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4

국가지질공원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주상절리는 화산활동으로 분출한 1000℃ 이상의 용암이 냉각 · 수축하여 굳어지면 틈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절리라 하며,용암은 굳을 때 표면부터 다각형의 균열이 깊은 곳으로 식이가며 커다란 기둥 모양(주상절리)이 형성되는데 이때,용암이 식는 속도와 방향에 따라 주상절리의 모양과 크기가 결정된다. ​ 양남 주상절리는 동해의 아름다운 해변을 따라 조성된 1.7km 파도소리 길은 자연이 만든 걸작(돌조각상) 주상절리를 잘 감상할 수 있도록 2011년에 군부대 주둔지를 경주시에서 일반에 소개하였으며, 동해에 핀 한 송이 해국이 연상되는 부채꼴 형상 주상절리와 주름치마가 바람에 날리는 듯한 누워있는 주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로 인해 주상절리 박물관으로 칭해지는 세계적인 지질 명소이다. 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 2022. 1. 20.
정읍 김명관고택 김명관고택(김동수가옥) 국가민속문화재 제26호인 김명관고택은 2021년 3월 국립수목원에 의해 '아름다운 한국 전통정원'으로 자정되기도 했다. 그만큼 김명관고택은 아름다운 한국 민가정원의 특징이 잘 보존된 곳중의 한 곳이다. 2020년 5월 13일 방문했다. 조선 중기 상류층 주택의 면모를 잘 갖추고 있는 이 집은 흔히 아흔아홉칸 집이라고 부르는 전형적인 상류층 가옥으로, 김동수의 6대조인 김명관이 정조 8년(1784)에 건립하였다. 한양에서 내려온 김명관이 청하산 아래 명당을 골라 10여 년에 걸쳐 이 집을 완공한 것이라 하며, 대문 앞쪽으로 30여 평의 연못을 파놓았다. 이 집은 창하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동진강 상류의 맑은 물이 흐르는 전형적인 터전에 동남쪽을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바깥 행랑채의 .. 2022. 1. 2.
영일만 북파랑길 2코스 망호정 포항 출장중에는 자동차전용도로보다는 동해안의 정취를 한껏 느낄 수 있는 드라이브코스인 7번 국도를 자주 이용하게 된다. 오늘도 조사리에 다녀오며 7번국도를 따라 용한리까지 내려오다가 그간 지나치기만 했던 망호정에 잠시 들렸다. 망호정이 있는 곳은 영일만 북파랑길 2코스가 시작되는 곳이다. 영일만 북파랑길은 동해안 770㎞를 잇는 ‘해파랑길’(부산오륙도공원~고성통일전망대, 50개 구간)중 17구간 (포항송도해수욕장~칠포해변)과 18구간(칠포해변~화진해변)의 39.2㎞에 이르는 포항 영일만 북쪽해안을 걸을 수 있도록 조성된 트레킹 명소다. ​ 경상북도에서 가장 긴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는 포항시는 ‘포항 해오름 탐방로’로 이름 지은 총 코스 112㎞에 이르는 특화된 해안둘레길 조성을 통한 명품 해양관광도시로서.. 2021. 12. 28.
영일 칠포리 암각화 영일 칠포리 암각화군 迎日 七補里 岩刻盡群 Petroglyph at Chilpori, Yeognil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9호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칠포리 201 영일 칠포리 암각화군의 바위그림들은 1989년 처음 발견된 이래 1994년까지 추가로 발견되어 그 규모에 있어 한국 최대의 암각화군이다. 곤륜산의 서북쪽 기슭 개울을 끼고 돌출한 길이 3m, 높이 2m의 사암질 바위면에 새겨져 있는 암각화가 대표적 이다. 이 암각화는 아래위가 긴장방형으로 양쪽 면을 곡선으로 표현하였는데,대체로 위쪽이 아래쪽보다 크게 묘사되어 있다. ​ 이 일대는 성혈이 묘사된 지석묘가 분포한다. 그 중에 곤륜산에서 해안 쪽으로 500m 정도 떨어진 국도를 끼고 길이 2.9m,폭 1.2m 가량의 고인돌의 동쪽면 개석에.. 2021. 12. 27.
2022년 임인년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 축전 취소 경북 포항시는 동해안 3대 일출 명소로 꼽히는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축전’ 공식 행사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열지 않기로 했다. 2022년 일출시간 관내 해맞이광장도 폐쇄하고 해맞이장소의 출입을 전면 통제한다. ​ 호미곶 한민족 해맞이 축전이 취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새해를 맞아 관내 해맞이 장소 곳곳에 인파가 몰려들 것이 우려되어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시민 안전을 위해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 특히, 영일대해수욕장 및 환호공원(스페이스워크) 일대는 포항북부경찰서와 함께 1월 1일 오전4시부터 오전8시까지 입간판과 폴리스라인을 설치해 전 구간 차량 및 관광객 출입을 집중 통제할 예정이다. ​ 임인년 해맞이 행사는 지역케이블TV와 포항시청 유튜브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 인근 지역의 경주 문무대왕릉.. 2021. 12. 27.
