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68

부안 변산반도 전망 좋은 곳 모항경관졸음쉼터 전망대 부안 격포에서 곰소항 쪽으로 가기 위해서 네이게이션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해안도로가 아닌 737번 지방도인 마포로로 안내를 한다. 좀 더 빠르게 갈 수는 있겠지만 변산반도 해안도로는 포기해야 한다. 그러나 마포교차로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마동삼거리까지 이어지는 변산로를 이용하게 되면  해안도로를 따라 다시 청자로와 이어지며 곰소항 쪽으로 갈 수 있다. 부안상록해수욕장과 일몰 명소인 솔섬, 모항해수욕장, 국립변산자연휴양을 지나면 언덕에 모항경관졸음쉼터가 나온다. 이 길을 지나는 대부분의 차들이 쉬었다 가는 전망 좋은 곳이다. 모항경관졸음쉼터에는 전망대와 화장실, 전망데크, 흔들그네, 포토존 등 이 조성되어 있다. 2024. 9. 24.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③ 야외전시장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은 고려 말 최무선 장군이 함포를 만들어 왜선을 500여 척이나 물리쳤던 진포대첩을 기념하기 위하여 2008년에 개관한 해양공원입니다. 항만을 끼고 있는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지금은 쓰지 않는 군대 장비 13종 16대를 볼 수 있고 월남전 등에 투입되었던 위봉함을 비롯한 해군함정, 장갑차, 자주포, 전투기 등 나라를 지키기 위해 최일선에서 활동하다가 퇴역한 육,해,공군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위봉함 내부에는 진포대첩 모형과 당시에 쓰였던 무기, 최무선 장군이 만든 화포이야기, 군함 병영 생활 체험 등을 전시해놓은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가등록문화재인 군산 내항의 호안시설과 뜬다리 부두도 볼 수 있습니다.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① 군산항 뜬다리 부두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은.. 2024. 9. 24.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② 위봉함 LST 676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은 고려 말 최무선 장군이 함포를 만들어 왜선을 500여 척이나 물리쳤던 진포대첩을 기념하기 위하여 2008년에 개관한 해양공원입니다. 항만을 끼고 있는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지금은 쓰지 않는 군대 장비 13종 16대를 볼 수 있고 월남전 등에 투입되었던 위봉함을 비롯한 해군함정, 장갑차, 자주포, 전투기 등 나라를 지키기 위해 최일선에서 활동하다가 퇴역한 육,해,공군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위봉함 내부에는 진포대첩 모형과 당시에 쓰였던 무기, 최무선 장군이 만든 화포이야기, 군함 병영 생활 체험 등을 전시해놓은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국가등록문화재인 군산 내항의 호안시설과 뜬다리 부두도 볼 수 있습니다.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① 군산항 뜬다리 부두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은 .. 2024. 9. 24.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 ① 군산항 뜬다리 부두 군산 진포해양테마공원은 고려 말 최무선 장군이 함포를 만들어 왜선을 500여 척이나 물리쳤던 진포대첩을 기념하기 위하여 2008년에 개관한 해양공원입니다. 항만을 끼고 있는 광활한 바다를 배경으로 지금은 쓰지 않는 군대 장비 13종 16대를 볼 수 있고 월남전 등에 투입되었던 위봉함을 비롯한 해군함정, 장갑차, 자주포, 전투기 등 나라를 지키기 위해 최일선에서 활동하다가 퇴역한 육,해,공군 장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위봉함 내부에는 진포대첩 모형과 당시에 쓰였던 무기, 최무선 장군이 만든 화포이야기, 군함 병영 생활 체험 등을 전시해놓은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습니다.진포해양테마공원에 들어서면 먼저 국가등록문화유산인 군산항 내항 호안시설과  뜬다리를 볼 수 있습니다. 호안시설이란 강이나 바다의 기슭이나 둑.. 2024. 9. 24.
군산 빈해원 짬뽕특화거리 2024 군산짬뽕축제 근대기 군산에 정착한 화교 문화를 보여 주는 대표적 건축물인 군산 빈해원(濱海園)은 1965년 콘크리트와 벽돌을 사용하여 지은 2층 건물로 1~2층이 개방된 내부공간과 각층에 여러 개의 방이 있는 독특한 구조입니다. 군산 빈해원은 한국전쟁 이후 군산에 정착한 화교가 운영하는 중국음식점으로 1950년대 초 개업한 이후 1965년 현재 건물로 이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음식점에 걸려 있는 장식, 주방용품, 생활용품 등에서 화교 문화의 변화를 엿볼 수 있습니다.  물짜장으로 유명한 빈해원은 군산에서 가장 오래된 중국 음식점으로 2018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영업 중인 식당이 문화재로 등록되기는 일제강점기 때 건립된 고창 조양식당을 제외하면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전국.. 2024. 9. 23.
