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의 향교와 서원/전라북도31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고산향교 高山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고산향교 高山鄕校 고산향교는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읍내리(고산로 147-23)에 있는 조선 전기에 건립한 향교이다. 고산향교 외삼문을 들어서면 먼저 정면으로 명륜당이 보인다.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을 따랐다. 명륜당을 중심으로 뒷편에 동재와 서재가 있고 내삼문과 대성전이 자리잡고 있다. 외삼문-명륜당-내삼문-대성전을 하나의 축선상에 배치하여 뚜렷한 수직적 위계를 보여주고 있다. 고산향교는 태조 때 처음 세웠으나 정종 때 원인 모를 불로 모든 건물이 타버렸다. 그 뒤 향교를 복구하였지만 임진왜란 때 또다시 불타버렸다. 선조 34년(1601)부터 대성전을 비롯한 건물들을 다시 짓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상징하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또)’ 이라고.. 2021. 7. 8.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부안향교 홍살문을 지나 200여미터 올라가면 우측에 부안향교 주차장이 나온다. 위 사진들은 부안향교 주차장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외삼문은 보이지 않고 좌측에 보이는 단칸문인 출입문 우측 담장 앞으로 현감과 교수들의 공덕을 기리는 많은 비석들이 옮겨져 세워져 있다. 부안향교는 올라가는 입구부터 경사가 심한 편이라 석축과 돌계단이 많다. 향교로 들어서는 출입문 바로 뒤에도 만화루가 바짝 붙어 위치해 있는데 아마도 보수 과정에서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부안향교 경내에는 대성전과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 서재, 양사재, 전사각, 진덕재, 만화루 등이 있다. 명륜당은 대성전과 함께 조선 태종 14년(1414)에 처음 지었으나,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에 다시 지었으며, .. 2021. 7. 3.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 [한국의 서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정읍 무성서원 井邑 武城書院 무성서원은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돈암서원과 함께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가 세계유산협약에 따라 인류를 위해 보호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일람표에 2019년 7월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됐다.무성서원은 신라말(886년) 태산태수로 부임하여 8년간 선정을 베푼 고운 최치원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생사당(감사나 수령의 선정을 찬양하는 표시로 그가 살아 있을 때부터 백성들이 제사 지내는 사당)을 세운데서 유래하였다.​1615년 건립하여 태산서원이라 했는데 1696년(숙종 22) 무성서원이라 사액되었다. 무성서원은 예(禮)와 악(樂)으로 백성을 교화한 선비문화의 중심.. 2021. 6.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정읍 고부향교 古阜鄕校 ​ 전주에서 몇일 쉬는 틈에 한국의 향교중 전라북도에 있는 향교 중에 아직 촬영하지 못한 곳을 마무리 하기로 하고 정읍지역을 목표로 출발했다. 가는 길에 김제 금구향교를 거쳐 태인향교 - 고부향교 - 정읍향교 순으로 돌아 본 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한국의 서원으로 등재된 정읍 칠보의 무성서원에도 들렸다. 고부향교는 1403년(태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7년(선조 30) 현재의 위치로 옮겨 중건하였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74호로 19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대성전으로 향하는 높은 돌계단 위의 내삼문이 보인다. 돌계단을 .. 2021. 6.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태인의병 주둔지 태인향교 泰仁鄕校 태인향교는 1421년(세종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태인면 서쪽 3리 지점에 창건되었다. 1510년(중종5)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그 뒤 복원하였다. ​ 태인향교는 최익현 의병장이 이끄는 태인의병이 며무르며 전력을 강화 하였던 곳으로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이기도 하다. 최익현은 1900년 4월 충청남도 정산으로 내려와 있다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전라북도 태인으로 내려가 1906년 6월 4일 임병찬과 함께 무성서원에서 태인의병을 일으켰다. 