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470 지리산국립공원전북사무소, 정령치 주차장 9월 전면폐쇄 지리산국립공원전북사무소(소장 윤대원)는 지리산국립공원내 정령치 주차장을 오는 9월 1일부터 9월 30일(현장 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까지 전면 폐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리산국립공원 ‘정령치 주차장 정비공사’ 시행에 따른 조치로, 노면 정비 및 친환경 주차공간 조성 등 시설물 전면 개선을 위함이다. 지리산국립공원 가을 성수기 많은 탐방객 방문이 예상되는 바, 10월 일부 주차공간 개방을 목표로 공사를 조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양경열 탐방시설과장은 “한동안 불편을 겪을 수 있겠지만 더 나은 탐방 편의시설 제공을 위한 정비공사인 만큼, 지리산국립공원 정령치 일원을 방문하는 탐방객들의 많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2023. 8. 29. 전주향교,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 '낙락풍류, 전주' 실시 전주향교(전교 최인열)는 성균관 유교문화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유교지원국고보조금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는 성균관 유교문화활성화사업 전주향교의 '2023 향교·서원 문화관광 프로그램'은 '낙락풍류,전주'라는 주제로 경기도 양주지역 유림 및 일반인 4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다양한 체험 및 관광프로그램으로 16일부터 17일까지 1박2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 참가자들은 먼저 전주향교에서 선비복을 입고 향사례 등 다양한 유교문화 체험과 함께 전주한옥마을의 경기전, 전동성당,오목대, 한벽루 등을 관광하고, 국립무형유산원을 방문 문화공연을 관람하며 우리문화 유산의 우수성과 특별함을 보고 즐기는 시간을 가졌다. 전주향교의 2023 향교·서원.. 2023. 8. 20. 진잠향교 - 한국의 향교 탐방 148 대전광역시 2021년 11월 대전에 들렸을때 진잠향교와 회덕향교를 돌아볼 예정이었으나 시간관계상 오후에 회덕향교만 방문했었는데 2023년 8월 17일 진잠향교를 방문했다. 234개의 향교 가운데 148번째 방문한 향교이다.현재 대전광역시 향역에는 진잠향교와 회덕향교가 남아 있다. 진잠향교는 조선시대인 1405년(태종 5)에 창건되어 회덕향교와 함께 대전 지역 유학의 산실이 되어왔다. 진잠향교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교촌동 630-1전지 낮은 야산 기슭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에두고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에 배치하는 전학후묘의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향교 좌측 주차장 안쪽에는 강의실과 사무국으로 사용되는 양영루가 있다.하마비는 궁궐의 정문 밖, 종묘 입구에 세웠으며, 성균관을 비롯한 각 지방의 문묘 밖 홍살문에 세워.. 2023. 8. 18. 조간대 바위에 붙어 사는 식용 해초 서실 지난 주말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리 신창간이해변에 갔다가 막 채취한 싱싱한 서실을 맛볼 수 있었다. 홍조식물 빨간검둥이과의 바닷말인 서실은 조간대(潮間帶) 바위에 붙어 산다. 식물체는 조그만한 각상근(殼狀根)에서 곧게 서는 줄기가 기는뿌리처럼 휘어져 눕는다. 원주 모양을 하거나 약간 편압(扁壓)되고 높이 10∼20cm 자라며 굵은 줄기는 나비 2∼5mm이다. 가지는 각 방향으로 어긋나고 불규칙한데, 작은가지의 끝은 뭉툭하며 기부는 가늘어진다. 식물체가 노성(老成)하면 가지 끝에 육생식물의 구아(球芽: 백합과 식물의 거무스름한 둥근 눈) 같은 눈이 생기고 그것이 모체에서 떨어져 새로운 식물로 영양생식하기도 한다. 식물체 전체가 부드러우며 식용한다. 한국의 전연안에서 채집되는 흔한 종류이다.[네이버.. 2023. 8. 16. 육군 체력단련장 영천 충성대 CC 체력단련장 8월 13일 육군체력단련장 중 한 곳인 충성대CC를 다녀왔다. 충성대체력단련장은 2005년 10월 15일 9홀로 개장하여 군사문제연구원과 군인공제회에서 운영하다가 2023년 4월 24일부로 육군으로 전환되어 운영되고 있는 곳이다. 육군 체력단련장은 계룡대와 구룡대 등을 포함 11개의 체력단련장이 운영되고 있다.충성대체력단련장은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도암리 산 43에 위치한 육군3사관학교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천IC, 동영천IC, 북영천IC에서 10분이내로 접근성이 뛰어나고 팔공산과 보현산 자락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수 있는 전망 좋은 코스의 체력단련장으로,신라 화랑의 얼이 스며있는 이곳에서 힐링과 행복을 만끽할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최상의 그린과 페어웨이를 자랑하고 있으며 200m 비거리의 44.. 