공주 태화산 마곡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의 사찰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 문화산책길 공주 마곡사 麻谷寺 Magoksa Temple 2020년 11월 22일 서울 출장중에 고속도로를 회피하여 국도로 올라가는 중에 들린 마곡사~~~전통과 불교의 문화가 잘 어우러진 사찰인 마곡사는 한국의 산사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7대 사찰중의 하나이다. 날씨도 좋지 않았고 시간도 늦었는데 언젠가는 한 번 더 여유있게 돌아봐야 할 곳이다.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사곡면(寺谷面) 운암리(雲岩里)의 태화산(泰華山) 동쪽 산허리에 자리 잡은 마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6교구본사(本寺)이다. ‘春마곡’이란 별칭에서 알 수 있듯이 봄볕에 생기가 움트는 마곡사의 태화산은 나무와 봄꽃들의 아름다움이 빼어 난 곳으로 마곡사 사적입안(事蹟立案)의 기록에 따르면 '마곡.. 2021. 12. 26.
포항 영일 민속박물관 과거를 돌아보면서 현재를 찾을 수 있는 곳 영일 민속박물관 ​ 우리나라 고유문화가 이루어진 과정에 있어 그 기초적인 역할은 일상생활에 사용되었던 각종 민속 생활용구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급변하는 현대 물질문명에 의해 점차 사라져가고 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영일군과 영일문화원이 민속자료 수집운동을 전개하여 1차로 2,650점의 귀중한 자료를 모아 조선조 헌종 1년(1835)에 건립된 제남헌(옛 흥해군의 동헌)에 자료를 전시하여 1983년 10월 29일 영일민속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그후 1985년에 새 전시관을 신축하여 토기, 생활용구류, 농어기구류,관혼상례용구,고서적류, 의관류등 총 4,600여점의 자료를 재분류 전시하였으며,특히 여기에 전시된 자료는 이 고장에서 옛부터 조상들이 사용하였던 고.. 2021. 12. 26.
동해안 해안도로 겨울바다 파도소리 포항 청하면 청진3리 월포해변 청하향교에 들렸다가 이가리닻전망대에서 잠시 쉬어 동해안 해안도로인 7번국도를 따라 내려오다 탁 트인 동해바다가 시원하게 바라다 보이는 곳이 있어 잠시 차를 세웠다. ​큰방파제와 작은 방파제가 서로 등을 돌리고 뻗어 있는 청진3리, 넓고 평평한 수중여 사이로 겨울바람을 타고 파도가 밀려온다. 본격적으로 날씨가 추워진다고 했지만 10도를 넘은 날씨가 겨울의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느껴진다. 2021. 12. 25.
동해안여행의 핫 플레이스 포항 이가리 닻 전망대 포항시에서 북쪽에 있는 흥해나 청하쪽를 오갈때는 해안도로를 따라 반드시 들려보는 곳이 있는데 이가리 닻 전망대이다. 이가리 닻 전망대는 올해 4월에 들려 블로그에 포스팅 한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이가리 닻 전망대에서 겨울바람과 함께 밀려오는 파도소리를 들으며 잠시 쉬어 왔다. 동해안여행의 핫 플레이스 이가리 닻 전망대 2021. 12. 25.
경주 금장대 석장동 암각화 경주 강변로를 지나다 보니 형산강 너머 암벽위에 세워져 있는 멋진 한옥누각이 보인다. 형산강 일대를 찾아온 기러기들이 머물렀다고 해서 금장낙안(金藏落雁)이라고 불리기도 했다는 경주의 핫 플레이스 금장대(金藏臺)다. 신라시대 암벽 위에 있었던 사찰 금장사(金藏寺)에서 이름을 따와 금장대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금장대 金藏臺 GEUMJANGDAE 금장대는 경주 시가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으로 이곳에 있던 절 혹은 건물의 이름인 '금장” 을 따서 금장대라고 부르고 있다.이곳은 그 경치가 매우 빼어나 경주의 하늘을 지나가는 기러기들이 쉬어간다고 하여 경주의 여덟 가지 기이한 현상가운데 하나인 금장낙안이라 불리워지던 곳이기도 하다. 금장대 아래에 만들어진 예기청소는 형산강의 본류인 서천과 북천이 만들어낸.. 2021. 12. 23.