태인의병이 곧바로 태인읍으로 진격하자 태인군수는 의병의 기세에 눌려 달아났다. 태인의병은 태인향교에 머무르면.. 2021. 6. 2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 금구향교 金溝鄕校 금구향교는 평지에 건설되었으나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배치가 좀 특이하다. 만화루의 문은 개방을 하고 있지 않고 있고 좌측 주차장쪽에 외삼문이 있는데 외삼문을 들어서면 좌측에 대성전이 우측에 명륜당이 마주보고 자리잡고 있다. 6월 22일 방문한 김제 금구향교는 대성전과 명륜당 지붕 보수공사중 이었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3호인 금구향교 대성전은 이곳 대성전은 공자를 모신 사당이다. 조선왕조는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나라에서 각 지방에 향교라는 학교를 세우고 그 안에 대성전을 두어 유학을 장려하였다. 금구향교는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금구 동쪽 변두리에 처음 세웠다.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서혈산(西趙山) 아래에 다시 세웠으나, 지.. 2021. 6. 2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향교 金堤鄕校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김제향교 金堤鄕校 김제향교는 1404년(태종 4)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35년(인조 13)에 중건하였으며, 그 뒤 몇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동재(東齋)·서재(西齋)·만화루(萬化樓)·교직사(校直舍)·내삼문(內三門) 등이 있다. ​ 명륜당은 임진왜란 때에 소실된 것을 1842년에 보수하고 1879년에 중수하였으나 6·25사변 때 다시 소실된 것을 1958년에 복구하였으며, 정면 5칸, 측면 3칸의 고주(高柱)집으로 되어 있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며, 만화루는 2층 누각인데 임진왜란 때에 .. 2021. 6. 4.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무주향교 茂朱鄕校 무주향교 茂朱鄕校 ​Mujuhyanggyo Confucian School 2021년 5월 19일 포항출장에서 전주로 오는 길은 황간향교-월류봉-영동향교-무주향교를 돌아보는 코스로 정했다. 무주향교는 지난달 보물로 지정예고 되었던 무주 한풍루 방문후에 들렸다. 무주향교는 한풍루에서 차량으로 약 5분거리의 무주읍내 단천로 도로변에 위치하고 있다. 무주향교는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원래 무주 관아 북쪽에 있었으나,호랑이의 행패가 심하여 조선 숙종 18년(1692) 김동신(金夢臣)이 향로산 서쪽으로 옮겼다. 그러나 그곳의 땅이 습하다고 하여,다시 순조 32년(1832) 이헌승(李憲承)이 지금의 위치에 새로 지었다. 경내에는 강당인 명륜.. 2021. 5. 20.
진안 삼천서원 묘정비 진안 삼천서원 묘정비 ​三川書院廟廷碑진안 유일의 사액서원(조선시대 왕으로부터 편액(扁額)·서적·토지·노비 등을 하사받아 그 권위를 인정받은 서원)으로 널리 알려졌던 삼천서원은 옛터가 용담호에 수몰되었고 서원 묘정비는 전라북도 진안군 용담면 망향의 동상 태고정 옆에 옮겨져 세워져있고 현판은 용담향교에 보관되어 있고, 교재용 목판은 진안역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삼천서원 묘정비는 2016년 12월 28일 진안군의 향토문화유산(유형) 제1호로 지정되었다.묘정비는 삼천서원의 건립 경위와 제향 인물의 행적을 적은 비로, 서원비(書院碑)라고도 한다. 삼천서원은 진안군에서 유일한 사액서원(賜額書院)이다. 사액서원이란 조선시대에 왕이 서원의 이름을 지어주고 현판과 노비, 서적 등을 내려준 서원을 말한다. 삼천서원은 .. 2021. 4. 27.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순창향교 淳昌鄕校 600년 넘는 역사를 간직한 순창향교 淳昌鄕校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68호 전라북도 순창군 교성1길 13 2021년 4월 11일 방문했다. 순창향교는 방문객들이 언제든지 관람을 할 수 있도록 상시 개방을 하고 있다고 했다. 순창향교 바로 앞에는 단군의 초상을 모신 단성전과 옥천양사재가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 최근에는 식육식당을 건립하려는 부지가 6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순창향교와 인근의 단성전, 사마재 등 과 바로 인접한 곳이어서 지역 유림을 비롯한 유관단체의 신축 반대 목소리가 크게 일고 있는 듯 하다. 순창향교 대성전 淳昌鄕校大成殿 Daeseongjeon Shrine in Sunchang Hyanggyo ​ 대성전은 공자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다섯 성인과 주자등 중국 송나라의 .. 2021. 4. 15.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군산 문창서원 文昌書院 문창서원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옥구향교 경내 우측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자천대와 마주 보는 곳에 담장으로 둘러싸인 정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자천대에서 소요했다는 최치원 선생을 모신 사당인데 시호인 문창후를 서원명으로 쓴 것이다. 