2023. 8. 15. 지리산 연봉이 보이는 남원 여원치 여원정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와 이백면 양가리 사이에 있는 고개인 여원치 (女院峙)는 남쪽 수정봉에서 고리봉, 정령치, 만복대와 이어지며 백두대간의 맥을 잇고 있는 곳이다. 한때는 백제와 신라의 국경선이었으며 남원과 운봉, 함양을 왕래할 때 반드시 거쳐야 했던 길목으로 지금은 국도 24번이 지나는 여원치 고갯마루에 있는 여원정에서 잠시 쉬어 왔다. 오래전 바래봉 철쭉제를 다녀오며 남원 방면으로 가는 길에 여원정에서 멋진 풍경을 감상한 적이 있었는데 여원치는 일몰이 아름다운 곳으로 남원 10경 여원낙조로 선정되어 널리 알려져 있고 지리산 연봉을 감상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여원치 480m 정상에는 女院峙 라고 새긴 기념비가 세워져 있는데 1977년 12월 22일 남원~팔령간 도로포장공사 준공을 기념하여 .. 2023. 8. 12. 포항시 흥해읍 곡강천 생태공원 철도교각 포항시 신광면 용연지에서 칠포해수욕장까지 10㎞가량 이어져 있는 곡강천 생태하천에서 최근 천연기념물(330호)로 지정된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달은 전라북도 전주와 임실에서 몇번 촬영한 적이 있었는데 포항에 와 있을때 오랫만에 수달을 만나 보고 싶은 마음에 지난 주말 흥해읍 곡강천을 돌아보았으나 수달은 만나지 못하고 전봇대에 앉아 먹이감을 찾고 있는 황조롱이만 만나고 돌아왔다. 2012년 12월 완공된 곡강천생태공원은 공원 내에 무료로 텐트를 설치할 수 있고, 화장실도 갖추고 있어 차박이나 노지 캠핑을 즐기는 캠퍼들 사이에서 포항지역 캠핑 명소로 손꼽히는 유명한 곳이었다. 하지만 상수원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취사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고, 지난 4월부터는 야영이나 취사가 전면 금지된 바 .. 2023. 8. 11. 근대 한의학의 새 길을 열다 석곡 이규준 · 포항 석곡기념관 임시개관 포항이 낳은 역사적 인물인 근대 한의학의 선구자 ‘석곡 이규준’ 선생(1855~1923)을 기리는 석곡 기념관이 포항시 남구 동해면 도구리에 지난 7월 29일 임시 개관했다. 개관식은 10월중에 개최할 예정이다. 석곡기념관은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그리고 설날/추석 당일은 휴관하며, 개장시간은 09:00~18:00이다. 미감시간 30분 전까지 입장 가능하고 무료로 관람가능하다. 석곡기념관 주소 : 포항시 남구 일월로 11번길 12 문의전화 : 054-270-2560 석곡기념관은 로비, 소강당, 경북도 문화재자료 제548호로 지정된 석곡 선생의 저술 목판을 보존하기 위한 수장고가 있는 1층과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영상관이 있는 2층으로 구성돼 있다. 외부는 전통가옥 구조물인 서까래 형태의 처마를 적용.. 2023. 8. 9. 다부동전투 다부동전적기념관 · 구국용사충혼비 · 구국경찰충혼비 지난 주말 구미 인동에서 포항으로 오며 먼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을 들렸다. 다부동은 대국 북방 22km에 위치한 지역으로 상주와 안동에서 대구로 통하는 5번, 25번 도로가 합쳐지고, 왜관으로 향하는 903번 지방도로의 시발점이 되는 곳으로 6·25 전쟁 당시 낙동간 최후의 방어선으로 반격의 발판을 마련한 55일간의 다부동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마을을 중심으로 북서쪽으로 유학산(839m)이 북방을 향하여 횡격실을 이루고 동쪽으로 가산(902m) 이 있어 방어에 유리하나 이 방어선이 돌파되면 10km 남쪽의 도덕산 일대까지 아군철수가 불가피 할 뿐 아니라 대구가 적 포병 사정권 내에 들어가게 되어 다부동은 대구 방어에 있어 가장 주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 곳은 북한.. 2023. 8. 9. 한국의 서원 경상북도 경산 하양부호리금호서원 오늘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에 있는 조선후기 허조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된 서원인 금호서원 (琴湖書院)을 소개한다. 정식명칭은 하양부호리금호서원 河陽釜湖里琴湖書院 이다.금호서원은 조선 시대 하양현의 유일한 사액서원으로, 조선 후기 하양 지역 향론의 중심지였기에 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이다. 2003년 19월 27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49호로 지정되었다.하양 부호리 금호서원은 조선 세종조에 좌의정을 지낸 문경공 경암 허조(1369~1439)를 모시는 서원이다. 허조는 조선시대 초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황희와 함께 세종 30년간을 태평성대로 이끈 뛰어난 재상이었다. 