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4 故 김진화 추모 평창 해병대 안보공원 정선에서 42번 국도를 따라 평창으로 가는 길에 도로변에 전시된 LVT가 보여 급히 차를 세웠다. 평창 해병대 안보공원이다. 평창 해병대 안보공원은 1968년 울진•삼척지구 무장공비 소탕작전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신 故 김진화 선생의 지역 예비군 정신 계승과 연중 나라사랑 고취를 위해 2019년 조성되었다. 비 옆에는 전투상황비와 건립후원비가 세워져 있다. 전투상황비에는 아래와 같이 새개져 있으며 전투상황비 뒷면에는 전투참가자 명단이 새겨져 있다. 전투상황 1968년 10월 울진삼척지구 해안에 해상으로 칭침투한 북괴 무장공비가 태백 준령을 넘어 내륙으로 잠입, 같은해 11월 12일 우리고장에 7명이 침입하여 저 앞산 넘어 수청리, 고원식 (당시 수청리지역 예비군 소대 장으로서 성마령 진지에서 근무중.. 2021. 10. 4. 쪼개진 절벽 사이로 보이는 세상풍경 영월 선돌 선돌 Seondol Menhir 영월로 가는 해발 320미터 소나기재 정상에는 잠시 쉬아 갈 수 있는 선돌휴게소가 있다. 선돌휴게소에서 서쪽으로 100미터 지점에 위치한 약 70미터 높이의 기암괴석이 발아래에 펼쳐지는 것이 바로 신선암이라 불리우는 선돌이다.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76호이다. 단종이 영월 청령포(명승)로 가는 길에 선돌이 보이는 곳에서 잠시 쉬어 가며, 우뚝 서 있는 것이 마치 신선처럼 보였다고 하여 ‘선돌’이 되었다고 하는 전설 등이 담겨있는 명승지이다.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곳으로 소개되는 장소 중의 한 곳이기도 하다. 전망시설 아래로 펼쳐진 장엄한 두갈래의 우뚝 솟아있는 바위(높이 70미터)를 선돌(立石)이라 불리어 오고 있으며 서강(西江)의 푸른 물과 층암 절벽이 어우러져 마치.. 2021. 10. 4.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 관설정 제52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스키점프대회가 열린 26일 강원도 평창군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에서 촬영중에 왼쪽 언덕에 세워져 있는관설정(觀雪亭)이라는 아름다운 누정이 보여 대회를 마치고 들려보았다. 관설정은 강원도가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세계인에게 한국의 전통문화유산을 홍보하기 위해 평창 알펜시아 솔섬에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누정인 경복궁 향원정과 함께 강원도 정선 구미정을 모태로 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에 건립한 전통누정이다. 2017년 12월에 준공하였다. 2021. 10. 4. 서울 덕수궁 왕궁수문장 교대의식 수문장 교대의식은 덕수궁 성문 주위를 순찰한 수문군이 궁성문을 수위하던 수문군과 교대하는 의식으로 서울시가 1996년부터 진행해왔다. 시민들과 외국인 관람객에게 서울을 알리고, 전통문화 체험기회를 제공하며 서울을 대표하는 관광자원으로 자리매김했다.사진은 2014년 12월 21일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실시된 서울 왕궁 수문장 교대의식이다.덕수궁 왕궁수문장교대식은 조선시대에 행해졌던 궁성문 개폐의식, 궁성 수위의식, 순라의식 등을 기록 자료를 바탕으로 1996년부터 재현하고 있는 행사이다.매일 2회 (11:00, 14:00)실시되며, 월요일 및 혹서기/혹한기/비상저감조치 발령시/ 눈과 비 오는 날은 행사는 실시하지 않는다. 관람객체험프로그램으로 전통의상 입어보기 체험, 수문장과 관람객의 포토타임이 있다. 2021. 9. 18. 제89회 남원 춘향제 길놀이퍼레이드 제89회 춘향제가 5월 8일부터 12일까지 5일 동안 광한춘몽(廣寒春夢)'을 주제로 600년을 맞이한 광한루를 중심으로 요천일원에서 연인·가족과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꿈같은 봄 축제로 열렸다. 특히 춘향제 대표행사 중 하나인 길놀이는 2일로 확대하여 11일과 12일 남원 용성초등학교에서 광한루원 구간에서 실시됐다. 2021. 9. 17. 이른 새벽 일터로 나가는 강양항의 어부들 이른 새벽 울산의 작은 항구인 강양항은 바쁘다. 동해의 수평선 너머로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바라보며 어선을 몰고 일터로 나가는 어부들과 돌아오는 고기잡이 배들의 모습을 본다. 강양항은 아침 안개와 멸치잡이 배가 한데 어우러져 장관이 펼쳐지는 일출 명소로 알려진 곳이다. 