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64

전주향교 만화루 全州鄕校 萬化樓 지금가지 전국의 향교를 탐방하며  향교에 있는 누각들의  명칭을 보면 만화루(萬化樓)와 풍화루(風化樓)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것 같다. 전라북도의 향교 중 누각이 있는 향교는 부안향교, 김제향교, 금구향교, 태인향교, 남원향교가 있는데 모두 만화루 편액을 단 누각을 두고 있고 남원향교는 진강루라 한다. 만화루는 공자지도 만물화생(孔子之道萬物化生) 이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인데, 뜻은 공자님의 도로 만물이 교화된다는 말이다. ‘풍화’는 풍속을 교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전주향교는 홍살문과 만화루,일월문, 대성전,명륜당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전묘후학(前廟後學)의 배치방식으로 건립되어 있다. 경사지에 건립된 향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쪽 높은 곳에  두는 전학후묘(前學 後廟)의 배.. 2024. 10. 10.
은진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恩津鄕校)는 2021년 11월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당시는 문이 닫혀 있어 담 넘어로 구경만 하고 돌아와야 했었습니다. 그래서 2024년 10월 2일 오후 탑정호로 가는 길에 다시 들려보았는데 이날은 음력 9월 삭분향례를 봉행하는 날이었기에 마침 분향례를 마치고 뒷정리를 하고 있어 은진향교를 잠시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논산지역에는 연산향교, 노성향교, 은진향교가 있고 공자의 유상(遺像)을 봉안한 노성 궐리사(충청남도 기념물 제20호)가 있습니다.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hyanggyo.tist.. 2024. 10. 8.
고남패총박물관 - 충남 태안 안면도 패총(貝塚)은 석기시대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질이 쌓여 만들어진 유적으로 그 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곳입니다. 고남패총박물관이 위치한 고남면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조성되었던 패총유적들이 1980년대부터 곳곳에서 조사되어 당시 사람들의 삶의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는 곳입니다. 고남패총박물관은 2002년에 개관 하였으며, 고남 패총에서 발굴 조사된 유적 및 유물을 전시 소개하고 있습니다. 고남리 패총유적은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에 위치하고 있는 선사시대 조개더미 유적으로, 1988년부터 한양대학교 박물관이 연차 발굴하여 신석기·청동기 시대의 다양한 유구, 유물들이 출토 되었습니다. 발굴 조사 결과 토기, 석기, 뼈 연모, 조가비 장신구 등 다양한 연모들이 나왔고, 야외 화덕자리.. 2024. 10. 8.
안면도 영목항 전망대 원산안면대교 보령해저터널 충남 보령 신흑동에서 원산도에 이르는 총연장 6.927㎞의 보령해저터널은 2021년 12월 개통한 국내 해저터널 중 가장 긴 해저터널입니다.​보령해저터널을 이용하여 안면도로 가는 길, 원산안면대교의 개통으로 보령시 대천해수욕장과 태안군 안면도 영목항의 거리는 95km에서 14km로, 소요시간은 90분에서 10분으로 크게 단축된 것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국도77호선 보령 원산도와 태안 안면도를 연결하는 원산안면대교는 전국 6번째인 1.8㎞ 길이에 왕복 4차로 규모의 해상교량이으로 지난 2010년 12월부터 9년 간 2082억 원이 투입되어 개통되었습니다. 원산안면대교를 지나면 바로 좌측으로 과거 땅끝마을이던 고남지역의 새로운 발전과 번영을 상징하는 태안군의 새로운 랜드마크인 안면도 영목항 전망대가 웅장한 .. 2024. 10. 8.
진천향교 한국의 향교 164 충청북도 진천 진천향교 鎭川鄕校 Jincheon Hyangyo Confucian School 진천향교(鎭川鄕校)는 순조 4년(1804)에 다락문의 형태로 지은 풍화루(風化樓)가 외삼문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풍속을 교화하는 곳'이라는 뜻이 담긴 풍화루는 창건 당시에는 없었으나 1804년(순조 4) 이 지방의 유지였던 최흡이 사재를 털어 세웠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풍화루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의 솟을삼문 형태의 2층 누각으로 동재와 서재의 역할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향교 건축에서 외삼문을 누문으로 만든 곳은 자주 볼 수 있지만 충청북도 지역에서는 드문 예에 속합니다.  먼저 소개해 드린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안성향교도 풍화루가 외삼문의 역활을 하고 있는 같은 형태인데 조선시대 중·후기에 건립된.. 2024. 10. 8.
