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5

포항시 흥해읍 곡강천 생태공원 철도교각 포항시 신광면 용연지에서 칠포해수욕장까지 10㎞가량 이어져 있는 곡강천 생태하천에서 최근 천연기념물(330호)로 지정된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수달은 전라북도 전주와 임실에서 몇번 촬영한 적이 있었는데 포항에 와 있을때 오랫만에 수달을 만나 보고 싶은 마음에 지난 주말 흥해읍 곡강천을 돌아보았으나 수달은 만나지 못하고 전봇대에 앉아 먹이감을 찾고 있는 황조롱이만 만나고 돌아왔다. 2012년 12월 완공된 곡강천생태공원은 공원 내에 무료로 텐트를 설치할 수 있고, 화장실도 갖추고 있어 차박이나 노지 캠핑을 즐기는 캠퍼들 사이에서 포항지역 캠핑 명소로 손꼽히는 유명한 곳이었다. 하지만 상수원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취사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고, 지난 4월부터는 야영이나 취사가 전면 금지된 바 .. 2023. 8. 11.
근대 한의학의 새 길을 열다 석곡 이규준 · 포항 석곡기념관 임시개관 포항이 낳은 역사적 인물인 근대 한의학의 선구자 ‘석곡 이규준’ 선생(1855~1923)을 기리는 석곡 기념관이 포항시 남구 동해면 도구리에 지난 7월 29일 임시 개관했다. 개관식은 10월중에 개최할 예정이다. 석곡기념관은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그리고 설날/추석 당일은 휴관하며, 개장시간은 09:00~18:00이다. 미감시간 30분 전까지 입장 가능하고 무료로 관람가능하다. 석곡기념관 주소 : 포항시 남구 일월로 11번길 12 문의전화 : 054-270-2560 석곡기념관은 로비, 소강당, 경북도 문화재자료 제548호로 지정된 석곡 선생의 저술 목판을 보존하기 위한 수장고가 있는 1층과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영상관이 있는 2층으로 구성돼 있다. 외부는 전통가옥 구조물인 서까래 형태의 처마를 적용.. 2023. 8. 9.
다부동전투 다부동전적기념관 · 구국용사충혼비 · 구국경찰충혼비 지난 주말 구미 인동에서 포항으로 오며 먼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에 있는 다부동전적기념관을 들렸다. 다부동은 대국 북방 22km에 위치한 지역으로 상주와 안동에서 대구로 통하는 5번, 25번 도로가 합쳐지고, 왜관으로 향하는 903번 지방도로의 시발점이 되는 곳으로 6·25 전쟁 당시 낙동간 최후의 방어선으로 반격의 발판을 마련한 55일간의 다부동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 마을을 중심으로 북서쪽으로 유학산(839m)이 북방을 향하여 횡격실을 이루고 동쪽으로 가산(902m) 이 있어 방어에 유리하나 이 방어선이 돌파되면 10km 남쪽의 도덕산 일대까지 아군철수가 불가피 할 뿐 아니라 대구가 적 포병 사정권 내에 들어가게 되어 다부동은 대구 방어에 있어 가장 주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 곳은 북한.. 2023. 8. 9.
논공휴게소(대구방향) 문화유적 '달성 본리리 유적' 고속도로를 달리다 휴게소에 들리면 주로 화장실을 이용하거나 허기를 채우는 일이 보통이지만 의외로 볼거리가 있는 휴게소도 많다. 노고단 전망대가 있는 황전휴게소, 경부고속도로 준공기념탑이 세워져 있는 추풍령휴게소, 팔공산 갓바위가 보이는 안전기원테마공원이 있는 와촌휴게소 등을 블로그에 소개한 바 있다. 오늘은 광주대구고속도로 성산-옥포간 확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에서 출토되어 논공휴게소에 이전 복원한 삼국시대 석곽묘와 조선시대 석관묘가 있는 달성 본리리 유적(達城 本里里 遺蹟)을 소개한다. 이곳에 있는 무덤들은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한 고속국도 12호선(광주-대구 고속도로) 성산-옥포간 확장공사 구간 내 문화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굴조사틀 실시하고 현 위치에 이전,복원한 것이다. 이.. 2023. 8. 3.
거창군 가조면 기미독립만세기념탑 · 삼일공원 대한민국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보면 각 지역마다 기미년 독립만세운동을 기리는 기념탑과 시설물들을 쉽지 않게 만나볼 수 있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탑골공원 육각정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된 3·1독립만세운동이 한국인들이 거국적으로 참여한 독립운동으로서,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바로 그 3 · 1운동의 결과물로서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몇일전 거창군에 있는 보물인 양평리 석조여래입상을 둘러 본 후 광주대구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포항으로 가기 위해 남하가조IC로 가다 지나는거창군 가조면 장기리에 있는 기미삼일독립만세기념탑과 삼일공원을 잠시 살펴 보았다. 가조 기미독립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0일 가조 장날 만세시위에 이어 이틀 뒤인 거창 장날에 가조‧가.. 2023. 7. 25.