조선 왕조 통치의 기본 법전인 경제원과 속육전을 편집하여 펴냈으며, 유교 국가의 통치 이념 이 드러난 국조오례의와 사례의를 찬정하고.. 2023. 8. 8. 논공휴게소(대구방향) 문화유적 '달성 본리리 유적' 고속도로를 달리다 휴게소에 들리면 주로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허기를 채우는 일이 보통이지만 의외로 볼거리가 있는 휴게소도 많다. 노고단 전망대가 있는 황전휴게소, 경부고속도로 준공기념탑이 세워져 있는 추풍령휴게소, 팔공산 갓바위가 보이는 안전기원테마공원이 있는 와촌휴게소 등을 블로그에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광주대구고속도로 성산-옥포간 확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에서 출토되어 논공휴게소에 이전 복원한 삼국시대 석곽묘와 조선시대 석관묘가 있는 달성 본리리 유적(達城 本里里 遺蹟)을 소개한다. 이곳에 있는 무덤들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한 고속국도 12호선(광주-대구 고속도로) 성산-옥포간 확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굴조사틀 실시하고 현 위치에 이전,복원한 것이다. 이.. 2023. 8. 3. 거창군 가조면 기미독립만세기념탑 · 삼일공원 대한민국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보면 각 지역마다 기미년 독립만세운동을 기리는 기념탑과 시설물들을 쉽지 않게 만나볼 수 있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 육각정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3·1독립만세운동이 한국인들이 거국적으로 참여한 독립운동으로서,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바로 그 3 · 1운동의 결과물로서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몇일전 거창군에 있는 보물인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을 둘러 본 후 광주대구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포항으로 가기 위해 남하가조IC로 가다 지나는거창군 가조면 장기리에 있는 기미삼일독립만세기념탑과 삼일공원을 잠시 살펴 보았다. 가조 기미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0일 가조 장날 만세시위에 이어 이틀 뒤인 거창 장날에 가조‧가.. 2023. 7. 25. [한국의 보물]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居昌陽平里石造如來立像 Stone Standing Buddha in Yangpyeong-ri, Geochang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노혜3길 6-43[양평리 479-1]에 있는 석조여래입상이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77호로 지정되기 이전에는 하반신이 땅속에 묻힌 채로 있다가 1971년 8월 보수 공사 때 주변 석재들을 수습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불상의 사방에 있던 초석 4개를 모아서 건물의 기단 형태로 활용하였다. 당시 방아확으로 사용하던 것을 보개(寶蓋)로 여겨 복원하였고, 주변에 좌대를 이용하여 불상을 세웠다. 또한 배례석으로 사용하는 연꽃 좌대도 주변에 있던 것을 옮겨 사용하고 있다. 원래 이 불상이 있던 절은 노혜사 혹은 금양사라고 전해지며 주변에 흩어져.. 2023. 7. 12. 함양 황암사 · 황석산성 전투 경삼남도 함양군 사하면 황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황암사(黃巖祠)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왜적과 싸우다 순국한 순국선열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1987년 황석산성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제322호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1998년 사당복원계획을 세워 2001년 호국의총(護國義冢)을 정화하고 사당을 복원하였다. 해마다 음력 8월 18일에 순국선열의 넋을 위로하는 제사를 지내고 있다. 홍살문을 지나 계단을 올라 충의문을 지나면 정면에 사당인 황암사가 보인다. 사당의 뒤편으로는 순국영령들의 혼이 모셔져 있는 의총(義塚)이 있으며 사당의 좌측에는 황석산성 순국 선열 충혼비와 우측에는 황암사 중건 기념비, 황석산성 순국 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황석산성 전투는 조선을 다시 침략한 왜군 14만.. 2023. 7. 11. 김제 거전리 나홀로나무 일몰 2023. 7. 9.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9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