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방방곡곡845

무주 삼공리 반송 - 천연기념물 제291호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31 보안마을 뒤 산기슭에는 소나무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윗부분이 우산을 펼쳐 놓은 듯 퍼진 나무가 있다. 이 나무는 무주 삼공리 반송 (茂朱 三公里 盤松, Muju Samgong-ri Umbrella Pine) 으로 우리나라에 자라는 반송 중 수관 폭이 가장 큰 나무이다. 무주 삼공리 반송의 나무 높이는 17m, 가슴높이의 둘레는 5.3m로 이 지방 사람들은 이 반송을 구천동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기고 구천송(九天松)이라고도 부른다. ​ 이 나무는 원래 다른 곳에서 자라고 있었는데 170여년전에 이주식 씨가 지금의 위치로 옮겨 심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나무의 나이가 거의 400여살 정도로 여겨지는 것으로 볼때 정확하지 않은 내용일 수도 있다고 보여 진다. 무주 .. 2023. 6. 12.
연수정 - 포항시 북구 기계면 성계리 고인돌마을 포항시 북구 기계면 성계리 고인돌 마을을 둘러보고 안강읍 노당리로 넘어가는 고갯마루에 있는 영남 최대 규모의 고인돌인 칠성재 고인돌을 찾아 가는 길 한쪽에 곱게 늙어가고 있는 정자인 연수정(然叟亭)을 잠시 살펴 보았다. 연수정의 출입문은 亦悅門 (역열문), 또 역(亦) 자와 기쁠 열(悅) 자를 쓰고 있다.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가 생각난다. 연수정(然叟亭)은 성계리에서 출생한 신혁주(辛赫柱 1881~1952 자:극립 極立, 호:연수 然叟)의 제자들이 세운 정자이다. 신혁주는 유년시절 10여년간 학문을 수학하시고 성인이 되어 곤궁한 지절(志節)을 지키며 온갖 풍상을 겪고서, 향리(鄕里) 안인곡(安仁.. 2023. 6. 11.
순천만습지 -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리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을 관람하고 순천만습지로 이동했다. 순천만국가정원이나 순천만습지에서 입장시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입장권을 구입하면 순천만국가정원과 순천만습지를 동시에 관람(입장)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입장권을 다시 구입하는 분들도 있다고 한다. 순천만국가정원 · 2023 순천만국가정원 박람회 6월 9일 연일 흥행 중인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리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을 다녀왔다. 인간이 아니라 신이 조경한 듯 황홀한 정원들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관광객을 반기고 있는 순천만 hyanggyo.tistory.com 순천만습지에 입장하면 먼저 푸른 잔디광장과 자연생태전시관을 만나게 된다. 순천만습지는 탐방길 주위가 푸른 잔디로 되어있다. ​ 순천만의 다양한 생.. 2023. 6. 11.
순천만국가정원 · 2023 순천만국가정원 박람회 6월 9일 연일 흥행 중인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열리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을 다녀왔다. 인간이 아니라 신이 조경한 듯 황홀한 정원들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관광객을 반기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은 우리 조상들이 가꾸던 전통 정원을 비롯해 세계적 정원 디자이너 찰스쟁스가 디자인한 호수정원이 있는 테마정원, 11개국의 세계정원 등 인간이 만든 가장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으로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 해마다 5백만 명이 넘는 관광객을 불러들이고 있는 순천만국가정원은 2015년 ‘대한민국 1호 국가정원’으로 지정됐다. 다른 일정이 있는 일행들이 있어 시간관계상 약 1시간정도 도보로 돌아보았는데 순천만국가정원을 여유있게 구석구석 관람을 하려면 3시간 정도 소요될 것 같다. 주말에는 관람차 이용객들이 더욱 많아 질.. 2023. 6. 11.
전주시청 노송광장 팝업놀이터 오랫만에 전주시청 민원실에 들린 후 도로원표와 노송광장을 둘러 보았다. 노동조합을 비롯한 각종 민원인들의 집회와 시위, 이들이 수시로 걸어 놓은 현수막 등으로 인해 혼란했던 전주시청 앞 노송광장은 자연놀이터로 바뀌어 있었다. ​ 노송광장은 총 면적 6,060㎡, 잔디광장 5,300㎡ 로 한옥마을에서 10분 거리에 있으며 고풍스러운 소나무와 느티나무 60여 그루를 포함해 영산홍, 철쭉 등 3천여그루를 품고 있다. 초록빛 잔디광장과 어우러진 노송, 계절별로 다양한 식물을 볼 수 있어 평소에도 전주시민들이 즐겨 찾는 장소다. 전주시청 신청사 벌써 40년 제 44회 전국체전 전주 개최(1963년 10월 4일 개막)을 앞두고 1963년 8월 14일 준공된 전주시청 건물이다. 이 자리는 조선시대 전주부 동헌 풍낙헌.. 2023. 6. 10.