여수 해상케이블카 여수해상케이블카는 바다위를 지나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해상케이블카 입니다. 아시아에서는 홍콩, 싱가폴, 베트남에 이어 네번째로 바다위를 통과하는 해상케이블카로써, 이제 국내에서도 바다위를 통과하는 해상케이블카에서 바람을 가르는 짜릿한 스릴감과 함께 아름다운 바다와 하늘을 온 몸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크리스탈 캐빈 15대와 일반 캐빈 35대, 총 50대의 케이블카를 운영중입니다. 특히, 여수해상케이블카가 자랑하는 크리스탈 캐빈은 바닥을 강화유리로 만들어 짜릿한 스릴감과 함께, 아름다운 바다를 발밑에 두고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캐빈입니다. 여수해상케이블카 홈페이지 참고 12월 19일 현재 케이블카는 운행중이며 운행시간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9시 30분까지 입니다. 사회적거리두기로 인해.. 2021. 12. 19.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부산 태종대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 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 부산 태종대 부산 태종대 입구 언덕에는 우뚝 솓아 있는 탑이 하나 보인다. 바로 유엔의료지원단 참전기념비이다. 6.25전쟁이 발발하고 유엔 안전보장위원회는 우리나라에 대한 군사지원 결의안을 채택 이에 미국, 영국, 프랑스, 터키, 에티오피아, 태국 등 16개국이 전투병력을 파병했다. 그리고 전투병력을 파병한 16개국 이외에도 6개국이 우리나라에 의료 및 시설을 지원했다. 그 6개국은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독일이다. ​ 1976년에 이르러서 우리나라는 6개국 의료 지원단의 숭고한 정신을 기념하고자 부산 태종대 입구에 의료 지원단 참전기념비를 세웠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의료지원단의 희생을 기억하며 의료지원단.. 2021. 12. 17.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임실호국원은 나라를 위하여 신명을 바치신 국가유공자 및 참전유공자들이 영면하시는 호국성지로 6·25전쟁 시 조국을 지키고 어려움에 처한 우방국을 돕기 위해 월남에 참전하신 분들이 안장되는 곳이다.​1990년대 6·25 및 월남참전자 등 약 50만 명에 이르는 참전유공자들이 생존해 계시고 이들 대부분이 고령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훈연금을 받고 있는 전상자를 제외하고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보훈혜택은 미흡한 실정이었고. 또한 참전유공자들의 국립묘지 안장문제도 안장자격과 수용능력의 한계로 대부분이 안장혜택을 받을 수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었다.​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하여 국가보훈처에서는 1994년 5월 「향군 참전군인묘지 조성사업계획」을 수립하고 96년 10월 묘지조성 추진위원회를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추진.. 2021. 12. 15.
전라감영 기념비 국가군저 개고호남 약무호남 시무국가 2017년 7월 기공을 시작으로 총 104억원을 투입해 2020년 5월 준공해 전북인의 자존의식을 한층 드높인 전라감영은 조선시대 500년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호남의 최고 통치기관으로 조선시대 관찰사가 근무했던 전라감영은 한국전쟁 당시 폭발로 역사 속으로 사라진지 약 70년만에 위풍당당한 옛 위용을 드러냈다. 그 입구에는 이순신 장군의 글귀 ‘국가군저 개고호남 약무호남 시무국가’를 한자로 새긴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전라도를 관할한 전라감영지에 세우는 기념비는 임진왜란 국난 극복과정에서 보여준 절의(節義) 정신과 나라의 보고로서 전라도의 위상을 드러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전라도의 가치와 중요성 및 전북인의 자존의식을 한층 드높이고 있다. 국가군저 개고호남 약무호남 시무국가 國家軍儲皆靠湖南 若無.. 2021. 12. 12.
경주동궁원 버드파크 새와 사람과 자연의 이야기 경주버드파크 우리나라 최초의 동·식물원이었던 동궁과 월지를 현대적으로 재현한 경주 동궁원은 경주 보문단지내에 소금강산과 명활산성을 사이에 두고 총면적 64,830㎡로 동궁식물원, 농업연구체험시설, 버드파크로 구성되어 있다. 버드파크는 면적 5,000㎡의 새둥지 형태의 유선형태로 펭귄,앵무새, 플라밍고 등 250종 3000수가 전시되어 있는 단일 건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선진국형 사계절 체험형 화조원이다.경주버드파크는 경상북도 제1호 전문동물원(박물관) 등록기관이다. 12월 7일 경주버드파크를 방문했다. 경주버드파크의 이용시간과 요금 안내 이용시간 개장시간 : 오전 10시 ~ 오후 7시까지 (6시까지 입장가능) 오전 10시 ~ 휴가철 성수기에는 개장시간이 변경될 수 있으니 05.. 2021.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