현재 걸려있는 문창서원이라는 편액은 신해년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고 한다. 최치원선생은 신라시대 옥구현에서 태어나 후에 관리로 근무한 적이 있다는 구전이 전해지고 있다.자천대 紫泉臺 Jacheondae Pavilion​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6호 Jeollabuk-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116자천대는 통일신라 말기의 문장가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노닐며 독서했던 누각이라 전한다. 자천대라는 이름.. 2021. 4. 12.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전주향교 全州鄕校 전주향교 全州鄕校 Jeonjuhyanggyo Confucian School ① 만화루 Manwharu Pavilion ② 일월문 Ilwolmun Gate ③ 동무 Dongmu (Estern House) ④ 서무 Seomu (Western House) ⑤ 대성전 Daeseongjeon Shrine ⑥ 명륜당 Myeongnyundang Lecture Hall ⑦ 동재 Dongjae (Estern House) ⑧ 서재 Seojae (Western House) ⑨ 계성사 Gyeseongsa Shrine ⑩ 입덕문 Ipdeokmun Gate ⑪ 장판각 Jangpangak ⑫ 화장실 Toilet 全州鄕校는 고려 공민왕 3년(서기 1354년) 풍남동 경기전 북편에 건립되었다가 조선 태종 10년(서기 1410년)에 태..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남원향교 南原鄕校 남원향교 南原鄕校 Namwonhyanggyo confucian school 남원향교는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길 43 (향교동)에 위치한 조선 전기에 창건된 향교로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8호로 1971년 12월 2일 지정되었다. 남원향교는 1410년(태종 10)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부(府)의 서쪽인 대곡산(大谷山) 기슭에 창건하였다. 향사(享祀) 때마다 호랑이의 침해가 있는 까닭에 1428년 부의 동쪽 덕음봉(德蔭峰) 밑으로 이건하였다가, 홍수 때 길이 막히는 일이 많아 1443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 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복원되었다. 1599년에 진사 유인옥(柳仁沃)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이 대성전과 동무(東廡)·서무(西廡)를 중건하..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임실향교 任實鄕校 임실향교 任實鄕校 Imsilhyanggyo Confucian School 임실향교는 임실읍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서면 임실읍 일부가 한눈에 들어온다.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창건 연대와 당시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현 위치에 이건된 것은 1413년(태종 13)이다. 향교에는 공자를 모시는 대성전이 있고 대성전 앞에 동재와 서재가 복원되어 있다. 대성전 앞의 두 그루 소나무가 역사를 알려주기라도 하듯 고풍스럽게 서 있고, 동재 옆의 은행나무는 500년이 넘은 수령을 뽐내고 있다. 임실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이곳에서 여행의 참뜻을 새겨볼 만하다. 임실향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6호로 1084년 4월 1일 지정되었다. 임실향교는 1413년(태종 13)에 .. 2021. 3. 23.
[한국의 향교 전라북도] 옥구향교 沃溝鄕校 옥구향교 沃溝鄕校 Okguhyanggyo Confucian School 옥구향교(沃溝鄕校)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상평리(上坪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1403년(태종 3)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현의 교동에서 1484년(성종 15) 광월루(光月樓 : 현재의 상평리)로 이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46년(인조 24) 현재의 위치로 이전, 복원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된 대성전,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된 명륜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전지재(典池齋), 정면 4칸, 측면 2칸의 양사재(養士齋), 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교직사(校直舍) 등이 있다. 특히 이 향.. 2021. 3.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