격포 채석강 격포 채석강 유튜브  부안 격포해수욕장 채석강부안 변산반도 해안도로인 변산해변로를 따라 올라가는 길 부안청자박물관과 내소사를 거쳐 분안의 대표 관광지인 격포해수욕장 격포 채석강에 도착했다. ​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기념물 제28hyanggyo.tistory.com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채석강은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12만 7372㎡이며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 격포항 오른쪽 닭이봉 밑에 있다. 옛 수군(水軍)의 근거지이며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관하의 격포진(格浦鎭)이 있던 곳이다. 퇴적암층이 절경인 격포 채석강은 기암괴석들과 수천 수 만권의 책을 차곡차곡 포개 놓.. 2024. 9. 23.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 군산에 오는 지인들의 군산여행를 안내를 하며 먼저 경암동 철길로 안내했다.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은 아래 링크된 포스팅에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군산시간여행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7월 10일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승 및 추모행사가 열리는 군산시 월명공원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앞에서 잠시 기다리던 중 울창한 나무 아래에 있는 벤치 옆에 세워진hyanggyo.tistory.com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 유튜브 쇼츠 2024. 9. 23.
대구관광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회 - 동대구역 동대구역에서 시간이 좀 남아 있어 역내를 돌아보다 보니 대구관광사진공모전 수상작 전시회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전시기간은 2024년 9월 7일(토)부터 22일(일)까지로 따뜻한 시선으로 포착한 아름다운 풍경, 일상을 여행으로 만드는 마법같은 순간, 순간의 아름다움이 영원의 프레임 속으로 들어온 2023 대구관광사진공모전 수상작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대구의 일상, 매 순간이 여행이 되다 Moment in DAEGU대구시와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이 대구의 주요 관광지, 문화재 및 관광 자원을 발굴해 대구관광 홍보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 '2023 대구관광사진공모전'을 개최했고 공모전에는 총 1천63점의 작품이 출품돼 관계자와 전문가 등 2차례의 심사를 거쳐 대상 1점(대구시장상), 금상 2점, 은상 3점 등 총 4.. 2024. 9. 21.
동대구역 박정희 광장 동대구역 광장에서 잠시 쉬다 보니 논란이 되고 있는 '박정희 광장' 표지판이 눈에 들어온다.대구시가 지난 8월 14일 동대구역 광장을 '박정희 광장'으로 명명하고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여 설치한 폭 0.8m, 높이 5m의 '박정희 광장' 표지판이다. 표지판에는 한글로 ‘박정희 광장’이라는 문구가 박 전 대통령의 친필 사체로 쓰여져 있고 상단에 사진과 함께 ‘Park Jeong Hee’라는 영문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표지판의 박정희 전 대통령 영문 이름 중 ‘정’자 표기에 논란이 있었는데 ‘Jeong’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고 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을 비롯한 시청, 시의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제막식에서 홍 시장은 “박 전 대통령의 산업화 정신을 지금의 대구와 대한민국을 있게 한 원동력이라 할 수 .. 2024. 9. 21.
부산 칠암붕장어마을 칠암사계 소금빵 추석 연휴 기간 중 부산에서 보낸 짧은 시간 동안 해운대 엘시티 랜드마크타워의 엑스더스카이 전망대를 관람하고 포항으로 가는 길 내가 빵을 좋아하는 빵식이라는 것을 아는 친구가  기장군 일광읍에 있는  '칠암사계'를 꼭 들려 보라고 하여 네이게이션 목적지를 설정 일찍 출발했다. 이미 전국에 소문난 맛집이라 늦으면 웨이팅이 많아 한참을 기다려야 한다고 해서...............칠암사계는 일광항 칠암붕장어마을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도착해보니 아직 오픈하기 전이었다. 10시부터 영업을 시작한다고 하니 한시간을 넘게 기다려야 해서  그 유명하다는 칠암사계 소금빵을 맛보는 것은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침암사계가 있는 칠암항은 칠암 붕장어 마을로도 유명한 곳으로 붕장어 전문 식당이 밀집해 있다. 이곳 칠암마을에서는.. 2024. 9. 18.