멸치잡이 배들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강양항의 일출은 올 겨울에는 볼 수 있을지 ~~~출장중에 한번쯤은 더 다녀와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일출촬영명소 울산 강양항 일출 12월 4일(토) 출장중 주말을 포항에서 보내야 할 것 같아 이번주는 인근의 동해안을 돌아 보기로 했습니다. 울산 강양항 일출을 보고 동해안 31번 국도를 타고 시나브로 올라왔습니다. 날씨탓 hyanggyo.tistory.com 2021. 9. 17. 전주효자공원묘지 봉안원 추석연휴기간 이용안내 전주효자공원묘지 봉안당과 봉안원(야외)은 이번 추석 연휴기간인 9월 18일(토)부터 22일(수)까지 5일간 폐쇄됩니다. 오늘 전주효자공원묘지를 다녀왔는데 봉안당 및 봉안원은 모르시고 추석 연휴기간에 가셨다가 헛걸음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전주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자체 운영 중인 봉안시설을 추석 연휴 기간엔 폐쇄하는 대신 연휴 전후로 사전예약을 받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추석 연휴 동안 자체 운영 중인 실내 봉안시설을 폐쇄하고 사전예약제로 운영하는 한편 민간이 운영하는 실내시설은 부분 폐쇄한다는 방침입니다. 전주시는 자체 운영하는 실내시설인 봉안당과 봉안원을 추석 연휴 기간(18일부터 22일까지) 전면 폐쇄하고, 다만 이달 6일부터 17일까지, 이달 23일부터 10월 10일까지 방문할 성묘객.. 2021. 9. 17. 무안 도리포항 갯벌낙지등대 전남 무안군 해제면 도리포항에 있는 갯벌낙지등대 이 등대는 무안군이 따르면 전남도로부터 지역개발비 4억원을 지원받아 지역의 대표 수산물인 갯벌낙지를 형상화하여 2013년 7월에 건립했다. 갯벌낙지 등대는 폭 5.8m, 높이 6.3m로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단순한 등대기능에서 벗어나 해양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입된 조형물로 인근의 환선바위에 팽나무, 기도하는 여인 등을 세워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세워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도리포항은 새해 첫 날에는 수천명의 관광객들이 몰리는 일출의 명소로도 유명하다. 무안 도리포 환선바위 팽나무와 기도하는 여인 무안 도리포 환선바위 팽나무와 기도하는 여인 영광에서 2019년 12월 19일 개통된 철산대교를 건너면 바로 좌측이 무안.. 2021. 9. 15. 굴비의 고장 영광 법성포 전라남도 영광군 서북 해안에 있는 포구인 법성포(法聖浦)는 조기가 많이 니는 곳이다. 영광굴비는 예부터 임금님의 수라상에 오르던 법성포의 제일가는 특산품이다. 산란 시기가 된 조기가 연평도까지 북상하는 도중 칠산 앞바다를 지날 때 살이 오르고 알이 든 가장 좋은 조기를 잡아 말려 굴비를 만들어낸다. 법성포로 들어가면 로터리에 설치되어 있는 커다란 굴비 조형물이 먼저 눈에 들어 온다. 영광군은 2019년 5월 전남도가 추진하는 ‘명품 남도음식거리 조성 공모사업’에 영광 법성포 굴비거리 선정 후 2021년 7월 법성포 굴비의 거리 조성사업을 완료하고 음식관광문화 활성화에 본격 나섰다고 밝혔다. 영광 법성포 굴비거리 조성사업은 굴비의 본고장인 영광 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보다 나은 음식 관광지로 자리매김 할.. 2021. 9. 15. 무안 도리포 환선바위 팽나무와 기도하는 여인 무안 도리포 환선바위 팽나무와 기도하는 여인 영광에서 2019년 12월 19일 개통된 철산대교를 건너면 바로 좌측이 무안 도리포다. 다시 돌아오는 포구라는 도리포항에는 환선바위가 있다. 환선바위위의는 행운을 비는 나무와 철산 앞바다로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 님을 그리워하며 망부석이 된 여인의 전설이 담겨 있는 기도하는여인 상이 있다. 환선바위위의 기도하는 여인 바로 앞의 행운을 비는 나무는 2백년이 넘은 팽나무로 무안군 보호수이다. 바위 아래에는 백장석 시인의 '사랑이여 그리움이여' 시가 새겨져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움으로 천년을 기다려온 사연을 담고 있다. 무안 도리포항 갯벌낙지등대 전남 무안군 해제면 도리포항에 있는 갯벌낙지등대 이 등대는 무안군이 따르면 전남도로부터 지역개발비 4억원을 지원.. 2021. 9. 15. 제주 추사관 서귀포 김정희 유배지 제주추사관은 조선후기 대학자이자 예술가인 추사 김정희 선생의 삶과 학문 예술세계를 기리기 위해 지난 2010년 5월 건립되었다. 