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향교202

공주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49 충청남도 공주 10월 21일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211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공주향교를 방문했다. 지난번 방문때는 코로나-19 기간중이라 개방을 하지 않고 있어 내부 관람을 하지 못하고 돌아 왔었다.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공주향교 公州鄕校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인 공주향교는 조선시대에 성현과 유학자(孔子와 四聖. 孔門10哲. 宋朝6賢. 우리나라18賢)의 위패를 모시고 석전대석전대hyanggyo.tistory.com충청도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향교인 공주향교는 13()1년 (고려 충렬왕 27)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데,원래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으나 1622년(광해군 14)에 화재로 건물이 소실되자 1623년(인조 1) 순찰사 신감과 목사 송흥주가 사당을 현재의 .. 2023. 10. 24.
전주향교,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 '낙락풍류, 전주' 실시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성균관 유교문화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유교지원국고보조금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는 성균관 유교문화활성화사업 전주향교의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은 '낙락풍류,전주'라는 주제로 경기도 양주지역 유림 및 일반인 4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다양한 체험 및 관광프로그램으로 16일부터 17일까지 1박2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 참가자들은 먼저 전주향교에서 선비복을 입고 향사례 등 다양한 유교문화 체험과 함께 전주한옥마을의 경기전, 전동성당,오목대, 한벽루 등을 관광하고, 국립무형유산원을 방문 문화공연을 관람하며 우리문화 유산의 우수성과 특별함을 보고 즐기는 시간을 가졌다. 전주향교의 2023 향교·서원.. 2023. 8. 20.
진잠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48 대전광역시 2021년 11월 대전에 들렸을때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었는데 2023년 8월 17일 진잠향교를 방문했다. 234개의 향교 가운데 148번째 방문한 향교이다.​현재 대전광역시 향역에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가 남아 있다. 진잠향교는 조선시대인 1405년(태종 5)에 창건되어 회덕향교와 함께 대전 지역 유학의 산실이 되어왔다. 진잠향교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교촌동 630-1전지 낮은 야산 기슭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하는 전학후묘의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향교 좌측 주차장 안쪽에는 강의실과 사무국으로 사용되는 양영루가 있다.하마비는 궁궐의 정문 밖, 종묘 입구에 세웠으며, 성균관을 비롯한 각 지방의 문묘 밖 홍살문에 세워.. 2023. 8. 18.
예산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예산 6월 19일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교길 31 (향천리)에 있는 예산향교(禮山鄕校)를 방문했다. 예산향교(전교 손석호)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예산군 향역에는 예산읍의 예산향교와 함께 대흥면 대흥향교, 덕산면 덕산향교가 있다. 예산향교가 처음 세워진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지만,조선 초 각 지방 군현에 향교를 세웠던 1413년(태종13)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안내하고 있다.향교는 유학을 가르치기 위해 국가가 설립한 조선 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시나 문장을 짓는 법과 유교의 경전과 역사를 가르치는 곳이자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갑오개혁 이후 교육 기능은 사라졌으나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초하루와 보름에 향을 피워 지금도 옛 성.. 2023. 6. 29.
대흥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예산 한국에 남아 있는 234개 향교 탐방을 목표로 현재 약 150여 곳의 향교를 다녀왔다.지난주에는 도고온천에서 있었던 세미나에 다녀오며 예산군에 있는 대흥향교와 예산향교, 아산 신창향교와 홍성 홍주향교를 방문했다. 예당호조각공원에서 대흥향교가 있는 교촌리로 가는 길 예당호느린호수길의 나무데크가 차를 먼추게 한다. 2018년에 준공된 예당호 느린호수길은 예산군이 예당호 주변에 4.7km 길이의 나무 데크로드를 설치해 관광객들에게 천혜의 관광자원인 예당호의 경관을 보며 몸과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산책로를 설치했다.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에 있는 대흥향교는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예당호를 끼고 달리는 616번 지방도에서 교촌1리로 들어가는 좁은 농로를 따라 마을회관에 도착.. 2023. 6. 27.
신창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충청남도 아산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234개 향교 탐방을 목표로 현재 약 150여 곳의 향교를 다녀왔다. 지난주 도고온천에서 있었던 세미나에 다녀오며 아산 신창향교, 예산 대흥향교와 예산향교, 그리고 홍성 홍주향교를 방문했다. 아산시 향역에는 신창향교와 온양향교, 아산향교가 있다.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3호로 지정된 신창향교(전교 조광희)는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신창초등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다.신창향교는 조선 숙종 때 지어졌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기록이 없고, 신창 현감 왕경열이 조선 고종 9년(1872)에 관학 강화 정책에 따라 도고산에 있던 운주사(雲主寺)를 향교로 옮겨 지은 것이라고 한다. 향교는 조선 시대 관립 교육 기관으로 고을마다 세워졌다.신창향교는 외삼문 없이 명륜당을 앞쪽.. 2023. 6. 26.