부산 해운대 엘시티 102층 랜드마크타워 엑스더스카이 전망대 '부산엑스더스카이'는 국내에서 두 번째로 높은 411.6m 엘시티 랜드마크타워의 98~100층에 들어서 있다. 각 층마다 해운대 해변과 광안대교, 부산항대교, 달맞이고개, 동백섬 등 부산의 주요 관광 명소를 조망할 수 있는 '부산엑스더스카이'는 2020년 7월 19일 공식 개장했다.부산 해운대 엑스더스카이는 2023~2034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됐다,부산 엑스더스카이의 운영 시간은 월~일요일 10:00~21:00까지이다. (주중, 주말/공휴일 동일)입장요금은 대인(만 13세 이상)은 27,000원이고 소인(36개월 이상 ~ 만12세 이하)은 24,000원 이다. 에어부산 탑승객 대상으로 2024년 `12월 31일까지 전망대 입장료 25% 현장 할인이 적용되고 있다. 중복 할인은 불가. ​통신사 할인을.. 2024. 9. 18.
오달마가 반겨주는 포항 오어사 갑진년 한가위 아침 오어사는 숙소에서 10분 정도 거리의 가까운 곳 있어 출장 중 쉬는 날이면 가끔 들리는 곳입니다. 올해 갑진년 한가위는 포항에서 보내게 되어 아침 일찍 운제산 오어사에 들렸습니다. 오어사는 언제 들려도 멋진 사찰입니다.주변에 데크로드와 맨발로 등 오어지 둘레길이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하기에도 아주 좋은 힐링 코스입니다. 오어사에는 두마리의 강아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어사 경내에 들어서니 작은 오달마가 꼬리를 흔들며 반겨 줍니다. 신라시대의 원효(元曉) 대사와 혜공(傒空) 선사의 일화를 품은 오어사(五魚寺)의 추석 날 아침 풍경을 아이폰으로 몇장 담아 봤습니다. 오어사에 대한 소개는 블로그에 '그대 정말 오어사에 와보셨나요' 와 '원효가 다녀간 그 길 위에 서다, 포항 오어사"에 소개해 드렸으니 .. 2024. 9. 17.
파주 임진각 관광지 평화누리공원 임진각 망배단 · 잃어버린 30년 망향의 노래비매년 추석이 되면 임진각 망배단에서는 명절에도 고향에 갈 수 없는 실향민과 이산가족들이 합동 차례상을 차려 북녘을 향해 헌화하며 차례를 지내며 실향의 아픔과 한을 달래는 실향민 합동hyanggyo.tistory.com 2024. 9. 16.
임진각 망배단 · 잃어버린 30년 망향의 노래비 매년 추석이 되면 임진각 망배단에서는 명절에도 고향에 갈 수 없는 실향민과 이산가족들이 합동 차례상을 차려 북녘을 향해 헌화하며 차례를 지내며 실향의 아픔과 한을 달래는 실향민 합동 경모 대회가 열린다. 조국이 애국선열의 독립투쟁과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1455년 8월 15일 일제 36년의 압제로부터 해방되어 그 감격과 흥분이 채 가시기도 전에 우리 민족의 염원과는 무관하게 강대국의 일방적 결정에 의하여 33선이 그어져 수천년간 통일국가였던 이 나라가 남북 분단의 비운을 맞게 되었고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과 북한공산집단의 박해와 잔학한 만행을 피하여 대대로 살아오던 고향산천을 떠나 자유를 찾아 남하한 5백만 실향민들은 매년 추석절이면 임진각에 임시제단을 설치하고 북녘에 두고 온 부모와 조상에 대한 경.. 2024. 9. 16.
경주 독립유공자 최준(崔浚)선생 생가 경주 최부자댁 경주최부자댁에 대해서는 블로그에 소개한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독립유공자 최준 선생 생가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최부자 집안은 무려 3백년 동안 만석의 재산을 유지했고 많은 선행과 독립운동의 후원자역할을 통하여 부자로서는 드물게 존경과 칭송을 받은 가문으로 최준 선생은  9대 진사 12대 만석의 마지막 부자이다. 경주 최부자댁 고택은  1971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최준 선생은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후 10여 년이 지난 1983년 국가유공자로 추서됐다.문파(次敢) 최준(崔浚, 1884 〜 1970) 선생은 이른바 9대 진사 12대 만석의 마지막 부자로 이곳 교촌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영남의 대지주(大地主)로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回復團)과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 군자금을 제공하는 등 독립운동을 .. 2024. 9.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