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향교202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노성향교 魯城鄕校 ② 노성향교는 충남 논산시 노성면 노성산성길 54 (교촌리)에 위치하고 있다.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됐다.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니산현은 1777년(정조 1) ‘니산’이 정조의 이름과 같다 하여 고을 이름을 이성(尼城)으로 고쳤으며 1800년(정조 24) 8월 20일 이성을 다시 노성으로 고쳐 노성현이 되었다고 한다. 노성향교는 올해 3월 우중에 한번 들렸었으나 11월 27일 은진향교를 들리며 한번 더 돌아보았다. 한번 더 돌아보는 향교는 좀 더 디테일하게 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지만 일부 향교를 제외하고는 아직 대부분의 향교는 문이 굳게 닫혀 있다. .. 2021. 11. 29.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 은진향교 논산지역의 읍치구역은 노성현(니산현), 연산현, 은진현의 관아지가 남아 있고 논산 향역에도 노상향교, 연산향교, 은진향교가 남아 있다. 고려 우왕때 세워진 은진향교는 충남 논산시 은진면 탑정로 427번길 14-1에 위치하고 있으며 충청남도 기념물 제120호로 로 1997년 12월 23일 지정되었다. 2021년 11월 27일 방문했으나 외삼문과 협문 모두 닫혀 있었다.조선후기 지방지도인 은진지도에 보면 남쪽에 향교가 표시되어 있는데 군현지도에 일반적으로 건물 하나에 향교라고 적는데 이 지도에서는 특이하게도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까지 다 그려져 있다. 향교 왼쪽이 관촉사다. 은진향교 - 한국의 향교 충청남도 논산은진향교(恩津鄕校)는 2021년 11월에 방문한 적이 있는데 당시는 문이 닫혀 있어 담 .. 2021. 11. 29. 이천향교 한국의 향교 경기도 이천 이천향교 利川鄕校경기도 이천시 향교로 1(창전동 336) 망현산 밑에 자리잡고 있는 이천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2호로 1983년 9월 129일 지정된 조선 초기의 향교이다. 2021년 11월 20일(일) 오전에 방문했으나 개방은 하지 않고 있었다.이천 향교(利川鄕校)는 조선 초기 태종(太宗)2년 (1402년)에 감무(監務) 변인달이 부임하여 문묘 대성전을 세우고 첫 제향을 하였다고 한다. 이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세종 26년(1444) 이후에 이천향교는 관헌(官憲)이 교수(敎授) 1인을 두었고 교생(敎生) 정원은 90명이었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이 지은 이천신치향교기에 의하면 신사년(1401) 봄 감무로 부임해 온 변인달이 지금의 안흥동에 있던 안흥정사(安興精舍)에서 학생들을 모아 가르치고 있.. 2021. 11. 22. [한국의 향교 대전광역시] 회덕향교 11월 2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육군 M&S 국제학술대회 취재를 마치고 대전광역시 향역에 있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다. 대전광역시 대전로 1397 번안길126에 위치한 회덕향교는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로 조선시대 초기의 소설위 향교이나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고 있었다. 회덕향교는 조선초기에 세웠는데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1600년(선조 33)경에 다시 세웠고,그 후 1812년(순조 12) 가을에 크게 고쳐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는 입구쪽에 홍살문, 그 뒤에 솟을삼문형으로 된 외삼문을 세웠다. 대문 바로 안쪽 건물에는 중앙으로 통행할 수 있는 문을 두었고,문의 동쪽 건물에 제향를 준비하는 전사청을,서쪽에 공부하던 서재를 배치하였.. 2021. 11. 3. [한국의 향교 세종시] 전의향교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북촌1길 5-18(읍내리)에 위치한 전의향교는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전의 향교는 언제 처음 지 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조선 태종 7년(1407)에서 태종 13년(1413) 사이에 동교리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숙종 8년(1684)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 으로,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이 향교에는 공자와 중국의 성현,우리나라 역대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드리는 대성전과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던 명륜당이 .. 2021. 10. 26. [한국의 향교 경상북도] 상주향교 대성전과 동서무가 2020년 12월 28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96호로 지정되는 경사를 맞았던 상주향교를 다녀왔다. 상주향교는 기록상으로 고려 고종 34년(1247년)에 '향교'라는 용어가 최자(1188∼1260)의 『보한집』(하)에 기록되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음이 확인되어 현존 향교 중에서 상주향교가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세워졌다고 할 수 있다. 대설위 상주향교는 고려 992년(성종 11)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문헌상에는 상주목사를 지낸 최자(崔滋)가 지은 보한집(補閑集)에, 1247년(고종 34) 상주향교의 제생들이 가시(歌詩)를 지어 받쳤다는 기록이 있어, 현존 향교 중 가장 이른 시기이다. 1484년(성종 15)에는 목사 강구손(美龜孫)이 성전(聖殿)과 재(齋) • 루(權)를 중수하였으나.. 2021. 10. 26.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곡성향교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교촌리 190번지에 위치한 곡성향교는 1984년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 향교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하고자 나라에서 세운 교육 기관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학문을 공부하는 두 가지 기능을 담당하던 곳이다. 곡성 향교는 조선이 건국되고 나서 바로 세웠을 것으로 사료되나 기록은 자세하지 않다. 중종 25년(1530)에 간행된「신중동국여지승람」 곡성현 학교조에 처음 기록이 보인다. 선조 30년(1597)에 일어난 정유재란으로 피해를 입어 여러 차쾌에 걸쳐 전반적으로 다시 짓거나 고쳐 지었으며 1956년에는 명륜당을 고쳐 지었다. 건물은 대성전, 내삼문, 명름당, 동재, 서재, 전사청, 교직사등을 갖추고 있다. 대성전은 공자와 우.. 2021. 10. 25.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장성향교 10월 11일 방문한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고려 말에 창건된 향교인 장성향교(長城鄕校)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1985년 2월 25일 지정)이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장성향교는 태조 3년(1394)에 오산리에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없어져 선조 33년(1600)에 장안리로 옮겨지었다. 