전주향교 홍살문 중수 전주향교 홍살문이 2023년 4월 중수됐다. 전주향교를 찾아 오시는 관광객들은 대부분 만화루를 거쳐 향교로 출입을 하기 때문에 전주향교 관람의 시작인 홍살문과 하마비를 놓치지 쉽다. 전주향교 홍살문과 하마비는 만화루 정면 약 80미터 지점 전주천 방향에 자리잡고 있다. 홍살문은 왜 세웠을까? 홍살문은 신라시대에 처음 만들어졌고, 조선 유교시대 출입문의 상징인 나무 건축물로, 9m 이상 둥근기둥 양쪽위에, 화살모양의 뾰쭉한 나무를 박아 연결하고, 가운데는 삼지창(三枝槍)을 설치했다. 건축 구조는 붉은색을 칠하고 화살나무의 나무살이다. 홍살문을 새우는 것은 붉은 색은 악귀를, 화살과 삼지창은 나뿐액을 공격한다는 의미로 향교(鄕校) · 서원(書院) · 능(陵) · 충신(忠臣) · 열녀(烈女) · 효자(孝子) .. 2023. 4. 26.
전국 234개 향교 중 두 곳 뿐인 전주향교 계성사 啓聖詞 계성사(啓聖詞)는 5성위인 공자,안자,증자,자사,맹자의 아버지 의패를 모신 사당으로 전국 234개소의 향교중에 유일하게 전주향교와 제주향교에만 있다. 오늘은 먼저 전주향교 계성사와 계성사제를 소개한다. 계성사 건물은 전면 3칸 건평 11.6평으로 서기 1741년(영조17년) 판관 송달보가 건립하였고, 상량문은 정광 이기보가 썼다고 '완산지'에 기록되어 있다. 전주향교 계성사는 따로 삼문이 있으나 평시에는 개방하지 않고 있다. 전주향교 만화루나 입덕문으로 들어가 계성사 오른쪽에 있는 협문을 이용하여 출입할 수 있다. 계성사는 따로 삼문이 있고 주위를 담으로 쌓아 별도의 공간으로 구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원래는 대성전 동쪽에 있었으나 1929년 철도가 건설되며(지금의 기린로는 옛 전라선 철길이었다.) 계성사.. 2023. 4. 23.
양천향교 - 한국의 향교 서울특별시 4월 14일 서울 출장길에 일찍 도착하여 강서구 가양동에 있는 양천향교에 들렸다. 1990년 6월 18일 서울특별시 문화재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된 양천향교는 서울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하나뿐인 향교이고, 현재 양천향교 전교이신 안순복 전교는 향교 역사상 처음으로 취임한 여성 전교이다. 이번 출장길은 대중교통을 이용했기에 지하철로 이동했다.양천향교는 지하철9호선 '양천향교역' 에서 2번 출구로 나가 5~10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양천향교에 도착하기 전 '양천현아지' 를 잠시 돌아 보았다. 양천(陽川)이라는 고을의 명칭은 1310년(고려 충선왕 2년)으로부터 시작되는데 가양동 239번지에 있었던 양천현아는 중앙에 현청(동헌)인 종해헌, 그 동쪽에는 객사인 파릉관, 북쪽에는 향교가 있었다고 한다. 이를 일.. 2023. 4. 16.
전주향교, 음력 2월 삭(朔) 분향례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3월22일(수) 오전 10시 전주향교 대성전에서 음력 2월 삭(朔) 분향례를 봉행했다. 이번 분향례는 대성전 분향관에 최인열 전교, 당상집례 임규열, 당하집례 이존한, 찬인 홍의겸, 봉향 김동련, 봉로 장봉근, 동무분향관은 김승방 前 유도회장. 찬인 홍병기, 봉향 최창식, 봉로 이용원, 서무분향관은 소재오, 찬인 라성흠, 봉향 김관식, 봉로는 서승열 유림이 맡아 복무했다. 분향례후에는 6·25 한국전쟁 당시 많은 병력을 파견한 ‘형제국’ 튀르키예와 시리아의 지진 대참사의 아픔을 같이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 전북지사에 성금 100만원을 전달했다. 전주향교 유림들은 지난달 28일 춘기석전대제 때 헌성금을 대신해 튀르키예와 시리아 지진피해 성금함을 설치하고 100만 원을 모금했다. 최인.. 2023. 3. 22.