안성향교 한국의 향교 163 경기도 안성 안성향교( 安城鄕校)는 몇년 전 지나는 길에 들렸으나 문이 닫혀 있어 관람을 하지 못했는데 지난 10월 6일 아침 안성향교를 잠시 돌아 볼 수 있었다. 안성향교는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풍화루(제2092호)와 대성전(제2091호)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되었다.우라니라의 문루 중 가장 큰 11칸 규모의 풍화루가 반겨주는 안성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우|해 나라에서 세운 지방 교육기관이다. 양민효로 이상이면 향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시나 문장을 짓는 사장학(詞章學)과 유교의 경전 및 역사를 공부하는 경학원평이 주요 교육내용이었다. 향교는 고을 크기에 따라 학생 수를 조정하였는데 대체로 군에서는 50명, 현.. 2024. 10. 7.
용인8경 어비낙조 · 어비울실향민망향정 · 어비울비각 방목마을은 용인군 하동촌면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고기가 살 찐 마을이라 해서 어비울 어비촌 어비동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 남촌면에 속하던 방목동 수역을 합하여 어비리라고 하여 이동면에 편입시켰다.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어비리에는 농업 관개를 위해서 1964년에 착공하여 1972년에 축조된 경기도에서 가장 큰 저수지인 이동저수지가  넓은 분지 속에 위치하고 있다.  송전저수지라고도 한다.  이동저수지를 따라 개설된 314번 지방도(어진로)를 가다 보면 어비1리 방목마을에 '어비낙조' 촬영명소인 방목정이 세워져 있고 해질 녘에 노을 풍경을 볼 수 있는 곳이 있는데 용인8경 중 제8경인 '어비낙조'다.  여기에서 조금 더 내려가다 보면 이동저수지 앞 도로변에 어비울실향민망향정과 어비울비각이 .. 2024. 10. 7.
논산 탑정호 수변생태공원 음악분수 출렁다리 탑정호는 일제강점기인 1941년 3월에 착공되어 3년여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44년 8월 31일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가야곡면·양촌면 일원에 준공된 농업용 저수지입니다.충청남도에서 두 번째로 큰 저수지로 광석면·성동면·채운면과 강경읍에 걸쳐 있는 논강평야의 농업용수와 논산 지역 상수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둔산과 금산군 남이휴양림 및 전라북도 완주군 고당면 병암리에서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로 흐르는 물이 가야곡면과 부적면 탑정리에 모이도록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상수원 활용을 중단하고 지금은 농업용수로만 이용하고 있습니다.자연과 예술이 함께 공존하는 논산의 새로운 랜드마크 탑정호 출렁다리 충남 논산 탑정호에는 동양 최대 길이의 출렁다리가 있습니다.2018년 8월 30일 착공하여 2020년 10월 15일에 .. 2024. 10. 5.
전주 전동성당 미디어파사드 '빛의 동행' 2024 전주문화제야행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의 대표 관광명소인 한옥마을 전동성당에서 화려하고 웅장한 빛의 향연이 펼쳐졌다. 전주시는 10월 한 달간 전동성당에서 '빛의 동행: 함께 빛으로 춤추는 전주'를 주제로 미디어파사드를 무료 공연하고 있다.10월에 펼쳐지는 전주페스타와 제22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등으로 방문객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고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하고자 기획된 이번 공연은 전동성당 외벽을 스크린 삼아 현대적 기술을 접목한 빛과 음악, 역동적인 뉴미디어 영상을 통해 전주와 문화적 정체성을 알리는 데 중점을 뒀다. 전주의 빛을 깨우다, 전주의 즐거움을 펼치다, 빛으로 전주를 비비다, 전주의 빛으로 성당을 빚다, 내일의 전주를 빛으로 그리다 등 5개 세부 주제와 다양한 영상 기법으로 전주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공.. 2024. 10. 5.