전주시 도로원표 全州市 道路元標 도로원표(道路元標)는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으로 도로법 제2조 제1항 4호에 도로의 부속물로 정해져 있다. ​ 도로원표는 일반국도나 지방도를 통해 전주를 올때 전주 50km라는 표시가 보였다면 전주시 도로원표까지 50km가 남았다는 것으로 이 도로원표를 기점으로 전국 시·군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준점이 되는 곳이다. 고속도로에서는 도로원표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IC(나들목)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 얼마전에는 전주시 팔달로 기업은행 앞에 있는 전라북도 도로원표를 소개했었는데 이번에는 전주시청 민원실 앞 도로변에 세워져 있는 전주시 도로원표를 소개한다. 전라북도도로원표 ˙미원탑 터 전주 IBK기업은행 전주지점에 잠시 들리며 사거리 한쪽에 세워져 있는 전라북도도로원표 .. 2023. 6. 10.
부안 곰소염전 소금창고 전북 부안군 진서면에 소재하고 있는 국내 최고의 찬일염 생산지인 곰소염전은 국가중요어업유산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 하늘과 태양 아래 자연과 사람이 정성으로 만들어내는 곰소 천일염은 람사르 서해갯벌 바닷물을 태양열로 증발·건조시켜 만들어 깨끗하고 천연미네랄이 풍부해 짠맛보다 단맛이 나는 고품질 천일염으로 유명하다. 특히 쓴맛을 내는 간수성분을 원천적으로 제거해 생산하므로 소비자가 천일염 구입 후 별도로 장기간 저장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곰소천일염만의 특징이다. ​ 지난 5월 17일에는 곰소염전에서 초채염제가 열렸다. 초채염제는 염전에서 그 해의 첫 소금을 채취하는 날로 염부(鹽夫)의 안녕과 소금생산의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례다. 2023. 6. 6.
춘향 영정이 봉안된 광한루원 춘향사당 · 열녀춘향사 남원 광한루 동쪽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 숲 속에는 춘향의 일편단심을 기리기 위해 1931년에 세워진 영정각인 춘향사당이 있다. ​ 사당 안에는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린 춘향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었으나 친일논란으로 남원시는 새로 제작된 춘향 영정을 지난 5월 25일 공개하고 사당에 봉안했다. 새 춘향 영정은 김현철 화백이 지난 1월 제작에 들어가 넉달여만에 그린 것으로, 춘향전을 토대로 한 17세 안팎의 한국적 여인상을 모델로 했으며 의복과 머리 모양 등도 고증을 거쳐 당시 상황을 최대한 반영했다. ​ 머리에는 절개를 상징하는 대나무 뿌리 모양의 죽절비녀를 꽂고 금봉채로 장식한 낭자머리와 당시 젊은 여인의 복식색인 녹의홍상을 기본색으로 한 다홍치마와 연두색 삼회장저고리를 한 모습이다. ​ 낭자머리는 그동.. 2023. 6. 5.
전주 한벽당을 세운 월당 최담 유허비 전주 옥류동 한벽당 뒤쪽으로 기린대로 옆에는 한벽당을 지은 조선의 개국공신이며 집현전직제학을 지낸 최담유허비가 세워져 있는 비각이 있다. 호남의 삼한 전주 한벽당 · 요월대 전주 승암산 기슭의 절벽을 깎아 병풍바위 아래 세운 아담한 정자인 한벽당은 과거에는 바위에 부딪친 안개를 '한벽청연'이라 하여 전주 8경의 하나로 꼽았다. 오늘은 임제가 빼어난 경치를 자 hyanggyo.tistory.com 유허비 전면에는 有明朝鮮國通政大夫 戶曹參議 集賢殿直提學 月塘 崔公遺墟碑 (유명 조선국통정대부 호조참의 집현전직제학 월당 최공유허비) 이라고 새겨져 있다. 최담은 고려 충목왕 2년(1346년)에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호조참의와 집현전 직제학까지 올랐고 세종 11년(1434년)에 사망하였다. 2023. 6. 5.
포항 장기면 금곡리 삼효각 · 염호공 허진수 유허비 금산서원이 위치하고 있는 포항시 남구 장기면 금곡리 마을 입구에는 정려각인 삼효각과 김해 허씨 11세손 염호공 유허비가 세워져 있는 유허각이 있다. 금곡리 삼효각 금곡리 삼효각은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창길191 번길 25-10에 위치하고 있으며, 포항시 향토문화유산 유형 2017-3 이다. 비각은 남향으로 정면. 측면 각 1칸의 맞배지붕이며 내부에 살문이 둘러쳐져 있고 그 안에 3기의 비석과 2점의 기문이 있다. 삼효각은 비석과 이를 보존하 는 정려각으로 효자 허기와 그 맏아들 허 식의 처 경주최씨 및 셋째아들 허순의 처 곡강최씨의 효열을 표창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허기와 며느리인 곡강최씨. 월성최씨 모두 생몰년이 미상이다. 허기의 본관은 김해이다. 18세에 부친상을 당하자 묘 옆에 움막을 지어 3년.. 2023. 6. 1.