이때 진원현이 장성현과 합해짐에 따라 진원리에 있던 진원향교를 없애고, 장성향교에 합치게 되었다. 효종 9년(1658)에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명륜당ㆍ동재ㆍ서재ㆍ대성전ㆍ내삼문 등과 부속건물들이 있다.경사지에 자리잡은 장성향교는 앞쪽 낮은 터에는 출입.. 2021. 10. 12. 광주향교 한국의 향교 광주광역시 光州鄕校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광주향교(光州鄕校)는 광주광역시의 구도심이라 할 수 있는 전남도청이 있는 남구 구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로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이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전국의 각 지방에 설립된 관립 교육기관으로 공자를 비롯한 중국과 우리나라의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인재를 양성하고 유풍(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해 건립된 향교는 큰 도시의 경우 대부분 구도심에 위치하고 있다. 향교비각해설향교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전국의 주, 부, 군, 현 마다 건립되어 교육의 중추적 기능 수행은 물론 지역공동체의 풍속을 순화하는데 기여.. 2021. 10. 12. [한국의 향교 전라남도] 담양향교 명륜당 10월의 황금같은 연휴가 이어진 두번째 대체공휴일의 마지막날인 11일 연이은 가을장마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에 들리며 광주향교 - 창평향교 - 담양향교 - 장성향교를 경유했다. 담양향교(潭陽鄕校)는 문이 닫혀 있어 관람은 하지 못했고 명륜당만 바라보고 왔다. 인근에 있는 관광명소들과 연계하여 활용되면 좋을텐데 왜 문을 굳게 닫아만 놓는지 아쉽기만 하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담양향교는 관방천이 내려다보이는 산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창건 연대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담양향교지에 의하면, 조선 태조 7년(1398)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그 후 정조 18년(1794)부사 이헌유가 다시 세웠고, 순조 7년(1807)에는 부사 안정헌이 고쳐지었으며, 순조때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남북으로 .. 2021. 10. 12. 영월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영월 寧越鄕校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26일 방문했던 평창향교와 정선향교는 문이 닫혀 있었으나 영월향교는 마침 교직사에 관리인이 계셔서 잠시 돌아 볼 수 있었다. 영월향교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0호로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2리 892번지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영월향교 寧越鄕校 Yeongwol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향교는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제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이다. 영월향교는 1398년(태조7)에 설.. 2021. 10. 10. 정선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정선 旌善鄕校 정선향교 旌善鄕校 eongseon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정선향교는 이번 향교 탐방중에 가장 아쉬운 곳이었다. 문이 닫혀있어 외삼문 옆 담장넘어로 보이는 명륜당만 보고 돌아왔으니~~~~ 담장옆으로 한바퀴 돌아 볼 수도 없었다.강원 정선군 정선읍 비봉로 67-9(봉양리)에 위치한 정선향교는 1985년 1월 17일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01호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향교이다.향교는 조선시대에 각 지방에 설치.. 2021. 10. 8. 평창향교 - 한국의 향교 강원도 평창 평창향교 平昌鄕校 Pyeongchanghyanggyo Local Confucain School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 - 강릉향교를 방문하고 26일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를 취재후 돌아오며 평창향교 - 정선향교 - 영월향교를 경유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01호(1985년 1월 17일 지정)로 강원 평창군 평창읍 향교길 148 (하리)에 위치한 평창향교는 정문격인 풍화루는 굳게 닫혀 있었고 돌아보니 협문도 모두 닫혀 있다. 최근 개방을 하고 있는 향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대부분의 향교가 개방에는 아직 소극적이다. 살아 숨쉬는 향교·서원 활성화 사업과 지역 문화재 활용사업이 계속되고.. 2021. 10. 7. 강릉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강릉 江陵鄕校 강릉향교 江陵鄕校 Gangreung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9호인 강릉향교는 9월 25일 포항에서 평창을 가며 평해향교 - 울진향교 - 삼척향교 - 동해향교를 경유하며 마지막으로 들렸다.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상주하고 계시던 김남철 사무국장님께서 안내해 주셨다. 강릉향교는 역사가 있는 건물로 가장 잘 정제된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방식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는 향교의 규범이 되는 향교이다. 한국전쟁 때에도 건물이 불타지 않아 옛 규모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강릉향교 명륜당과 강릉향교 동무·서무·전랑은 2020년 12월 29일 보물로 지정됐다.향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각 지방에 설치된 국립 교육기관으로, 성현에 대한 재사와 유학교육을 담당하던 곳.. 2021. 10. 4. 동해향교 한국의 향교 강원도 동해 東海鄕校 동해향교 東海鄕校 Donghae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동해향교는 우리나라의 234개 향교 중 1994년에 가장 마지막으로 창건된 신생 향교로서, 전학후묘에 39위를 봉안한 대성전과 명륜당 등 9동의 건물과 승용차 300대 규모의 대형주차장, 만리장성 같은 담장에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오죽을 무성하게 가꿔 교궁의 구조와 규모가 전통적임과 동시에 현대적이도록 배합되어 있다.1980년 명주군의 묵호리과 삼척군의 북평리를 병합하면서 동해시가 발족되고, 이에 따라 두 지방에 각기 편입되어 있던 유림들이 1990년에 동해유림을 결성하게 되었는데, 동해향교는 사도창달과 지방문화발전을 위한 구심점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필요성과 동해유림의 독자적인 진로를 모색하기 위하여 창건되.. 2021. 10. 4.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