논산 탑정호 수문 개방 충남 논산시 가야곡면 종연리에 있는 탑정호가 10월 2일  수문 6개 중 1개를 개방하여 물을 하류로 방류하고 있다. 탑정호 수문 개방 유튜브 쇼츠 2024. 10. 4.
전북특별자치도 10월 축제 안내 전북특별자치도 10월 축제 안내  - 김제지평선축제 10월 2일(수)~10월 6일(일)- 제1회 장수달돋이 페스티벌 10월 3일(목)~10월 4일(금)- 곰소젓갈축제 10월3일 ~10월 5일(토)- 제55회 익산 마한문화대전 10월 3일(목)~10월 5일(토)- 2024 남원야행 10월 3일(목)~10월 6일(일)- 국제드론제전 10월 3일(목)~10월 6일(일) 남원종합스포츠타운- 진안홍삼축제 10월 3일(목)~10월6일(일)- 임실N치즈축제 10월 3일(목)~10월6일(일) - 군산 시간여행축제 10월 3일(목)~10월6일(일)- 제17회 정읍 구절초 꽃축제 10월 3일(목)~10월13일(일) - 전주페스타 10월 3일(목)~10월26일(토) 전주종합경기장- 2024 전주문화유산야행, 다 같이 전주마.. 2024. 10. 4.
성주도씨 종중문서 일괄 - 한국의 보물 충청남도 논산 성주도씨 종중문서 일괄 보물 제724호성주도씨종중문서를 찾아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 132에 도착하니 넓은 주차공간이 있고 출입문인 양의문 앞에는 국가지정 보물 표지석과 문화재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 있는 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星州都氏 宗中 文書 一括)은 조선 태조 때 도응에게 발급된 사령왕지(辭令王旨)와 녹패(祿牌)로 구성된 5매의 고문서로 1981년 7월 15일 보물 제724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성주도씨 종중 문서 일괄(星州都氏 宗中 文書 一括)은 조선 태조 2년(1393)부터 6년(1397)까지 도응(都膺) 에게 하사한 사령왕지 4매와 녹패 등 5매의 고문서이다. 도응.. 2024. 10. 4.
구룡대 체력단련장 육군체력단련장 구룡대골프장 육군 체력단련장은 현재 계룡대, 구룡대, 자운대, 남성대, 창공대, 함안대, 무열대, 선봉대, 비승대, 사자대, 상무대, 충성대 체력단련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육군체력단련장 이용 안내는 블로그에 소개해 드린 '육군체력단련장 홈페이지 육군골프장 실시간예약' 을 참고해 주시고 오늘은 구룡대체력단련장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구룡대체력단련장은 원래는 1990년 10월 6일부터 운영되어 온 계룡대체력단련장에 1999년 10월 1일 구룡코스 9홀이 추가 되어 27홀 체제로 운영되다가 2012년 6월 30일 구룡코스 9홀이 증축되어 36홀 체제로 운영되었습니다. 이후 2016년 5월 1일부터 계룡대와 구룡대체력단련장으로 분리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구룡대 체력단련장은 계룡산 줄기에 얽혀있는 숫용추와 암용추의 전설과 백.. 2024. 10. 3.
수리부엉이 - 군산시 회현면 수리부엉이 Eagle owlBubo bubo (Linnaeus, 1758)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천연기념물 제324-2호 2024. 10. 3.
익산 여산초등학교 · 여산 독립만세 운동 기념비 한반도의 단전부근에 해당하는 여산은 호남고속도로와 1번 국도가 통과하는 호남의 최초 관문으로 충남 논산시 연무읍과 경계를 이루고 남으로는 왕궁면 서로는 금마, 낭산면 서북으로는 망성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여산에는육군의 정예부사관 육성의 요람인  육군부사관학교가 있어 자주 들렸던 곳이기도 하다. 선사시대(구석기)부터취락이 형성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礪(숫돌여)山은 농경시대에 유용한 숫돌이 많이 나는 산으로 불리었다. 마한시대에는 여래비리국으로 백제시대에는 지량초현으로 알아산현으로, 통일 신라부터 여량현과 여산현으로 이어져 왔다. 조선시대 태종2년 낭산현 병합한 여산현(礪山縣)은 세종18년 충청도 예속으로 군으로 승격하였고 세종26년에는 전라도로 환원됐다. 숙종25년 (1669년).. 2024. 10.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