[한국의 보물]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居昌陽平里石造如來立像 Stone Standing Buddha in Yangpyeong-ri, Geochang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노혜3길 6-43[양평리 479-1]에 있는 석조여래입상이다.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77호로 지정되기 이전에는 하반신이 땅속에 묻힌 채로 있다가 1971년 8월 보수 공사 때 주변 석재들을 수습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불상의 사방에 있던 초석 4개를 모아서 건물의 기단 형태로 활용하였다. 당시 방아확으로 사용하던 것을 보개(寶蓋)로 여겨 복원하였고, 주변에 좌대를 이용하여 불상을 세웠다. 또한 배례석으로 사용하는 연꽃 좌대도 주변에 있던 것을 옮겨 사용하고 있다. 원래 이 불상이 있던 절은 노혜사 혹은 금양사라고 전해지며 주변에 흩어져.. 2023. 7. 12.
함양 황암사 · 황석산성 전투 경삼남도 함양군 사하면 황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황암사(黃巖祠)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하여 왜적과 싸우다 순국한 순국선열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 1987년 황석산성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 제322호로 지정된 것을 계기로, 1998년 사당복원계획을 세워 2001년 호국의총(護國義冢)을 정화하고 사당을 복원하였다. 해마다 음력 8월 18일에 순국선열의 넋을 위로하는 제사를 지내고 있다. 홍살문을 지나 계단을 올라 충의문을 지나면 정면에 사당인 황암사가 보인다. 사당의 뒤편으로는 순국영령들의 혼이 모셔져 있는 의총(義塚)이 있으며 사당의 좌측에는 황석산성 순국 선열 충혼비와 우측에는 황암사 중건 기념비, 황석산성 순국 사적비가 세워져 있다. 황석산성 전투는 조선을 다시 침략한 왜군 14만.. 2023. 7. 11.
기축옥사 주인공 정여립 생가터에 조성된 정여립공원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으로 가는 길, 춘향로에서 신리쪽으로 좌회전하여 월암교를 건너 월암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는 '정여립공원' 표지판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없었다. ​ 조선의 역사는 정여립(鄭汝立)을 반역을 도모한 인물로 기록하여 왔지만 현대에 들어서 비운의 혁명사상가로 주목받고 있다. 대동사상을 제창한 위대한 혁명가로 己丑獄死(기축옥사)의 주인공인 정여립은 완주군 상관면 월암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러기에 전주혁신도시에 정여립로가 있고, 인후동에는 정인신로가 그리고 전주 시청으로 가는 대동길이 있는 것이다. 도로에서 정여립공원까지는 650m 거리였는데 네비게이션 검색을 해보니 티맵이나 네이버지도에도 표시되지 않고 있다. 카카오네비에는 '전북 완주군 상관면 신리 392'로 정여립공원으로 표시되고 있었다. .. 2023. 7. 9.
66인 순교 성지 논산 병촌성결교회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일명 개자부락의 낮은 언덕에 있는 나무인 수령이 500년된 성동 은행나무 아래에서 잠시 쉬다 보니 나무 아래로 66 순교기념관이 있고 우측으로 교회가 보이는데 살펴보니 바로 한국전쟁 66인 순교의 성지 병촌성결교회 였다. 병촌성결교회는 1933년 6월 15일 강경성결교희의 도움을 받아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에 세워졌다. 이후 1943년 12월 신사참배에 대한 거부로 일제에 의해 교회가 강제 폐쇄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함께 교회는 다시 문을 열게 되어 부흥하던 중 1950년 6.25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또 한 번 혹독한 시련을 통과해야 했다. 1 950년 7월 중순 강경지역을 장안했던 북한 공산군은 유엔군의 인천상륙잔전으로 인해 북쪽으로 후퇴하면서.. 2023. 7. 8.
흥부전 발상지 남원 흥부마을 흥부에게 은혜를 입은 제비가 흥부네 집으로 박 씨를 물어다 주고, 그 박 씨를 심어 박이 열리니 흥부 내외가 박을 탄다. 그 박 속에서 금은보화가 쏟아 졌다는 우리에게는 너무 친근한 흥부전! 흥부로를 따라 장수 번암에서 남원 아영으로 가다 보면 남원 흥부마을을 알리는 흥부 내외가 박을 타고 있는 친근한 조형물을 만나게 된다. 도로변에는 '흥부 박춘보 묘 입구'를 알리는 작은 표지석도 세워져 있다. ​ 이 곳 남원시 아영면 성리마을이 바로 판소리 다섯 마당 중의 하나인 흥부전의 배경으로 놀부에게 쫏겨난 흥부가 정착하여 부자가 된 곳이다. 주변에는 흥부생가, 박꽃공원, 흥부 박춘보의 묘, 흥부소공원이 들어서 있고 봉화산 등산로가 시작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성리마을에는 흥부의 모델이 된 박춘보(朴春甫)의.. 2023. 7. 3.
