 현장을 둘러 보니 이번 태풍 피해가 생각보다 심해 작업이 쉽지는 아않겠지만 주민들이 희망을 .. 2022. 9. 7.
태풍 힌남노가 휩쓸고 간 포항 · 오천 냉천 범람 추석을 앞두고 찾아온 불청객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포항지역을 휩쓸고 지나갔습니다. 태풍 힌남노와 함께 밤새 400mm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진 포항지역은 이제 태풍은 빠져 나갔지만 다가오는 민족의 명절 추석보다는 피해 복구가 우선으로 보입니다.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휩쓸고 간 경북 포항과 경주지역에는 시간당 100mm 이상의 폭우가 쏟아지면서 급류에 휩쓸려 1명이 숨지고 침수와 정전 피해 등이 속출했습니다. 남구 오천읍 냉천 주변의 전봇대와 가로등이 쓰러지며 인근 지역은 정전 및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일부 신호등도 작동이 되고 있지 않고 있는 상태입니다. 붕괴된 제방은 신속한 복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오천읍을 가로질러 영일만 동해로 흘러가는 냉천에 이렇게 많은 물이 흘러 내려가는 것은 .. 2022. 9. 6.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경북 동해안 국가지질공원 경북 동해안 지질공원 달전리 주상절리Daljeonri Columnar Joints28번 일반국도를 따라 포항 자명리쪽으로 가는 길 도로변에 세워진 '달전리주상절리' 안내판을 발견하고 내륙에 있는 주상절리에 대한 궁금증에 좁은 마을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니 높이 약 20m, 길이 100m 의 거대한 주상절리가 나타난다.​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에서 형성되는 육각기둥 모양의 돌기둥을 말하는데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는 현무암질의 용암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용암이 빠르게 냉각되며 부피가 감소해 쪼개진 지질구조이다.달전리 주상절리는 포항시 남구 연일읍 달전리에 위치하며, 높이 약 20m, 길이 약 100m의 큰 규모를 가집니다. 이곳은 기존 채굴장으로 사용되고 있었지만, 주상절리가 발견된 이후 2000년.. 2022. 9. 5.
포항 형산강 상생인도교 임시개통 포항 형산강을 가로지르는 상생인도교가 지난 달 22일 임시개통했다.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고 있는 5일 형산강을 다시 찾아온 물수리를 만나보기 위해 형산강 고수부지를 찾았으나 티풍 힌남노에 대비하여 차량출입을 통제하고 있어 상생인도교를 걸어 보았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016년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336억원을 들여 포항 형산강 효자1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을 벌였으며, 이 사업을 통해 길이 380m, 폭 5m의 자전거도로 겸용 상생인도교의 건설로 형산강 남과 북을 연결하고, 형산강 남쪽의 경주와 이어지는 제방도로가 폭 10m로 확장됐다. 상생인도교 건설 현장은 천연기념물 201호로 지정된 물수리, 고니를 포함한 황조롱이, 청둥오리, 물닭 , 민물가마우치 등 90여종의 다양한 새들의 서식지로.. 2022. 9. 5.
만경대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전라남도 화순군의 동복 8경(同福八景)은 옹성효종(甕城曉鍾) 옹성산의 새벽 종소리, 고소어화(姑蘇漁火) 고소대의 밤 고기잡이 불, 모후제월(母后霽月) 모후산의 개인 하늘의 달, 적벽낙조(赤壁落照) 적벽에 비친 저녁 노을, 성산취연(星山翠烟) 성산의 푸른 연기, 삼산귀운(三山歸雲) 삼산에 돌아가는 구름, 봉황야우(鳳凰夜雨) 봉황대의 밤 비소리와 만경청류(萬頃淸流) 만경대의 맑은 시냇물을 칭하고 있다. 전남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만경대 바위에는 萬頃臺 甲子 七月日 이라고 새겨져 있다. 갑자(甲子)는 1564년이다. 화순 적벽 하류 동복호 관리사무소 아래에는 소동파의 적벽부에 나오는 만경창파(萬頃蒼波)에서 이름을 따온 만경대(萬頃臺)가 있는데 천연의 굴암과 안암바위 등이 있어 주변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 2022. 9. 4.
아산 자은영당 · 홍만조의 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에 있는 자은영당 (自隱影堂)은 홍만조(洪萬朝1645~1725)의 영정을 봉안한 조선 후기의 사당이다. 자은영당 바로 위쪽에는 홍만조의 묘가 있다. 자은영당은 경역 전체가 시멘트담으로 둘러져 있다. 외삼문 격인 경모문을 지나면 철제문이 있고 그 안 정면에 영당이 있으며 ‘자은영당’이라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영당의 바로 서쪽에는 추원각이 있다. 자은영당 주변은 잘 정비되어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10일 후손들이 모여 제향을 올리고 있다. 영당에 봉안하는 영정은 홍만조가 56세 때인 평안도관찰사 시기에 그린 영정을 일제강점기에 모사한 모사본이며 도난의 염려 때문에 제를 올릴 때만 건다. 원본은 훼손된 부분이 있어 별도로 보관하고 있다. [출처 디지털아산문화대전] 자은영당의 최초.. 2022. 9. 4.