2023 전북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대회 폐막 2023 전북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대회가 20일 오후 전주시 전라감영에서 실시된 페막식을 끝으로 9일간의 대장정이 마무리됐습니다.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대회(APMG)는 생활체육인의 국제종합체육대회로 이번 2023 전북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대회에는 71개국에서 25개 종목에 14,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 5. 12. ~ 20일까지 전라북도 일원 (14개 시군 종목별 경기장)에서 개최됐습니다. 다음 개최지는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입니다. 2023. 5. 21.
국가등록문화재 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김천에서 황간-영동-무주로 가는 4번 국도는 경부고속도로, 경부선철도와 함께 나란히 추풍령을 넘는다.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추풍령로 447에 있는 '영동 추풍령역 급수탑 공원(永同 秋風嶺驛 給水塔)'은 4번 국도 도로변에 있어 잠시 쉬어가기에도 아주 좋은 곳으로 주차장과 화장실,휴게시설 등이 잘 조성되어 있다. 추풍령역 급수탑 공원은 영동군이 2003년 국가등록문화재 제47호로지정된 급수탑을 대중가요로 잘 알려진 추풍령 이미지와 주변의 수려한 경관에 접목시켜 명소로 육성하기로 하고 지난 2012년부터 테마공원 조성을 시작, 4만9500㎡에 총 66억원을 투입해 기차체험관, 테마놀이터, 야외학습장, 생태연못, 풀꽃마당 등을 만들고 2017년 연말 개장했다. 1939년에 세워진 추풍령역 급수탑은 경부선을 운.. 2023. 5. 5.
경주 황성공원 후투티 육추 짝짓기 2023년 5월 3일 경주 황성공원 후투티 육추 현황 2023년 5월 4일 오후 5월 4일 오후 촬영이 조금 일찍 마무리되어 후투티가 육추를 시작한 경주 황성공원을 잠시 다녀 왔습니다. 후투티는 해마다 육추를 하는 황성공원 충혼탑 주변을 비롯하여 3-4곳에서 육추를 하고 있어 삼삼오오 모여 후투티 육추를 촬영하고 있었습니다. ​ 후투티 육추 촬영 명소로 널리 알려진 경주 황성공원, 아마도 이번 주말에는 전국에서 많은 사진 동호인들이 후투티 촬영을 위해 황성공원을 찾을 것으로 보여 집니다. 황성공원을 한바퀴 돌아보고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주차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육추중인 후투티를 모노포드를 이용하여 몇장 촬영했습니다. 원래는 내일 황성공원에 가볼려고 했었으나 비 예보가 있어 오늘 잠시 다녀왔는데 운이 좋게도 후투티.. 2023. 5. 3.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 海兵隊司令部 初代敎會 The First Church of the Marine Corps Headquarters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는 1949년에 해병대가 경남 진해 덕산비행장에 창설됨에 따라 6 • 25전쟁 중인 1951년에 임시 천막교회로 설립되었다. 이후 해병대사령부 및 전투부대와 함께 진해, 부산을 거쳐 1955년 서울 남산으로 이동하였다. ​ 1959년부터 짓기 시작한 해병대사령부 초대교회는 시멘트 블록과 양철지붕으로 지어졌다. 1973년에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며 교회 기능을 상실하였다가 2003년에 해병대 창설 제54주년 을 기념하여 보수함으로써 다시 교회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 우리나라 군(軍)에 남아 있는 교회 중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가운데 하나이다. 6 • 25전.. 2023. 4. 27.
김제 후장마을 정화암생가 · 장화쌀뒤주 · 정방섭처열녀광주이씨정려 김제 벽골제에서 돌아 가는 길 국도 29호 도로변에 갈색 문화재 안내판이 눈에 들어와 차를 세우고 살펴보니 정화암 생가와 장화쌀뒤주를 안내하는 이정표였다. 좁은 시골길로 들어가다보니 후장마을이 나온다. 현재 김제시 장화동인 이곳은 원래 김제군 월산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월산면과 대촌면이 통합되어 월촌면이 될 때 전장·후장·가작을 병합하여 장화리가 된다.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김제시 월촌동 관할이 되었고, 1998년 교동과 월촌동을 병합함에 따라 교동월촌동 관할 법정동인 장화동이 되었다. 장화동은 외암 정윤교(鄭允喬)와 화암 정현섭(鄭賢燮)의 출생지로 동래정씨 집성촌이며, 김제 관내에서 가장 좋은 명당으로 꼽히고 있는 곳이다. 문화재로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1호인 장화리 쌀뒤주, 화.. 2023. 4. 26.
반응형