포항 포스코 Park1538 수변공원 구 삼화제철소 고로 장마전선이 물러나자 찾아온 폭염으로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주말, 포항지역도 34.3도 안팎의 무더운 날씨가 계속되고 있고 며칠간 내린 비로 습도가 높아서 체감온도가 더 높게 느껴진다. 햇볕이 강한 낮에는 야외활동 시간을 줄이고 충분한 수분 섭취 등 온열 질환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이번 주말에는 포항 남부지역의 바닷가를 돌아볼 계획이었으나 폭염특보까지 내려져 인근에 있는 포스코 Park1538 수변공원에 잠시 다녀왔다. 조경대상 국토부장관상을 수상한 Pasrk1538 수변공원은 친환경 휴게공간으로 초화류, 수양버들 등 다양한 식물이 식재되어 있고, 강원도 낙락장송부터 제주도 팽나무 둥 전국에서 온 48종의 다양한 수종이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고 있다. 파크1538은 포스코 홍보관과 역사박물관,.. 2023. 7. 2.
익산역 광장 익산 평화의 소녀상 대한민국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다 보면 각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가끔 만나게 된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피해를 상징하는 상징물인 평화의 소녀상은 2011년 12월 14일 민간단체 정대협이 중심이 돼 서울 종로 주한 일본 대사관 앞에 처음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외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지난 주말 KTX를 이용하여 익산역에 도착하는 동기생을 픽업하러 갔다가 익산역 동부광장에 설치되어 있는 평화의 소녀상을 만났다. 익산 평화의 소녀상은 전북 익산지역 96개 시민‧사회‧기관단체로 구성된 '익산 평화의 소녀상 건립 시민추진위원회'가 2017년 8월 15일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익산역 광장에 제막했다. 익산 평화의 소녀상은 전국 최초로 역전 광장에 건립됐으며 타 지역 소녀상이 의자에 앉은 좌식.. 2023. 6. 29.
홍성 홍주읍성 사적 제231호 충청남도 홍성군은 원도심 전통 경관 조성과 역사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 확립 및 관광 인프라 연계로 홍주읍성 복원·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 우선 홍주읍성 전체 성곽 복원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북문지 동측부터 조양문 구간까지 멸실된 성벽구간에 대한 발굴조사를 올 9월까지 진행하고, 지난 8월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현상변경 심의 허가를 받은 '북문 문루 복원'도 올 3월부터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갔다. ​ 단기계획으로는 2025년까지 북문 문루 복원, 멸실 성벽구간 복원 및 정비, 조양문 주변 역사공원 조성, 군청사 및 홍주초등학교 철거, 객사 및 향청 부지에 대한 매입 및 발굴조사·복원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중장기계획으로 2026년부터 서문 복원을 통한 홍주읍성 내 4대문 완성, 내삼문 및 내아 .. 2023. 6. 26.
예산 김정희 선생 유적 ④ 천연기념물 예산 용궁리 백송 충청남도 예산 여행 중 반드시 가봐야 할 곳이 있다면 먼저 김정희 선생 유적지를 추천한다.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 김정희 선생 유적지는 1980년 10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추사고택, 추사기념관, 화순옹주홍문에 이어 용궁리 백송을 소개한다. 이 백송은 김정희 선생이 25세 때에 청나라 연경을 다녀오면서 가져온 씨앗을 고조부 김흥경의 묘소 앞에 심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높이 15.5m로 수령은 200년 정도로 추정된다. 김정희 선생의 서울 본가에도 영조(재위 1724∼1776)가 내려 주신 백송이 있어 백송은 김정희 선생 일가의 상징처럼 여겨지고 있다. 원래 밑에서부터 세 가지로 자란 아름다운 모양이었으나 두 가지는 말라 죽었고 현재는 한 가지만이 남아 있다. 백송.. 2023. 6. 25.
예산 김정희 선생 유적 ③ 조선 왕실 유일한 열녀 화순옹주 홍문 충청남도 예산 여행 중 반드시 가봐야 할 곳이 있다면 먼저 김정희 선생 유적지를 추천한다.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 김정희 선생 유적지는 1980년 10월 23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추사고택, 추사기념관에 이어 조산왕실에서 나온 유일한 열녀인 화순옹주홍문(和順翁主紅門)을 소개한다. 화순옹주홍문(和順翁主紅門)영조의 둘째 딸이자 김정희의 증조모인 화순옹주의 정절을 기리는 열녀문이다. 화순옹주는 13세에 영의정 김흥경의 아들 김한신과 결혼했다. 김한신이 39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화순옹주는 14일을 굶어 남편의 뒤를 따라 세상을 떠났다. 영조는 옹주가 아버지의 말을 따르지 않고 죽었으니 불효라 하며 열녀문을 내리지 않았으나, 후에 정조가 김한신과 화순옹주 무덤 근처에 열.. 2023.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