군산 은파호수공원 은파저수지 · 미제지의 유래 지난 7월 10일 전북 군산시 은파공원 물빛다리광장 및 월명공원 전적비에서는 6·25전쟁 중 해병대가 첫 승리를 거둔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승 기념 및 추모제'가 해병대사령부와 해병대전우회 공동주관으로 거행됐었다. 전승기념행사를 마치고 추모제가 열리는 월명공윈으로 이동하기 전에 잠시 군산의 관광명소인 은파호수공원을 잠시 돌아보았다. 은파관광지는 본래 농업용 저수지였으나 저수지를 중심으로 인근의 작은 산들이 포함하여 2,578,524㎡가 1985년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고 순환도로가 완공되어 아흔아홉 구비라는 은파관광지의 주변을 드라이브하며 모두 구경할 수 있게 되었다. 봄철이 되면 화사한 벚꽃길로 유명하여 친구,가족,연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군산의 대표 관광명소이다. 또한 애기바우,중바우,개바우.. 2022. 9. 2.
예산 황새공원 · 천연기념물 멸종위기 야생동물 황새 전국에서 황새가 살기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선정된 예산군에는 2곳 이상의 황새 번식지가 확인되었고, 1970년대 이전까지 황새가 서식하였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예산군에는 삽교천, 무한천을 끼고 넓은 농경지와 범람원 습지가 발달되어 있어 최적의 황새 서식지로 평가받고 있다.​ 예산군은 황새의 한반도 야생복귀를 위해 2009년 문화재청의 황새마을조성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전국 최초로 예산황새공원을 조성하였으며 황새복원사업을 통해 황새와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건강한 자연생태계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010년부터 2014년까지 135,669m2 부지에 황새 문화관, 오픈장, 생태습지, 사육장을 갖춘 예산황새공원을 조성하였으며, 지난 2014년 6월 황새 60마리가 예산황새공원에 둥지를 틀었다. .. 2022. 8. 31.
포항 장기읍성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386호 포항시 장기면 읍내리, 동악산 동쪽 자락에 자리한 장기읍성은 일제강점기 당시 읍성 내의 모든 관아 건물들이 일본인들에 의해 파괴되고 단지 향교만이 주민들에 의해 복원 유지되고 있었고, 잡초에 묻힌 성벽은 허물어진 곳이 대부분이었으나 포항시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동안 134억원을 들여 성문과 건물터를 원형대로 복원하고 주차장을 설치하는 등 문화유적지 조성사업을 실시했다. 장기읍성은 「고려사」,「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현종 2년(1011) 토성으로 쌓았으나,조선 세종 21년(1439) 석성으로 재축한 후 군사기지 등으로 이용되었다. 성곽 전체 길이는 1,440m이고 3개의 성문과 옹성, 치성을 갖추고 있다. 장기읍성는 산꼭대기에 있으면서 읍을 다스리는 기능도 갖추고 있는 장기.. 2022. 8. 31.
포항 영일대해수욕장의 여름 입추와 처서도 지나고 여름이 가고 곧 있으면 이슬이 맺힌다는 백로가 다가온다. 여름이 지나 더위도 가시고 이제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며 무섭게 뜨거웠던 지난 여름 포항 영일대해수욕장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는 피서객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남긴다. 2022. 8. 30.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온 인류가 소중히 여기고 후세에 물려줘야 할 귀중한 자산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 서천갯벌은 지난해 7월 26일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 등과 함께 4개로 구성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됐다. 서천군의 해안선은 장항읍, 마서면, 종천면, 비인면, 서면의 5개 읍, 면에 걸쳐 72.5㎞에 달하며, 연안지역은 금강이 서해와 만나며 형성된 하구갯벌을 비롯하여 다양한 갯벌이 발달하여 있다. 서천의 갯벌은 모래갯벌, 펄 갯벌, 혼합갯벌, 자갈갯벌 등 다른 형태의 갯벌이 지형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살아 숨쉬는 생태계의 보고인 서천갯벌은 주민들에게는 삶의 터전이자 어린이들에게는 생태체험 학습장으로 어.. 2022. 8. 29.
서산 간월도 어리굴젓 기념탑 가수 조미미의 노래 '서산갯마을'의 무대인 간월도는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에 위치한 섬으로 천수만 한가운데 있다가 1980년대 천수만 간척지 개발사업으로 인해 육지와 연결되었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왕사인 무학대사가 달을 보고 깨달음을 얻었다고 해서 이름이 붙은 곳으로, 바로 옆에 낙조 명소인 간월암이 자리 잡고 있다. 굴이 유명하기로 소문난 간월도에 들어서면 먼저 어리굴젓 기념탑이 반겨준다. 1990년 세워진 이 기념탑은, 높이 15m 정도의 흰색 시멘트 탑 끝에 굴 모양의 조형물이 매달려 있고 기념탑 앞에는 굴을 채취하는 아낙네 세 명의 청동상도 세워져 있다. ​ 기념탑 앞에서는 매년 음력1월15일 만조시에는 굴풍년을 기원하는 간월도굴부르기 군왕제가 열린다. 부정을 타지 않은 아낙네들이 소복을 입고 .. 2022. 8. 29.
충남 예산 윤봉길의사 유적 · 윤봉길의사 기념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산온천로에 위치하고 있는 윤봉길의사 유적 내에는 기념관을 비롯해 어록탑, 동상, 사적비, 기념탑 등과 충의사, 광현당(생가), 저한당(성장가), 농촌부흥운동을 한 부흥원이 자리하고 있다. '매헌윤봉길의사사적지'였으나 2011년 7월 8일 고시에 의해 '예산 윤봉길 의사 유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968년 창건하였고 1972년 사적 제229호로 지정 받았으며 윤봉길의 유품 28종 56점이 보물 제568호로 지정되었다. 1974년에는 유물전시관을 건립하였고 1978년 충의문, 홍문 등을 세웠으며 충의사 건물을 중건하였다. 1984년 충의관 및 사적비, 2000년 윤봉길의사 어록탑, 2001년 윤봉길의사 기념관을 건립하였다.​관람시간은 하절기 09:00 ~ 18:00, 동절기 0.. 2022.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