고령향교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고령 고령 읍내 연조리 연조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는 고령향교는 주산 기슭에 동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고령지역을 지나며 몇번 들렸었는데 외삼문이 잠겨 있고 연락도 안되고 있어 내부 관람을 아직 하지 못했다.최근에는 개방에 적극적인 향교가 늘어나고 있다. 외삼문이 활짝 열려 있는 고령향교를 기대해 본다.고령향교는 1413년(태종 13) 주산 아래에 처음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때 불에 타자 관음사 뒤편에 중건하였다.  1702년(숙종 27) 현감 구문유가 현 위치로 이건하였고, 1819년(순조 19) 현감 권중이가 중수하였다. 이곳은 대가야시대에는 궁성,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에는 물산사(勿山寺)라는 사찰, 조선시대에는 향교가 건립된 고령에서 가장 유서 깊은 역사의 현장이다. 고령향고는 1990년 8월 7일 경상북.. 2023. 3. 21.
전주향교 공부자탄강 2574년 춘기석전대제 봉행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2월28일(음력 2월9일) 오전 10시 문묘에서 공기 2574년 춘기석전대제를 봉행했다. 전주향교가 주관하고 전주시가 후원한 이번 춘기석전대제는 외부인사 초청없이 헌관 및 제관 등 유림 70여명과 전주시민, 관광객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봉행됐다. 석전은 오전 10시 김문태(당상)와 임기준(당하)의 집례로 전폐례,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분헌례, 음복례, 망료례의 순으로 엄숙하게 진행됐다. 특히 전주향교는 석전대제에 앞서 五聖의 考位를 모신 啓聖祠에서 계성사제를 봉행해 왔으나 이번에는 공사중으로 모시지 못했다. 계성사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주향교와 제주향교에서만 석전대제 전에 봉행하고 있다. 또한 전주향교는 매년 불우이웃돕기 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석전대제에 앞서 튀르.. 2023. 3. 1.
온양향교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아산 아산 외암마을을 한바퀴 돌아보고 약 3.5km로 거리 자동차로는 5분정도 소요되는 온양향교로 향했다. 아산시 향역에는 온양향교와 아산향교,신창향교가 있는데 아산향교는 작년 여름에 들려 블로그에 소개 했었다. 현재의 온양향교는 온양의 외각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향교에서 200여미터 거리에 온주아문과 동헌이 있어 예전에는 이 곳이 온양의 읍내였음을 알 수 있다. 온양향교의 입구에는 홍살문과 그 우측으로 하마비가 세워져 있고 솟을삼문 형식의 외삼문이 있는데 외삼문중앙에는 온양향교 현판이 걸려있다.홍살문 좌측 비포장 공간에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듯한 공터가 있다. 그런데 온양향교의 하마비는 글씨체가 좀 특이하다. 하마비에는 보통 下馬碑 또는 大小人員皆下馬, 大小人員下馬 라고 새겨져 있는데 나의 짧은 한자 실.. 2023. 2. 12.
기장향교 - 한국의 향교 부산 오랫만에 향교를 방문했다. 날씨 관계로 좀 뜸했었는데 이번에 방문한 부산 기장향교가 아마도 234개의 향교 중 150번째 방문하는 향교가 될 듯하다. 부산광역시에는 동래향교와 기장향교가 있다. 기장향교는 1996년 5월 25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기장항교는 세종 22년(1440)에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 등올 받아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지방의 중등교육 및 지방인을 교화하기 위해 지어졌다. 임진왜란 때 없어졌다가 광해군 9년(1617)에 복원되었으며, 지금 남아있는 경내의 건물은 대부분 이때 만들어진 것이다.​기장 향교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 양식으로, 앞쪽에는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명륜당을 두었고, 뒤쪽에는 선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두었다. 명륜당의 좌우에는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 2023. 2. 6.
전주향교에 눈이 내리면...전주향교 설경 전주한옥마을 전주향교 2022년 12월 18일 봄이 왔음을 알리는 산수유는 겨울에는 붉은 열매로 다시 피어난다. 전주향교의 산수유나무에도 눈이 소복히 쌓여 있다. 2022. 1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