제주추사관의 전신은 1984년 지주지역 예술인들과 제주사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건립된 추사유물전시관이었으나 전시관이 낡은데다, 2007년 10월 추사유배지가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되면서 그 격에 걸맞게 재건립되어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새롭게 제주추사관을 완공하였다. 제주 추사관은 소방설비 교체 및 전시실 개선을 위해 9월 13일부터 12월 20일까지 휴관중이며 서귀포 김정희 유배지는 정상 운영되고 있다. 자세한 문의는 제주추사관(064-710-6803) 추사 김정희 선생(秋史 金正喜, 1786~1856)은 타고난 천품과 치열한 학예연찬으로 서예사에서 뿐만 아니라 금석고증학, 경.. 2021. 9. 13. 조선시대의 관아 장기 근민당과 척화비 장기읍성과 장기향교를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 장기면사무소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관아 건물이었던 근민당과 홍선대원군이 쇄국의 결의를 굳히고 온 국민에게 외세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해 전국의 요소에 세웠던 척화비를 살펴 보았다. 장기 척화비는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24호로 지정되었다. 1866년(고종 3)의 병인양요와 1871년의 신미양요를 치른 뒤 흥선대원군이 쇄국의 결의를 굳히고 온 국민에게 외세의 침입을 경계하기 위해 1871년 4월을 기해 서울을 비롯하여 전국의 요소에 세운 척화비 중 하나이다. 원래는 장기읍성 안에 세워져 있었으나 1951년 4월에 장기지서 입구에서 찾아 장기면사무소 정문 왼쪽 도로변에 세워 두었다가 1990년 12월 1일 장기면사무소 정원에 이설하였다.사암으로 되.. 2021. 9. 12. 경주 감포항 감포해상공원의 아름다운 등대 2020년 개항 100주년을 맞은 경주 최대의 항구 감포항. 쉴 사이 없이 고깃배들이 드나들고, 활어 위판장에서는 매일 매일 신선한 생선이 경매로 오가는 유서깊은 감포항에는 아름다운 등대가 있다. 감포항 방파제가 있는 곳에 2018년 조성된 감포해상공원은 해안데크, 바람개비 동산, 감포항 조형물과 벤치, 화장실, 주차장 등이 갖추어져 있다. 해상공원과 연결되는 감포항 방파제는 낚시인들의 천국이고, 여행자들에게는 감은사지 3층석탑을 음각화한 아름다운 등대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감포항 인근의 감은사지 삼층석탑을 형상화 한 한옥등대인 송대말등대에서는 감포항의 아름다운 등대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사진찍기 좋은 녹색명소 경주 감포 송대말등대 경주시 감포읍 척사길 18-94에 위치한 송대말등대는 동해안의 일.. 2021. 9. 12. 경상북도 천년고찰 팔공산 은해사 천년 고찰 팔공산 은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의 자리를 지키는 경북지방의 대표적 사찰이다. 신라 현덕왕 원년(8 09)에 혜철국사(惠哲國師)가 해안평에 창건한 해안사를 조선조 명종 원년(1546)에 천교화상이 지금의 터로 옮겨 은해사라 이름을 바꿨다. 그후 선조 22년1589에 법영, 의인, 광심대사 등이 다시 중창하였다. 은해사에는 천년이 넘는 거조암을 비롯하여 백흥암,운부암,백련암,묘봉암,중암암,기기암,서운암 등 8개 의 암자가 있다.특히 거조암의 영산전은 고려 우왕 원년1375에 건립된 목조 건물로서 국보 제 14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보물 제790호 백흥암 극락전과 안에 있는 보물 제486호 수미단, 보물 제514호 운부암 금동보살좌상,보물 제 1270호 은해사 괘불탱 등 많은 .. 2021. 9. 12. 국악의 성지 남원 동편제 탯자리 비전마을 남원시 운봉읍 동편제마을은 조선 태조가 왜구를 전멸시킨 황산대첩 승전지와 판소리 동편제의 발상지로 수많은 명창을 배출한 국악의 성지이며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마을이다. 판소리는 우리나라가 세계에 자랑할 가장 훌륭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다. 먼저 국악의 성지 소리의 고장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 동편제 탯자리 비전마을에 위치한 가왕 송홍록과 국창 박초월생가를 들렸다. 비전마을은 1961년 대홍수때 소멸된 화수리 이재민들의 가옥을 군인들이 주둔하면서 13가구를 건립하였는데, 이주 후 마을 이름을 '군인들이 만들어준 화수마을'이란 뜻으로 군화동(軍花洞)으로 부르게 되었다. 군화동은 황산대첩을 이룬 황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앞에는 황산대첩비각(荒山大捷碑閣)이 있다 하여 비전(碑殿)으로 불리게 되었.. 2021. 9. 12.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